검색결과
  • 조선 방문한 중국 사신들 '이 책' 꼭 챙겨가

    조선 방문한 중국 사신들 '이 책' 꼭 챙겨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의보감』과 책에 실린 인체 그림. [사진 국립중앙도서관] 올해는 동아시아 과학사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이 되는 해다. 『동의보감』

    중앙일보

    2013.02.15 00:50

  • [글로벌 아이] 한·중 인문교류사를 발굴하자

    [글로벌 아이] 한·중 인문교류사를 발굴하자

    최형규베이징 총국장 베이징(北京)에서 골동품과 고서적 거리로 유명한 류리창(琉璃廠) 부근 골목에 기윤(紀·1724~1805)의 고택이 있다. 크지는 않지만 청대 사대부 집안의 풍모

    중앙일보

    2013.01.26 00:00

  • 동양고전에 묻다 ⑦·끝 새로운 나를 찾아서

    동양고전에 묻다 ⑦·끝 새로운 나를 찾아서

    박지원(左), 이황(右) 중앙일보와 플라톤 아카데미가 함께해온 ‘동양고전에 묻다’의 마지막 회다. 국내 고전 전문가들과 함께 웰빙·소통·상상력·리더십·행복 등 우리 시대의 화두를

    중앙일보

    2013.01.26 00:00

  • ‘조선 드림팀’은 대통령 세종, 총리 이원익 …

    ‘조선 드림팀’은 대통령 세종, 총리 이원익 …

    신봉승 작가 조선의 네 번째 왕 세종(1397~1450)이 임금의 자리에 오른 후, 조선 땅에는 극심한 가뭄이 이어졌다. 길거리에는 굶어 죽은 사람들의 시체가 즐비했다. 스물여섯의

    중앙일보

    2012.11.19 00:39

  • 구름은 빽빽하거늘 비는 쏟아질 줄 모르고

    구름은 빽빽하거늘 비는 쏟아질 줄 모르고

    드높아야 할 하늘에 잔뜩 구름이 끼었다. 이 가을 대선 정국은 그야말로 밀운불우(密雲不雨) 형국이다. 구름은 빽빽한데 비는 쏟아질 줄 모른다. 장쾌하게 쏟아지는 비는 희망이다.

    중앙선데이

    2012.10.20 21:15

  • 한·중 수교 20년 - 사대주의 산맥을 넘어 ④·끝 연행의 길, 자주의 길

    한·중 수교 20년 - 사대주의 산맥을 넘어 ④·끝 연행의 길, 자주의 길

    마테오 리치가 1605년 세운 베이징의 천주교회 남당.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중국에 와서 들렀던 곳으로, 우리나라 서학의 근원지이기도 하다. 당시 조선인에게 세계의 중심은 베이징이

    중앙일보

    2012.10.20 00:58

  • [주목! 이 책] 헌법 정치의 이상과 현실 外

    [주목! 이 책] 헌법 정치의 이상과 현실 外

    헌법 정치의 이상과 현실(김철수 지음, 소명출판, 1128쪽. 8만원)=국내 헌법학의 대가 김철수 서울대 명예교수의 법철학과 사상을 집대성했다. 1950년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중앙일보

    2012.10.20 00:40

  • 다시 새·마·을

    세상사에는 변화와 반전이 있다. 개인이나 기업, 국가 모두가 흥망성쇠라는 보이지 않는 법칙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부자가 3대(代)를 넘기기 어렵다고 한다. 1965년 매

    중앙선데이

    2012.08.26 02:21

  • 거문고 못 하면 선비라 할 수 있나 … 한국인 DNA엔 본디 음악이 있었네

    거문고 못 하면 선비라 할 수 있나 … 한국인 DNA엔 본디 음악이 있었네

    조선 후기 화가 김양기(김홍도의 아들)가 그린 ‘월하선인취생도’(月下仙人吹笙圖). ‘달빛 아래에서 생황을 부는 신선’이라는 뜻이다. 생황은 여러 개의 대나무 관이 둥글게 박혀 있는

    중앙일보

    2012.08.22 00:47

  • [주목! 이 책] 산성으로 보는 5000년 한국사 外

    [주목! 이 책] 산성으로 보는 5000년 한국사 外

    산성으로 보는 5000년 한국사(이덕일·김병기 지음, 예스위캔, 496쪽, 1만6000원)=한국사는 산성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남한에만 무려 1200여 개의 산성이 남아

    중앙일보

    2012.06.30 00:58

  • [비즈 칼럼] 허생전과 독과점

    [비즈 칼럼] 허생전과 독과점

    지철호공정거래위원회 기업협력국장 고전소설 ‘허생전’에는 가난한 선비였던 허생이 장사로 큰돈을 벌어들이는 내용이 있다. 빌린 돈 1만 냥을 밑천으로 백성이 사용하던 생필품을 몽땅 구

    중앙일보

    2012.06.15 00:50

  • 보리밭 사이로 푸른 강물 숨바꼭질 … 갈대는 어서오라 손짓하네

    보리밭 사이로 푸른 강물 숨바꼭질 … 갈대는 어서오라 손짓하네

    한수제 뒤로 금성산 자락에 이팝나무와 아카시아 나무에 꽃이 하얗게 만발했다 영산강. ‘오백리 서러운 가람’이라는 한 시인의 표현처럼 굽이굽이 이야기를 품고 있는 강이다. 영산가람

    중앙일보

    2012.05.18 04:00

  • 그 길 속 그 이야기 함양 선비문화탐방로

    그 길 속 그 이야기 함양 선비문화탐방로

    1 화림동 계곡 중간에 떡 하니 서 있는 거연정. 울퉁불퉁한 바위위에 초석을 놓고 정자를 올린 것으로 선조들의 뛰어난 건축술을 엿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유생이 한양으로 과거 보러

    중앙일보

    2012.05.11 04:00

  • 고전의 맛과 멋 살린 『한국 고전문학 읽기』

    고전의 맛과 멋 살린 『한국 고전문학 읽기』

    고전문학을 통해 작품 속에 담긴 우리 조상들의 삶의 가치를 배우면서 아이들은 아름답고 가치있는 삶의 의미를 배울 수 있다. 『홍길동전』의 한 장면. 고전은 시대를 뛰어넘어 끊임없이

    중앙일보

    2012.05.03 01:51

  • 교과서 ‘허생전’ 읽을 때 화면엔 인형극 … 학생들 눈·귀 집중

    교과서 ‘허생전’ 읽을 때 화면엔 인형극 … 학생들 눈·귀 집중

    서울 중동고 김수학 교사가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해 문학 수업을 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교사용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자료 지원 사이트가 속속 개설되고 있다. 지원하는 자료는 교과

    중앙일보

    2012.04.25 03:40

  • [책꽂이] 일침 外

    [인문·사회] 일침(정민 지음, 김영사, 296쪽, 1만4000원)=한양대 정민 교수가 고전의 바다에서 길어 올린 촌철살인의 사자성어로 마음과 세상에 대한 사유를 펼쳐간다. 조선정

    중앙일보

    2012.03.24 00:00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가인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가인

    이덕일역사평론가한(漢)나라의 이연년(李延年)은 유명한 가인(歌人)이다. 『한서(漢書)』 ‘이연년 열전’과 ‘효무 이부인(孝武李夫人) 열전’은 “새롭게 소리를 바꾸어서 노래를 잘했다

    중앙일보

    2012.02.01 00:00

  • [분수대] 배추 국장의 기쁨이 열무 과장의 아픔 되는 건 결국 ‘폭군의 특권’

    [분수대] 배추 국장의 기쁨이 열무 과장의 아픔 되는 건 결국 ‘폭군의 특권’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프랑스 혁명으로 출범한 제1공화정이 가장 먼저 한 일은 그레고리력(曆)을 새로운 공화력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 숭고한 혁명의 뜻을 고루한 삶의 패턴에 담을

    중앙일보

    2012.01.05 00:00

  • [J 스페셜 - 화요칸중궈(看中國)] 남의 영토 치고 들어가 담 쌓고 “내 땅”

    [J 스페셜 - 화요칸중궈(看中國)] 남의 영토 치고 들어가 담 쌓고 “내 땅”

    1907년에 촬영한 만리장성이다. 변발을 하고 성을 둘러보는 청나라 시대 사람들의 모습이 이채롭다. [사진=위키피디아] 중국의 담은 유별나다. 담은 중국인의 의식 구조와 실생활의

    중앙일보

    2011.12.13 01:01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가난을 헤아림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가난을 헤아림

    지난 일요일 MBC PD수첩에서 을지로 4가역 장애인 화장실에서 사망한 서른여덟 살 홍씨의 사연을 보았다. 우리 사회는 지금 여러 부분에서 혁명에 가까운 리모델링을 하지 않으면 미

    중앙일보

    2011.12.09 00:00

  • [희망의 인문학 - 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9) 고전평론가 고미숙

    [희망의 인문학 - 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9) 고전평론가 고미숙

    고전평론가 고미숙씨에게 고전 연구는 좋은 삶과 앎을 일치시키는 작업이다. 그는 “남을 심하게 비판하는 글은 안 써야겠다고 생각한다. 독설은 결국 말한 사람의 기운을 소진시킨다”고

    중앙일보

    2011.11.28 00:56

  • 이주영·남경필도 한나라 기습처리 까맣게 몰랐다

    이주영·남경필도 한나라 기습처리 까맣게 몰랐다

    이주영 정책위의장남경필 외통위원장22일 오후 3시5분, ‘예산 의원총회’를 위해 국회 본회의장 맞은편 예산결산위원회 회의장에 모였던 한나라당 의원 130여 명이 본회의장으로 들어가

    중앙일보

    2011.11.24 01:22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고미술 감별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고미술 감별

    연암 박지원(朴趾源:1737~1805)이 살던 정조 무렵에 옛 그릇〔古器〕을 팔려 했으나 3년 동안이나 못 판 사람이 있었다. 온 장안을 돌아다니다 값만 떨어졌다. 그때 고미술품

    중앙일보

    2011.10.12 00:11

  • 인터넷에 다 모았다, 중국견문기 455종

    인터넷에 다 모았다, 중국견문기 455종

    고려~조선 600여 년의 연행 기록 455종을 인터넷에 담은 동국대 임기중 교수.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연행록(燕行錄)은 고려부터 조선까지 사신이나 수행원이 중국(지금의 베이징

    중앙일보

    2011.10.12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