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훼손 되기 전 궁궐 모습 첫 공개

    훼손 되기 전 궁궐 모습 첫 공개

    조선총독부서 찍은 경복궁 근정전 주변 사진. 전각들이 꽉 들어차 있었다. 현재 앙부일구는 몸체가 받침돌 위에 노출돼 있으나(맨오른쪽) 일제 때 사진에는 몸체가 받침돌 안에 있다.

    중앙일보

    2007.12.28 05:27

  • 치욕과 계몽의 역사 깃든 창경궁

    치욕과 계몽의 역사 깃든 창경궁

    그림 김영윤(화가) 창경궁, 한때 창경원이라고 불렸던 장소는 굴곡 많은 우리 역사를 고스란히 안고 있는 곳이다. 창경궁 자리에는 고려 공민왕 때 지은 수강궁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중앙선데이

    2007.07.07 18:03

  • 대한민국 역사 움직인 100인 1위에 광개토대왕

    대한민국 역사 움직인 100인 1위에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 대한민국 역사를 움직인 100인 인물 중 1위에 고구려 정복군주 광개토대왕이 선정됐다. 또 영향력 '톱 10'에는 근현대 인물 7인이 차지, 고대나 중세의 추상적 인물

    중앙일보

    2007.03.24 12:18

  • [행복한책읽기Review] 혹시 당신이 고른 책도?

    [행복한책읽기Review] 혹시 당신이 고른 책도?

    2006년 출판계와 지식사회는 어떤 책으로 독자와 만나고 소통했을까요. 중앙일보는 '2006 올해의 책'을 선정해 한 해 동안의 '책농사'를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출판

    중앙일보

    2006.12.15 20:50

  • 자장면·소주·막걸리 '대한민국 대표 아이콘'

    자장면, 길거리 응원,소주와 막걸리 등이 우리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100대 민족문화 상징'으로 선정됐다. 문화관광부가 26일 선정.발표한 100대 상징에는 한민족의 성산인 백

    중앙일보

    2006.07.27 11:13

  • [행복한책읽기] '거북선 신화'는 식민사관 ?

    [행복한책읽기] '거북선 신화'는 식민사관 ?

    우리 역사 과학기행 문중양 지음, 동아시아, 352쪽, 1만3000원 우리는 선조들의 성과에 대해 남다른 자부심을 가진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 과학이 언제나 자랑스러운 발전만을 이

    중앙일보

    2006.04.21 19:30

  • [전시회산책] 전통 풍수와 미술의 만남 外

    [전시회산책] 전통 풍수와 미술의 만남 外

    전통 풍수와 미술의 만남 전통 풍수(風水)의 세계를 살피고 그 풍수가 현대 미술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는지를 모은 기획전 '풍수'가 2006년 1월 18일까지 서울 동선동 성신

    중앙일보

    2005.12.14 23:02

  • 국립고궁박물관, 경복궁 안에 15일 개관

    국립고궁박물관, 경복궁 안에 15일 개관

    ▶고궁박물관이 15일 개관에 맞춰 왕실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유물을 선보인다. 왕을 상징하는 용이 새겨진 은제술동이(上)와 천개(天蓋.정전이나 침전 등의 천장 장식).조선왕실의

    중앙일보

    2005.08.11 20:59

  • 덕수궁 해시계·편종 '이삿짐'

    덕수궁 해시계·편종 '이삿짐'

    ▶ 종묘제례악에 쓰이는 악기인 ‘편종’(사진위)과 1450년에 만든 ‘세종어보’(문종이 즉위하던 해 만든 도장). 조선 왕실의 문화재들이 16일 덕수궁 궁중유물전시관에서 경복궁에

    중앙일보

    2005.05.17 05:16

  • [week& Leisure]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week& Leisure]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지금은 한해 3백만명이 찾는 관광 명소지만 경복궁은 우리네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조선 왕조 얘기만은 아닙니다. 일제를 거치고 군사정권을 지나 오늘에 오기까지. 그

    중앙일보

    2003.12.04 16:00

  • 세종때 나온 과학기기들

    세종때 나온 과학기기들

    세계 최초의 측우기, 자동시보 장치인 자격루, 해시계인 앙부일구, 천문 관측기기인 간의…. 세종대에 독자적인 기술로 발명한 과학기기들이다. 그 어느 나라에서 흉내내기 어려울 정도로

    중앙일보

    2003.10.07 15:34

  • [문화계 소식] 로사 김 우덕갤러리 개인전 外

    *** 로사 김 우덕갤러리 개인전 재미 화가 로사 김이 25일부터 우덕 갤러리에서 전시회를 갖는다. '김로사-자연과 지도를 통한 정치 비평'라는 제목의 이번 전시는 자연과 인간행위

    중앙일보

    2003.02.20 17:41

  • '과학의 달' 맞아 600여개 이벤트 풍성

    '사이버과학연구소 개소' '가족 과학 축전' '사이언스 데이' '사이버 테크노 마트 개설' …. 제34회 과학의 날(21일)을 전후해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과기부를 비롯한 중앙정

    중앙일보

    2001.04.10 00:00

  • '과학의 달' 맞아 600여개 이벤트 풍성

    ''사이버과학연구소 개소'' ''가족 과학 축전'' ''사이언스 데이'' ''사이버 테크노 마트 개설'' …. 제34회 과학의 날(21일) 을 전후해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과기부

    중앙일보

    2001.04.09 19:07

  • '과학의 달' 맞아 600여개 이벤트 풍성

    '사이버과학연구소 개소' '가족 과학 축전' '사이언스 데이' '사이버 테크노 마트 개설' …. 제34회 과학의 날(21일)을 전후해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과기부를 비롯한 중앙정

    중앙일보

    2001.04.09 18:49

  • 해시계 '앙부일구' 남해군 관광상품으로 뜬다

    움푹 파인 반구형 타원속에 그어진 12개의 세로선과 13개의 가로선 사이로 태양의 그림자가 보인다. 세로선은 묘(卯 ·오전 6시)시부터 유(酉 ·오후 6시)시까지 낮 12시간을 나

    중앙일보

    2001.03.09 00:00

  • 호서대에 장영실 연구소

    조선 세종때의 대표적 과학자였던 장영실(將英實) 의 업적과 사상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게 될 ‘장영실 연구소’가 세워진다. 호서대(총장 鄭根謨) 는 22일 “과학적 업적이 뛰어난 데도

    중앙일보

    2000.10.23 10:17

  • 호서대에 장영실 연구소

    조선 세종때의 대표적 과학자였던 장영실(將英實)의 업적과 사상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게 될 ‘장영실 연구소’가 세워진다. 호서대(총장 鄭根謨)는 22일 “과학적 업적이 뛰어난 데도 불

    중앙일보

    2000.10.23 00:00

  • (4480)경성야화(15)이용만|탑골공원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은 서울을 점령하고 많은 보물을 약탈해 갔다. 그때 이 아름다운 흰 대리석으로 된 13층 석탑이 탐나서 일본으로 집어가려고 우선 꼭대기 3층을 땅으로 내려놓았다

    중앙일보

    1991.07.29 00:00

  • 측우기 등 모조품 해외박물관 기증

    문화부는 우리 전통과학문화재의 우수성과 민족의 과학적 슬기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세계 최초의 측우기·앙부일구의 모조품을 제작해 영국 런던 자연사박물관, 독일 도이체스박물관,

    중앙일보

    1991.02.07 00:00

  • 한민족 과학슬기 세계에 알린다

    우리 민족의 혼과 슬기가 담겨 있는 과학 문화제의 모형이 해외 유수 박물관에 전시된다. 이와 함께 유물은 전하지 않고 기록 등으로만 알려진 각종 과학기재들에 대한 대대적인 복원작업

    중앙일보

    1990.09.03 00:00

  • 자격루에서 말하는 첨단제품까지|시계 발달사 한눈에|문화부, 장영실 업적 기리기 시계 특별 기획전 열어

    문화부는「8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했던 장영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행사의 일환으로 29일∼9월3일 롯데백화점 잠실점에서 시계 특별 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에는 장영실이 14

    중앙일보

    1990.08.27 00:00

  • 청동기 시대의 용범을 국보로

    문공부는 10일 천문기상·인쇄·금속·국방과학분야의 대표적 과학기술 문화재15건을 국보 및 보물로 지정했다. 이번 지정된 과학기술문화재는 ▲국보=용범(숭전대박술환소장) ▲보물=휴대용

    중앙일보

    1986.03.10 00:00

  • 조선백자 휴대용 해시계 공개

    깊숙이 수장돼온 15세기 조선백자 휴대용 『해시계』(양천척·사진)가 30일 공개됐다. 소장자는 한기상 한국고미술상 중앙회장一. 희귀문화재로 평가된 백자 해시계는 고미술상중앙회 회지

    중앙일보

    1983.10.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