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복룡의 신 영웅전] 한비자의 충고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한국에서는 지금의 윤석열 대통령을 제20대 대통령이라 하는데, 역대 대통령이 모두 12명이었으니 제13대 대통령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르다. 대통령 대수
-
[신복룡의 신 영웅전] 공자의 자식 교육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진항(陳亢)은 공자(孔子·사진)의 제자였다. 그는 공자가 자식을 어떻게 가르치는지 궁금해 공자의 아들 백어(伯魚)에게 “혹시 아버님에게서 남다른 가르침
-
[신복룡의 신 영웅전] 막스 베버의 고민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우리가 원했든, 원치 않았든 지금 자본주의 사회에 산다. 그 자본주의를 가장 고민하며 성찰한 사람은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1864~1920·사진)인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처칠 총리의 실수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영국의 중앙 일간지는 1면에 정치 기사를 싣지 않는 것이 관례인데 그들이 역사상 두 번 정치 문제를 1면 톱 기사로 다룬 적이 있었다. 첫 번째는 제2
-
[신복룡의 신 영웅전] 미생의 신의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중국 춘추전국 시절 서주(西周) 노(魯)나라에 미생(尾生)이라는 청년이 살았다. 어느 날 그가 사랑하는 여인과 데이트가 있었는데 장소는 다리 밑이었다.
-
[신복룡의 신 영웅전] 곽외와 죽은 천리마의 뼈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중국 춘추전국 시절 군웅이 쟁패할 적에 연(燕)나라와 제(齊)나라의 다툼이 특히 심했는데 대체로 연나라가 핍박을 겪는 편이었다. 연나라 소왕(昭王)은
-
[신복룡의 신 영웅전] 맥아더 사령관의 은원(恩怨)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1977년 박정희 대통령이 ‘임시행정수도 구상’을 발표했다. 천도하려고 충남 계룡산의 유사종교를 철거한다기에 나는 자료를 모으려고 헐리기 전에 답사를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예수가 본 간음한 여인과 노인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사람들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신약성경의 ‘간음한 여인’ 이야기(요한복음 8장 6~11절)를 할 때면 우리는 “너희 가운데 죄 없는 자가 먼저 저 여자에
-
[신복룡의 신 영웅전] 노비에게 출산 휴가…세종 “남편도 도와라”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이미 성인(聖人)으로 굳어진 세종을 쓰기에는 마음이 편치 않다. 그러나 영웅은 우리 곁으로 내려와야 한다. 우리 아이들이 따라갈 수도 없는 인물이라면
-
[신복룡의 신 영웅전] ‘귀신 잡는 해병’의 종군 여기자 히긴스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1950년 6월 27일 맥아더 사령관보다 먼저 도쿄에서 특별기가 떴다. 네 명의 종군 기자가 탔는데, 그 가운데 여자도 한 명 있었다. 발레리나를 꿈꾸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인상여의 문경지교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중국 전국시대 칠웅(七雄) 가운데 조(趙)나라는 국력이 약해 늘 진(秦)나라의 핍박을 받았다. 조나라에 화씨(華氏)라는 사람이 벽(璧)이라는 천하제일의
-
[신복룡의 신 영웅전] 내란 피하려고 자살 택한 소 카토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고대 로마의 역사를 보면 위대한 영걸(英傑)이 많았지만 고결함으로 판단할 때는 업적보다 장엄한 죽음을 더 큰 미덕으로 여겼다. 비굴한 최후는 그 생애의
-
[신복룡의 신 영웅전] 홍범도 흉상이 설 자리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2018년 육군사관학교에 건립된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문제로 국론이 갈라졌다. 논문을 쓰거나 논쟁할 때 어려운 문제를 쉽게 풀기도 어렵지만, 쉬운 문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의연하게 죽은 마리 앙투아네트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남자가 몰락하는 길이 있듯이 여인에게도 몰락하는 길이 있다는데, 사치와 교만과 천박함이다. 천박함은 무시를 겪지만 책 좀 읽으면 극복되고, 교만은 따돌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소진과 그 아내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비천한 처지를 극복하고 입신에 성공해 천하를 제패한 영웅호걸 가운데에는 중국 전국시대 소진(蘇秦, 생년 미상~기원전 284년)이 으뜸일 것이다. 동주(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재승박덕했던 알키비아데스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그리스 역사가이자 철학자인 플루타르코스가 쓴 고대 그리스·로마의 역사책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가장 극적인 삶을 산 사람은 알키
-
[신복룡의 신 영웅전] 김옥균의 야망과 좌절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일본 도쿄대 정문인 아카몽(赤門)을 나와 오른쪽으로 돈 뒤 두 블록쯤 가면 쿠마고미조(駒込町)에 진조지(眞淨寺)라는 절이 있다. 현판이 없으면 여기가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애덤 스미스의 행복론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평생 누린 명성에 비춰보면 애덤 스미스(1723~1790)는 그리 행복하지 않았다. 관리였던 아버지가 유복자인 그를 남기고 세상을 뜨자 어머니와 큰아버
-
이승만 토지개혁 아이디어 어디서 왔나…‘한국 분단 보고서’ 재출간
한반도 분단 시기 미 군정 역할을 살펴볼 수 있는 『한국 분단 보고서』를 세 권으로 확대 재출간한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장세정 기자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의 기
-
[신복룡의 신 영웅전] 도척만도 못한 세상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공자(孔子)의 친구 유하계(柳下季)에게 도척이라는 동생이 있었는데 부하 9000명을 거느리고 천하를 횡행하는 도적이었다. 공자는 도척을 회개시키겠다는
-
한반도 분단 시기 미 군정 내부 공개한 『한국 분단 보고서』 확대 재출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의 기밀 해제 자료를 토대로, 한반도 분단의 결정 과정, 미 군정의 통치 목표와 구조 등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 『한국 분단 보고서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존 스튜어트 밀, 고독과 사랑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세계적 명저로 꼽히는 『자유론』의 저자 존 스튜어트 밀(1806~1873)의 생애는 고독했다. 그의 아버지는 아들의 천재성을 알아보고 학교에 보내지 않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신의 편작의 충고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의사에도 등급이 있다. 첫눈에 병을 알아보는(看) 의사를 신의(神醫)라 하고, 목소리만 듣고(聞) 병을 아는 의사를 명의(名醫)라 한다. 증세를 물어보
-
[신복룡의 신 영웅전] 유마힐 거사의 작은 방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경기도 광릉 봉선사(奉先寺)의 큰 스님인 월운(月雲) 조실(祖室)께서 최근 입적하셨다. 『팔만대장경』 번역을 끝내고 눈물을 주르르 흘리던 그분 앞에 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