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열려라!공부] 우리 아이에게 '책도 좋지만 여행'…프로 엄마의 특별한 기술

    [열려라!공부] 우리 아이에게 '책도 좋지만 여행'…프로 엄마의 특별한 기술

        자녀와 함께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찾은 이승민(왼쪽 서 있는 사람)씨와 김희정씨가 공룡 화석 모형을 보며 자녀에게 설명해주고 있다. [사진=최정동 기자]   아이를 키

    중앙일보

    2007.02.13 14:45

  • [JERIReport] 사재 털어 만든 박물관·식물원, 정부가 운영비는 대줘야

    [JERIReport] 사재 털어 만든 박물관·식물원, 정부가 운영비는 대줘야

    큰 자연사박물관이나 식물원은 '돈 먹는 하마'다. 관람객들이 내는 입장료는 운영비에 턱없이 모자란다. 이런 사정은 세계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다. 어설프게 돈 좀 번 어떤 사람이 자

    중앙일보

    2007.02.06 17:55

  • [글로벌이슈] '에탄올' 무기로 에너지 메이저 야망

    [글로벌이슈] '에탄올' 무기로 에너지 메이저 야망

    최근 이틀 새 국제 곡물시장에서 옥수수 가격이 요동을 쳤다. 작황과는 무관한 이유에서다. 24일에는 옥수수 가격이 2%나 하락했다. 전날 밤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국정연설을 통

    중앙일보

    2007.01.29 18:37

  • 플라스틱 귀해진 미래는 어떻게 될까

    고유가 계속되면 석유 기반 제품 공급에 혼선… 첨단 플라스틱 사라지고 원시 플라스틱 시대 온다 많은 사람은 유가가 계속 상승하리라고 믿는다. 그렇다면 실제 유가가 계속 오를 때 석

    중앙일보

    2007.01.21 06:08

  • [박창규의원자이야기] 나이

    계룡자연사박물관은 대전에서 안과병원을 하던 고 이기석 박사가 평생 모은 재산을 털어 만든 박물관이다. 이 박사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노벨상을 받는 과학자가 나와야 한다고 생

    중앙일보

    2007.01.05 19:10

  • 4700만 년 전에도 벌레는 위장했다

    4700만 년 전에도 벌레는 위장했다

    타원형 잎사귀 모양을 한 잎벌레 화석(사진(左))과 요즘의 입벌레들. [독일 본 대학 연구팀.위키피디아 제공] 보통 벌레들은 새나 다른 천적을 피하기 위해 나뭇가지나 잎사귀 등 자

    중앙일보

    2006.12.28 04:38

  • 무공해 전기버스 등 신기술 선보여

    무공해 전기버스 등 신기술 선보여

    "태양열 발전으로 1Kwh의 전력을 얻으려면 30센트(280원)가 들었지만 곧 15센트, 10센트로 떨어질 겁니다." 13일 (현지시간) 미 뉴욕주 니스카유나에 자리잡은 GE 글로

    중앙일보

    2006.11.14 19:23

  • 서울 노원구에 '영어체험 + 과학교육' 공원

    서울 노원구에 '영어체험 + 과학교육' 공원

    공원을 거닐며 자연스레 영어와 과학을 배우는 '영어과학공원'이 2008년 상반기 중 서울 노원구에 문을 연다. 노원구는 16일 "중계 2동 중계근린공원 부지(6800여 평)에 국

    중앙일보

    2006.10.17 05:13

  • 식품 라이벌 열전 ④ 사과 vs 배

    '사과 vs 배'. 가을철 '과일의 왕'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과가 생산액.생산량 면에서 모두 앞섰다. 그러나 지난해엔 생산액에선 사과

    중앙일보

    2006.09.11 16:49

  • [내생각은] '바이오디젤' 하나마나한 논쟁은 그만

    [내생각은] '바이오디젤' 하나마나한 논쟁은 그만

    1990년대 들어 화석연료 고갈과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내외적으로 자동차용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디젤의 연구개발과 보급이 시작됐다. 바이오디젤을 생산

    중앙일보

    2006.07.19 20:37

  • [열려라공부] 체험학습에 푹 빠져 보세요

    [열려라공부] 체험학습에 푹 빠져 보세요

    1 이천도자기마을(ceramic.invil.org) ·내용 : 이천이 전통 도예의 중심지가 된 이유를 알아보자. 이천엔 80여 개 도자기 공장이 밀집돼 있다. 이곳에서 도자기 제

    중앙일보

    2006.07.11 17:38

  • 브랜드 아니라 성분 보고 산다

    브랜드 아니라 성분 보고 산다

    ▶ 안티에이징, 화이트닝 등 기능성 화장품이 늘어나면서 성분을 따지는 소비자들이 많다. 업계는 브랜드보다 성분과 기술력을 강조하는 등 마케팅 태도를 바꾸고 있다. [카멜프레스=오재

    중앙일보

    2006.07.06 09:48

  • [분수대] 바이오 디젤

    [분수대] 바이오 디젤

    동물성 기름인 석유가 연료로 쓰이게 된 건 새뮤얼 키어 때문이다. 당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석유를 '뱀기름'이라고 불렀다. 백인 장사꾼들은 병에 담아 '만병통치약'이라며 팔았다.

    중앙일보

    2006.06.27 20:43

  • [초등논술방] 공룡은 왜 멸종했나

    이미 지구상에서 멸종해버린 공룡의 멸종 이유를 우리는 정확하게는 모른다. 화석을 이용해 여러 가지 추측과 가설만이 난무할 뿐이다. 그 가설들 중 운석충돌설이 가장 과학적이고 정확

    중앙일보

    2006.06.06 17:45

  • 미국 로키산맥 석유 암석 고유가에 다시 개발 나서

    미국 로키산맥 석유 암석 고유가에 다시 개발 나서

    기름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미국이 석유를 찾아 마침내 바위 속까지 뒤지기 시작했다. 석유 소비량은 갈수록 늘어만 가는 데 비해 기존의 유전은 점점 바닥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2006.05.29 05:14

  • [이덕환의화학이야기] 녹색 화학이 새 목표다

    원유 가격이 가파르게 치솟더니 이제는 배럴당 75달러를 넘어섰다고 한다. 세계 최고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우리에게는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지난해 한 해 동

    중앙일보

    2006.04.27 20:54

  • [브리핑] '쥐라기 소나무' 국내 공개

    [브리핑] '쥐라기 소나무' 국내 공개

    쥐라기 공룡시대에 번성했던 '울레미아 소나무'(사진)가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21일 국내 처음으로 공개됐다. 그동안 화석에서만 존재가 확인된 울레미아 소나무

    중앙일보

    2006.04.22 05:29

  • [이덕환의화학이야기] 산소는 참살이의 중심이다

    참살이(웰빙)의 중심이라는 산소의 인기가 대단하다. 캔에 담은 산소가 판매되고, 신선한 산소를 듬뿍 제공해주는 산소 카페도 생겼고, 산소 발생기에 대한 관심도 높다고 한다. 산소

    중앙일보

    2006.03.23 21:15

  • 스웨덴 '탈석유화' 선언

    스웨덴 '탈석유화' 선언

    스웨덴이 7일 세계 최초로 '탈(脫)석유화'를 선언했다고 AP 통신이 보도했다. 스웨덴의 모나 살린 지속발전부 장관은 이날 "15년 안에 세계 최초로 석유 없이 에너지를 자급자족하

    중앙일보

    2006.02.08 19:55

  • [오태광의미생물이야기] 화성에 미생물이 살까?

    무수히 많은 별이 우주의 한 구성원이듯이 별만큼이나 많이 사는 아주 작은 미생물도 한 식구다. 미생물도 우주의 한 식구로 남기 위해 치열한 생존경쟁을 하고 있다. 종족을 퍼뜨리기

    중앙일보

    2006.01.26 20:56

  • [문희수교수의보석상자] 호박

    [문희수교수의보석상자] 호박

    모스크바를 방문했던 10여 년 전 그해 겨울은 영하 20도를 밑도는 맹추위로 무척 추웠다. 나는 모스크바 대학에서 일하는 동료와 함께 아르바트가를 지나다 길가 좌판에 놓여 있는

    중앙일보

    2005.12.29 15:40

  • ‘가까워진 섬’ 다리 … 낭도~사도 인도교 착공

    ‘가까워진 섬’ 다리 … 낭도~사도 인도교 착공

    전남도와 여수시는 여수시 화정면 낭도와 사도를 잇는 인도교(사진)를 15일 박준영 지사와 김충석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착공했다. 이 교량은 길이 430m, 너비 4.6m이고

    중앙일보

    2005.12.16 02:35

  • [과학] 기~다란 갈색구름 보신 적 있나요

    [과학] 기~다란 갈색구름 보신 적 있나요

    갈색구름띠가 세계 기상 학자들의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두께 수㎞, 길이 수백㎞에 걸쳐 퍼져 있는 거대한 갈색구름띠(ABC:Atmospheric Brown

    중앙일보

    2005.09.23 06:17

  • [과학 칼럼] 멸종 생물과 인류의 선택

    [과학 칼럼] 멸종 생물과 인류의 선택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아직까지 우주에서 유일하게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한 생물학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에 최초로 생명체가 출현한 것이 지금으로

    중앙일보

    2005.09.22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