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방화허술 관광호텔|34곳에 시설개수령|시 소방본부

    서울시내 대부분의 유명관광호텔들이 아직도 화재에 대한 대비책을 게을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소방본부가 부산대아관광호텔 화재사고를 계기로 서울시내 54개 관광호텔에

    중앙일보

    1984.01.31 00:00

  • 방화문은 열리고 비상구는 닫혀|부산대아호텔 화재 문제점

    부산 대아관광호텔의 새벽을 기습한 불은 지금까지 겪어온 대형 호텔화재가 모두 그렇듯 ▲낡은 내부시설 ▲소방시설미비 ▲종업원들의 화재대비훈련소홀 등과 함께 ▲소방당국의 지도감독 업무

    중앙일보

    1984.01.14 00:00

  • 음식 백화점 대형화재·식중독 사고위험 높다. 가스누출탐지기 등 방화시설 제대로 안 갖춰 음식 진열도 비위생적…부패·변질되기 쉬워 서울시 조사

    서울·부산등 대도시에서 최근 2∼3년 사이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난 음식백화점들이 대형화재 참사나 집단 식중독사고를 빚을 우려가 큰 것으로 지적되고있다. 서울시가 최근 조사한 바에

    중앙일보

    1982.02.17 00:00

  • 인삼다집서 술팔아 30%가 접대부도 둬

    서울시내 인삼찻집의 3분의1이 인삼차외에도 술·코피등을 팔고 심지어는 접대부까지 고용, 가무음곡등 업태를 위반하고 있는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시는 지난달 23일부터 시내 인삼찻집 1

    중앙일보

    1981.12.15 00:00

  • 연화광업·석포재련등 4개공장 낙동강에 중금속폐수 배출

    환경청은 19일「카드뮴」·납등 중금속을 대량으로 배출해 낙동강상류의 수질을 크게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영풍광업소연화광산(경북봉화군소천면대현리)등 4개공장과 구미공단등

    중앙일보

    1980.06.20 00:00

  • 불법시설 이미용소 4곳 허가취소

    성동구는 9일 이·미용업소에 대한 일제단속에 나서 각종 준수사항을 위반한 1백36개소를 적발, 이 가운데 장소를 무단으로 옮겼거나 시설을 법에 맞지 않게 마음대로 바꾼 4개 업소를

    중앙일보

    1979.05.10 00:00

  • 저장·안전시설 미비업소엔 가스공급 중지키로 성동구, 2곳에 공급중단, 시설개수령

    서울시는 4일 고압「가스」를 다량으로 사용하거나 많은 사람이 모이는 특정 고압 「가스」사용처 및 판매소가운데 「가스」 저장시설이 없거나 각종 안전시설을 갖추지 않은 곳에 대해서는「

    중앙일보

    1978.10.04 00:00

  • 81개 탄광에 시설 개수령

    동력자원부는 17일 합동광산보안 검사실시 결과 보안시설이 미비한 우전탄좌에 대해서는 작업중지 명령을 내리는 한편 채탄갱도 관리 등이 부실한 81개소에 대해 보안명령을, 기타 화약관

    중앙일보

    1978.08.17 00:00

  • 소방시설 개수령 세 차례나 어겨

    「라이온스·호텔」화재사건은 그동안 큰 화재가 발생했을 때마다 지적된 문제점이 개선되었더라면 이렇게 큰 피해를 가져오지는 않았을 것이라는데 문제점이 있다. 소방시설 미비로 지난해

    중앙일보

    1978.04.17 00:00

  • 허가 업소 식품 15·8%가 유해

    유해 식품 단속 중앙 대책 본부는 17일 3차 단속 기간인 9, 10월 2개월 동안 전국 식품 제조 허가 업소에서 만든 식품 8백99건을 수거, 이중 4백5건을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중앙일보

    1976.11.17 00:00

  • 공해업소 대표 구속

    【부산】부산지검 한부환 검사는 14일 매연「개스」·소음 등 심한 공해를 배출, 당국의 시설개수명령에도 이를 외면해 온 경남 김해군 대저읍 사덕리 143 영진기업사(제재소) 대표 박

    중앙일보

    1976.11.15 00:00

  • 시설미비 식품업소 8백30개소를 적발|27개소 영업정지

    유해식품단속 중앙대책본부는 27일 전국식품제조허가업소 1천2백4개소에 대한 시설조사를 실시, 시설기준에 부적합한 8백30개 업소를 적발, 이중 27개업소를 영업정지처분하고 나머지

    중앙일보

    1976.08.27 00:00

  • 허가업소 제조식품 10%가 유해

    유해식품단속 중앙대책본부는 4일 전국허가업소에서 제조한 식품 2헌7백76건을 수거, 보건연구원 등에서 성분 검사한 결과 10%선인 2백 65건이 유해식품으로 판명되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1976.08.05 00:00

  • 매연빌딩 백76개 적발

    서울시는 20일 신촌전화국(마포구서교동)등 1백76개 굴둑매연「빌딩」에 대해 오는 2월말까지 시설개수 명령을 내렸다. 시는 지난15일부터 40명의 직원을 동원, 시내 2천2백19개

    중앙일보

    1976.01.20 00:00

  • 단속 소홀 틈타 늘어나는 매연 차량|굴뚝 연기 겹쳐 대기오염도 위험치 육박

    차량과 굴뚝매연에 의한 대기오염이 당국의 단속 소홀을 틈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차량 배기「개스」의 대기오염은 대부분이 낡고 정비가 제대로 안된 「버스」에 의해 빚어지는 것

    중앙일보

    1975.10.28 00:00

  • 화재 무방비의 「빌딩」군

    이번의 대왕 「코너」화 재에 큰 충격을 받으면서 가연성 물질로 가득 찬 대도시의 「빌딩」 숲 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정말 「고뇌에 찬 화택」속에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착각마저 갖게

    중앙일보

    1975.10.15 00:00

  • 과대광고·부정의약품 판매한|24개 약방에 행정처분

    서울시는 6일 과대광고·부정의약품 판매 등으로 적발된 백제약국 (영등포구영등포동2가32)에대해 3개월 간 영업정지처분과 함께 검찰에 고발하는 등 시내 24개 약국을 행정처분. 행정

    중앙일보

    1975.09.06 00:00

  • 당인동발전소등 2백26개업체에 |집진장치 설치령

    서울시환경당국은 29일 대기오염을 막기위해 연간유류 5백㎘ 이상을 사용하는 당인동발전소등 2백26개 대규모업체에 대해 오는78년까지 3년동안 아황산「개스」까지도 흡수할수 있는 집진

    중앙일보

    1975.08.29 00:00

  • 공해업소 6곳 조업정지

    서울시는 20일 공해업소에 대한 단속강화책으로 시설개수령을 받고도 이를 이행치 않은 6개 공해업소를 조업 정지시키고 13개 업소에 공업지구나 타도로 옮기도록 이전명령을 내리는 한편

    중앙일보

    1975.06.20 00:00

  • 호텔 등 소방시설 개수령 외면

    서울시내 5층이상 고층건물과 호텔·시장·아파트 등 특수건물의 대부분이 소방시설 개수령을 받고도 이를 제대로 이행치 않고 있다. 이는 지난9일 남대문시장의 화재사건을 계기로 서울시

    중앙일보

    1975.06.18 00:00

  • 셔터의 미로속 꺼질 줄 모르는 불길

    남대문시장 중앙동상가 D동의 화재는 불과 지상4층의 작은 빌딩 화재인데도 불길은 잡힐 줄 모르고 심야부터 대낮까지 한나절이 넘도록 내연한 최장시간 연소화재였다. 불길은 2중, 3중

    중앙일보

    1975.06.10 00:00

  • 「풀」장 시설기준을 강화

    서울시는 26일 올해 수영장관리지침을 마련, 시내 옥내외 수영장 27곳에 대한 시설기준을 강화하는 한편 오는 5월말까지 시설 개수령을 내리고 시설별로 점검을 실시, 미달업소는 영업

    중앙일보

    1975.04.26 00:00

  • 아파트 보일러 매연-주택가 환경 오염 심각

    시내 일부 아파트 단지에 세워진 난방용 「보일러」의 굴뚝에서 내뿜는 매연이 주택가의 대기를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3일 시 환경 당국에 따르면 영동지구 A-D 차관 아파트 단지 (

    중앙일보

    1975.03.03 00:00

  • 목욕탕 등급제로 수·양·가로 분류

    서울시는 18일 시내대중목욕업소 등급사정지침을 마련, 오는 6월까지 시내 9백17개 목욕탕에 대한 시설 및 위생검사를 실시해 업소를 「수」「양」「가」 등 3등급으로 분류토록 각 보

    중앙일보

    1975.02.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