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훈범의 세상사 편력] 최후의 승리는 패배의 순간 결정된다

    [이훈범의 세상사 편력] 최후의 승리는 패배의 순간 결정된다

    이훈범중앙일보 j 에디터 ‘사후인지편견(hindsight bias)’이란 게 있습니다. 어떤 일이 벌어지고 난 뒤, 마치 사전에 그런 결과를 예상하고 있었던 것처럼 믿는 현상을

    중앙일보

    2011.04.16 01:30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185) 여전사 68명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185) 여전사 68명

    ▲항일전쟁 시절 팔로군 산둥(山東)종대 조직부장 출신 우중롄(吳仲廉·앞줄 맨 오른쪽)은 친구 쩡즈(曾志·앞줄 왼쪽에서 일곱째)의 소개로 1927년 입당했다. 그는 신중국 변호사

    중앙일보

    2010.10.04 09:34

  • 혁명과 전쟁 소용돌이 거친 여전사 68명 한자리에

    혁명과 전쟁 소용돌이 거친 여전사 68명 한자리에

    항일전쟁 시절 팔로군 산둥(山東)종대 조직부장 출신 우중롄(吳仲廉·앞줄 맨 오른쪽)은 친구 쩡즈(曾志·앞줄 왼쪽에서 일곱째)의 소개로 1927년 입당했다. 그는 신중국 변호사 제

    중앙선데이

    2010.10.02 21:31

  • [분수대] 인민 낙원

    [분수대] 인민 낙원

    “아담과 이브는 인류 최초의 공산주의자였다. 입을 옷이 없어 벌거벗었고, 먹을 거라곤 달랑 사과 한 개뿐이었다. 살 집조차 없었다. 그런 주제에 자기들이 낙원에서 산다고 확신했다

    중앙일보

    2010.05.10 20:03

  • 나토군대 수백 명 붉은광장 첫 행진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군대가 역사상 처음으로 러시아군과 나란히 모스크바의 붉은광장을 행진한다. 러시아는 9일 제2차 세계대전 승전 65주년을 맞아 미국·영국·프랑스·폴란드 등 4

    중앙일보

    2010.05.07 01:23

  • [중앙시평] 현재권력과 미래권력이 만날 때

    권력 투쟁의 역사는 인간 잔혹사와 궤를 같이한다. 스탈린의 피의 숙청사도 잔혹 무비지만 조선 왕조의 숱한 사화(士禍) 또한 그에 뒤지지 않는다. 그중 잔혹 극치가 사도세자 뒤주 살

    중앙일보

    2010.04.07 00:26

  • [그때 오늘] 스탈린이 키운 ‘붉은 전문 인력’, 소련의 새 특권층 형성

    [그때 오늘] 스탈린이 키운 ‘붉은 전문 인력’, 소련의 새 특권층 형성

    스탈린(1879~1953년·왼쪽 셋째)은 프롤레타리아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당원과 노동자의 대학 입학을 장려했다. 광부의 아들로 태어나 15세부터 판금공(板金工)으로 일하던 흐루

    중앙일보

    2010.03.02 00:38

  • [세계는 지금] 스탈린 50년 만에 부활하나

    [세계는 지금] 스탈린 50년 만에 부활하나

    소련의 독재자 이오시프 스탈린이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 모스크바시는 5월 9일 제2차 세계대전 승전기념일을 앞두고, 시내 곳곳에 스탈린 초상 사진이 들어간 플래카드를

    중앙일보

    2010.02.22 02:22

  • [그때 오늘] 한반도 분단의 씨앗 뿌린 얄타회담 열리다

    [그때 오늘] 한반도 분단의 씨앗 뿌린 얄타회담 열리다

    얄타회담에서 한자리에 모인 세 거두. 앉은 사람 왼쪽부터 처칠, 루스벨트, 그리고 스탈린.1945년 2월 4일 우크라이나의 소도시 얄타의 리바디아 궁에서 세 거두(巨頭), 즉 미국

    중앙일보

    2010.02.06 00:33

  • [그때 오늘] 레닌 사망 … 신학생 출신 스탈린이 우상화 작업 주도

    1923년 뇌졸중으로 세 번째 쓰러진 레닌(1870~1924)은 휠체어에 의존해야했고, 의사와 간호사 40명으로 이루어진 의료팀이 그를 돌봤다. 신경외과전문의(오른쪽)가 뒤에 서

    중앙일보

    2010.01.26 01:00

  • 뉴스 인 뉴스 세계의 총기 규제

    뉴스 인 뉴스 세계의 총기 규제

    우리나라는 엄격하게 총기 소유를 규제해 총기 사고가 드문 반면, 미국 등 총기 소유를 허용하는 나라에서는 사고가 빈번합니다. 사고를 막기 위해 총기 소유를 금지하면 될 것 아니냐

    중앙일보

    2009.12.21 08:32

  • [이양수 칼럼] 마오쩌둥의 핵, 김정일의 핵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전략·전술의 귀재’라는 마오쩌둥은 1954년 8월 돌연 대만해협에 있던 진먼(金門)·마쭈(馬祖)섬을 무자비하게 폭격했다. ‘대만 해방’을

    중앙선데이

    2009.06.01 10:27

  • “한·미 대북정책 바뀔 때까지 국지전 등 긴장수위 올릴 것”

    “한·미 대북정책 바뀔 때까지 국지전 등 긴장수위 올릴 것”

    정세현(사진) 전 통일부 장관은 31일 “최근 북한의 강경 정책은 미국의 관심끌기용인 동시에 후계자의 업적을 쌓기 위한 명분용”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초강수를 통해 상황이

    중앙일보

    2009.06.01 02:54

  • 마오쩌둥의 핵, 김정일의 핵

    마오쩌둥의 핵, 김정일의 핵

    ‘전략·전술의 귀재’라는 마오쩌둥은 1954년 8월 돌연 대만해협에 있던 진먼(金門)·마쭈(馬祖)섬을 무자비하게 폭격했다. ‘대만 해방’을 명분으로 10개월간 수만 발의 폭탄을

    중앙선데이

    2009.05.30 23:02

  • [유상철의 중국산책] 蓋棺論定

    '개관논정'(蓋棺論定). 죽고 난 뒤 그 사람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내린다는 뜻이다. 1953년 가오강(高崗)은 마오쩌둥의 후계자가 되고자 했다. 중국 동북지방을 독립왕국처럼 주무

    중앙일보

    2009.05.25 08:49

  • [글로벌 아이] ‘부시 격하운동’에 제동 건 오바마

     흐루쇼프 서기장이 주도한 ‘스탈린 격하운동’이 한창이던 1961년, 제22차 소련 공산당 전당대회. 레닌의 열렬한 추종자였던 70대의 여성혁명가 도라 라주르키나라가 연단에 올랐다

    중앙일보

    2009.05.19 00:37

  • [분수대] 세 남자

    [분수대] 세 남자

    미국 대통령이었던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뉴딜정책의 주인공이다. 그 뒤엔 3명의 조연이 숨어 있다. 이념과 출신 배경은 전혀 다르지만 모두 땀과 열정을 바쳤다. 루스벨트는 이들을 조화

    중앙일보

    2008.12.09 00:29

  • [정진홍의소프트파워] 연해주의 야생 벼를 아십니까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로 2시간 남짓 날아가면 러시아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에 닿는다. 해삼이 많아 ‘해삼위(海蔘威)’라고 불린 블라디보스토크. 본래 고조선과 발해의 땅이었고 구한말

    중앙일보

    2007.09.28 19:09

  • 그 곳에도 사람이 살고 있네만…

    세계 곳곳 가보지 않은 곳이 별로 없다. 하지만 북한처럼 이상한 나라는 없었다. 평양에 도착한 뒤 두어 시간 만에 아리랑 축전이 열리는 운동장의 귀빈석에 앉아 북한은 참 이상한

    중앙일보

    2007.06.06 13:56

  • 체제붕괴 불안감에 김일성 때부터 집착

    체제붕괴 불안감에 김일성 때부터 집착

    북한 핵실험으로 인해 온 세계가 떠들썩하다. 어쩌다 이런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는가. 그동안 북한은 자신의 존재를 인정해 달라고 줄기찬 요구를 했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

    중앙일보

    2006.10.12 04:52

  • 억압·굴종 굴레서 해방 꿈꾸는 여인

    억압·굴종 굴레서 해방 꿈꾸는 여인

    카테리나는 삶에 낙이 없는 젊은 주부다. 남편은 따분한 사람이다. 잠시 집을 비우며 아내에게 요구하는 게 정절 서약이다. 시아버지는 음흉하다. 아이가 없다는 핑계로 며느리를 몰아

    중앙일보

    2006.09.05 18:00

  • 한승조 교수 일본 월간지 '正論' 기고한 글 전문

    다음은 한승조 교수가 지난달 9일 '현명한 소수의 홈페이지 http://www.wisemid.org'에 올린 글입니다. 한 교수가 일본 월간지 '正論'에 기고한 글의 원형에 해당합

    중앙일보

    2005.03.04 23:23

  • [한승조 교수 일본 월간지 '正論' 기고한 글 전문]

    다음은 한승조 교수가 지난달 9일 '현명한 소수의 홈페이지 http://www.wisemid.org'에 올린 글입니다. 한 교수가 일본 월간지 '正論'에 기고한 글의 원형에 해당합

    중앙일보

    2005.03.04 18:49

  • [한승조 교수 기고문 요약]

    '친일 반민족행위'를 둘러싼 네가지 시각이 있다.첫째는 친일행위를 반민족행위로 단죄하는 공산주의자의 입장이다. 둘째는 기본적으로는 첫번째와 같은 입장이나 처벌 대상을 좁혀 다소

    중앙일보

    2005.03.04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