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행정구역별 학교 소산 계획.

    학교를 동사무소 옮기 듯 하려는 서울시의 행정구역별 학교 소산 계획은 과연 온당한 것인가. 전통과 유서 깊은 서울시내 학교를 판잣집 철거하듯 이전시키려는 계획을 두고서 따지고 넘어

    중앙일보

    1977.06.29 00:00

  • 월말께나 확정될「반월」입주기업 선정 기준

    반월 신 공업도시에 입주할 기업체 선정기준을 마련중인 상공부는 5월말이나 늦어도 6월초에는 기준을 확정할 예정. 입주업체는 수도권 지역에 있는 용도지구위반업체를 우선하되 종업원 3

    중앙일보

    1977.05.18 00:00

  • 최저 대지면적 45평

    오늘날 세계의 모든 대도시들이 안고 있는 공통의 문제점의 하나는 곧 숨막힐 듯한 과밀현상이다. 이 같은 과밀현상 때문에 도시의 외관적 측면인 「도시미관」 및 「근린과의 조화」가 깨

    중앙일보

    1977.03.25 00:00

  • 수도권 주거용 건물 대지하한 45평으로 높여

    정부는 인구 재배치 계획에 따른 건축규제조치의 일환으로 수도권 안에서 주거용 건축물을 지을 경우 건축용지의 하한선을 현행 27평에서 45평으로 대폭 높이고 건폐율 및 용적율을 대폭

    중앙일보

    1977.03.24 00:00

  • 수도권 인구 재배치 계획 세부내용

    (과도한 예산과 인력의 신규 소요 없이 77년 중에 시행에 옮길 수 있는 시책) ◇막는 시책 ▲공장 신·증설억제=수도권에서는 공장의 신설을 금지. 다만 공업지역은 증설만을 허용하

    중앙일보

    1977.03.08 00:00

  • 강북에는 위생업소 못 짓게 택지조성 규제·건폐율 인하

    기본 계획은 수도권 지역의 토지 이용을 대폭규제, ▲강북의 성수동·창동·의정부·도암·팔당 등 전역과 강남의 안양천 등 공장이 없는 지역을 비공업 지역화하여 소산시키고 ▲「아파트」

    중앙일보

    1977.03.08 00:00

  • 「충청권」토지이용 계획 수립

    건설부는 행정수도건설계획과 관련·대전· 청주· 천안 등을 포함하는 충청권에 대해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한 토지이용 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하고 3월부터 이를 위한 토지이용 분류장작성에 들

    중앙일보

    1977.02.15 00:00

  • 경기전역·강원일부 수도권 포함

    26일 하오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속개된 경제정책협의회에서는 정부측이 마련한 국토 및 산업입지계획안을 중점토의 했다. 이 계획안에 따르면 지역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수도권정비개발

    중앙일보

    1976.07.27 00:00

  • 서울시 용도지역을 변경

    서울시는 1일 정부의 녹지보존을 위한 도시계획 재정비 방침에 의거 서울시도시계획 용도지역 중 녹지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상업지역을 축소, 주거지역 및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 했다.

    중앙일보

    1976.04.01 00:00

  • 강남북 연결 4개 간선도로망 구축|동·서거점 도시도 개발

    서울시는 25일 한강을 중심으로 강남·북에 치우친 도시개발 계획을 다소 바꾸어 중심간선도로를 경계로 동·서부거점도시를 개발, 정비하는 내용의 「수도권도시정비계획」을 마련했다. 정부

    중앙일보

    1975.11.25 00:00

  • 난지도포함한 강북 백35만평

    서울시는 16일 강북지역 개발억제책으로 한강하류의 난지도를 포함한 서대문구상암동일대 준공업지역 1백35만평을 녹지지역으로 용도를 변경, 고시했다. 이는 서울시가 수도권인구소산책을

    중앙일보

    1975.08.16 00:00

  • 구획 정리

    서울시는 올해 총 사업비 1백3억 원을 들여 12개 지역 1백76만9천9백73평에 토지 구획정리사업을 벌인다. 구획정리 사업은 산을 깎고 낮은 지대를 메워 평탄한 택지를 만들고 구

    중앙일보

    1975.01.28 00:00

  • 토지이용계획 33% 완성

    건설부는 올 들어 1백 17닢의 토지이용계획도를 작성, 72, 73년 중에 만들어놓은 1백 4닢까지 합하면 전국토의 33%에 대한 장기토지이용계획이 완성되었다고 발표했다. 토지이용

    중앙일보

    1974.11.15 00:00

  • 수도권 10개 도시의 계획

    건설부는 수도권 10개 도시의 도시계획지구 재조정작업에 착수하고 15년 후(1990년 현재)를 내다본 인구 규모를 책정, 발표하였다. 이에 의하면 l5년 후 이들 10개 도시의 인

    중앙일보

    1974.07.30 00:00

  • 수도권 토지이용계획 9월중에 고시

    건설부는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한 수도권(서울 및 경기도)지역의 토지이용계획 및 이에 따른 용도지정을 9월중에 고시할 계획이다.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해 토지의 용도를 농업·산림·공업·도

    중앙일보

    1973.08.06 00:00

  • 과밀도시 서울|지역사회 균형발전 공업의 지방분산 대한상의 연구논문에서

    서울의 인구집중 방지를위해 마련되고 이달말까지 최종안을 만들라는 박대통령의 지시가있어 과밀도시 인구집중 억제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를 계기로 지난1월 대한상공회의소

    중앙일보

    1973.02.08 00:00

  • 도시공장 분산추진

    정부는 수도권 인구의 지방분산과 국토의 균형있는 개발을 위해 공장지방 이전 촉진세법을 새로 제정 할것을 검토 중이다. 3일 관계당국에 의하면 정부가 제청을 검토중인 공장지방 이전

    중앙일보

    1973.02.03 00:00

  • 차관시설·공장 등 공해시설「준공업지역」에만 사용케

    서울시는 26일 수도권인구 집중과 공해방지 대책의 하나로 현재 중앙부처에서 인·허가하는 외자도입시실을 비롯, 전자·섬유공업 등의 신규시설은 서울시도시계획 용도 지역중 준공업 지역안

    중앙일보

    1973.01.26 00:00

  • 지방 산업 진흥청 설립을

    대한상의는 대도시와 수도권에 집중된 산업 시설의 과감한 지방 분산과 도시별 복합적 기능 배분을 감안한 용도별 토지 이용 제도의 확립 등 지역 사회의 균형 발전을 위한 공업 분산 정

    중앙일보

    1972.12.20 00:00

  • 수도권 인구문제

    정부가 6백만 명을 초과할 기세에 있는 수도권의 인구억제책에 대하여 일찍이 볼 수 없던 본격적 자세로써 대처하고 있음은 뒤늦게나마 다행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마침 서울특별시에서 6

    중앙일보

    1972.09.25 00:00

  • 수도권 개발제한 지역을 확대

    7월30일자 수도권개발 제한구역 지정조치가 큰 파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장자 확대될 수도권역을 대상으로 수원·안양개발 제한구역 등을 추가 지정하는 한편 계속해서 3차

    중앙일보

    1971.09.16 00:00

  • 사유지에 공권행사

    정부는 국토종합개발 계획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위해 토지이용기본법과 수도권 정비법을 새로 제정하는 한편 이와 관련해서 지방공업개발법과 지방세법을 개정할 방침이다. 9일 밝혀진 국토종

    중앙일보

    1971.09.09 00:00

  • 입안 5년…확정된 국토종합개발계획

    81년을 목표 싯점으로 잡은 국토종합개발계획이 최종 확정됐다. 67년에 입안작업을 시작한 이후 만5년만에 확정된 이 계획은 격심한 도시팽창 현상에 대비키 위한 지역·도시별 인구배분

    중앙일보

    1971.09.08 00:00

  • 도시계획등 20개안건 토의

    서울시는 2일하오2시 시청상황실에서 제3차수도권행정협의회를 가졌다. 67년12윌 경기도와 서울시간에 맺어진 수도권행정협의규약에 따라 열리는 이번회의에는 도시계획·확장에 따른 렵조등

    중앙일보

    1970.07.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