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922)| 종로 YMCA의 항일 운동 (32)|전택부

    전회에서 말한바와 같이 YMCA는 3·1운동에의 길을 먼저 닦아놓았는데도 불구하고 비겁하게 피했다는 오해를 받게 됐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해를 받게된 이면에는 아주 근거가 없는

    중앙일보

    1973.12.11 00:00

  • 내일은 입춘

    3일은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 구정이다. 초상으로부터 전해진 옛풍습을 따르는 많은 가정에서는 이날아침 차례를 지내고 친척과 가까운 친지를 찾아 세뱃길에 나섰다. 양력설을 지낸 가정

    중앙일보

    1973.02.03 00:00

  • 장기 폐문에 의원 부업 성행

    3월 국회가 공화당의 「보이콧」으로 두 번째 개점휴업 상태가 되게되자 신민당은 그런 대로의 대안을 찾고있다. 두 달간의 외유서 돌아온 박병배 정책심의회 의장은 3일 하오 「뉴서울·

    중앙일보

    1972.03.04 00:00

  • 희귀한 병 이 군을 돕자

    재생불량성빈혈증에 걸린 이상기군(19·수원시 숭화동273)의 투병의지를 굳게 하자는 메아리는 각계에 번져 18일 서울경희여중(교장 박정훈) 학생들은 이상기군의 치료비로 3만원을 모

    중앙일보

    1972.02.18 00:00

  • 막내동이 경일에게 주는 새해 엄마의 동화

    경일이와 경애, 그리고 아빠와 엄마가 할아버지네 집에를 갑니다. 경일이는 푹신푹신한 의자에 무릎을 세우고 앉아 차장 밖을 신나게 내다보고 있습니다. 커다란 버스가 뒤로 휙휙 물러갑

    중앙일보

    1972.01.05 00:00

  • 아시아|대만

    대만의 「크리스머스」는 행헌 기념일과 겹친다. 제헌 국민 대회에서 헌법이 통과된 것이 46년12월25일이었기 때문이다. 젊은이들이 12월25일의 의의를 행헌 기념일에서보다 크리스머

    중앙일보

    1971.12.24 00:00

  • 상훈군 친 운전사에 2년 선고

    서울형사지법 남윤호판사는 15일 김상숙군(6)을 치어 죽이고 뼁소니 쳤다가 자수한 한은종피고인(38)에게 업무상과실치사 및 시체유기죄 등을 적용, 징역2년에 벌금1만원을 선고했다.

    중앙일보

    1971.03.15 00:00

  • (778)구정 유감

    27일은 구정이다. 남들은 달나라에 가서 월석까지 캐 가지고온 오늘날이니 우리라고 구정에 대해서 향수를 고집할 필요는 전혀 없다. 구정의 거리는 때때옷을 입은 어린이와 젊은 여인들

    중앙일보

    1971.01.27 00:00

  • 아버지의 끈덕진 설득주효 운전사 한이 자수하기까지

    상훈군을 치어 죽인 한은종(30)의 자수는 『죄를 짓고는 못산다』는 아버지 한일균씨(51)의 끈덕진 설득이 이끈 것이었다. 상훈군이 실종 된지 11일 만인 지난 12일 밤 희미한

    중앙일보

    1971.01.14 00:00

  • 정초의 방문과 예절

    새해 인사를 위한 가정방문은 옛날처럼 의례적이고 의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휴일을 함께 즐기며 새해를 축하하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평소에 친한 사이라면 미리 약속해 두는 것이 편리

    중앙일보

    1970.12.29 00:00

  • 전쟁잊은 「테드」|「사이공」거리엔 꽃시장

    【사이공=양태조특파원】한해전 폭탄이 떨어지던「웽훼」거리의 「테트」(구정)는 국화·장미·「글래디올러스」그리고 이름 모를 아름다운 열대지방 꽃속에 명절기분에 들떴다. 시민들은 한때나마

    중앙일보

    1969.02.17 00:00

  • 정초의 강추위. 히히 세뱃돈 굳었다. 올해에도 고도성장 다짐. 계명은 말고 닭의 조기만 본뜨면 되지. 정초에 불 19건. 시가 보상해야, 시민의 추위 그만큼 덜어줬으니…. 전국 시

    중앙일보

    1969.01.04 00:00

  • 때때옷 성시|구정아침은 영하8도

    30일은 음력설-. 정부의 2중과세철폐방침에도 오랫동안의 풍습을 버릴수없는듯 거리마다 온통 설기분에가득찼다. 상가는 대부분 문을닫았고 식품점·제과점·양품점등 선사품을 파는상점은 문

    중앙일보

    1968.01.30 00:00

  • (41)이중 과세

    「설날」이 다가오면 손꼽아 기다리던 어린시절이 그리워진다. 꼬마들은 색동저고리 노랑 저고리 다흥치마 꽃밭을 이루고 옥색바지 남색조끼입는 도련님들. 세뱃돈이 주머니를 따 뜻 하게 채

    중앙일보

    1968.01.04 00:00

  • 세배

    요사이 젊은 세대들이 어린 아이에게?아빠?란 말 대신에 ????를, ?안녕?이란 말 대신에 ?빠이빠이?를 가르치는 세상에 세배 이야기를 ?면 어느 이방의 고담으로 느낄는 지 모르겠

    중앙일보

    1968.01.01 00:00

  • 망년회

    망년회란 것이 언제부터 생겼는지 알 수 없지만 내 개인의 경우로 말한다면, 스물 네댓부터 직장생활을 해왔고 그 때부터 해마다 연말이 되면 거의 빠지지 않고 망년회란 것을 해 왔으니

    중앙일보

    1967.12.29 00:00

  • (40)(이조 중엽-말엽 인물중심) - 유홍열|문호개방의 선각자 남종삼(하)

    이에 대원군은 머리를 끄덕거려 찬의를 표하면서 이 일은 큰 일이며 또 시간을 지체할 바 아니니 내가 숙고하여 행할 터이로되 그대들은 이런 이야기를 검토 누설시키지 말라. 나의 결

    중앙일보

    1967.0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