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핵심 시설 ‘중이온가속기’ 연구개발도 파행 불가피

    핵심 시설 ‘중이온가속기’ 연구개발도 파행 불가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가속력을 지닌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강입자가속기(LHC). 지난해 이를 이용해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를 발견했다. [사진 유럽핵입자물리

    중앙선데이

    2014.07.22 10:22

  • [주목! 이 책] 분배냐 인정이냐 外

    [주목! 이 책] 분배냐 인정이냐 外

    분배냐 인정이냐(낸시 프레이저, 악셀 호네트 지음, 김원식·문성훈 옮김, 사월의책, 400쪽, 2만5000원)=개인이나 집단의 정체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것은 우리 시대의 상식이

    중앙일보

    2014.04.05 00:58

  • [사설] 우주 탄생의 비밀 풀렸다

    138억 년 전 하나의 점이 대폭발(big bang)을 일으켜 지금의 우주로 팽창했다는 이론이 17일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 연구진에 의해 입증됐다. 세계 천체물리

    중앙일보

    2014.03.19 00:01

  • "교내 과학동아리 활동, 입시 큰 도움 … 저명한 물리학자가 꿈"

    "교내 과학동아리 활동, 입시 큰 도움 … 저명한 물리학자가 꿈"

    장윤선양이 6일 온양한올고 졸업식 후 교내에서 기념촬영을 했다.KAIST 물리학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포항공대 물리학과, 한양대 물리학과, 충북대 의예과. 6일 온양한올고를 졸

    중앙일보

    2014.02.07 00:02

  • 노벨상 발표 날 예고하고 잠적한 '은둔의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으로 ‘신의 입자’는 다시 주목을 받았지만 정작 영광의 주인공인 피터 힉스는 모습을 감췄다. 수줍음이 많고 겸손하기로 유명한 힉스는 이미 수상자로 결정되기 전에

    중앙일보

    2013.10.09 01:39

  • 건국대, 그래핀 구조 밝힌 물리학계 '논문왕'

    건국대, 그래핀 구조 밝힌 물리학계 '논문왕'

    물리학부 박배호 교수 물리학부 박배호(42) 교수는 세계 나노 물리학계에서 주목 받는 신진 과학자로 건국대의 연구 업적 우수교수 특별승급 1호이기도 하다. 2008~2011년 발표

    중앙일보

    2013.08.19 00:30

  • 중앙일보·교보문고 선정 2012 올해의 좋은 책 10

    중앙일보·교보문고 선정 2012 올해의 좋은 책 10

    2012년도 역사 속으로 저물어간다.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아 올 출판계도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오늘의 고민과 내일의 비전을 제시하려는 ‘책의 소명’은 변함이 없었다.

    중앙일보

    2012.12.15 00:56

  • [사설] 기초과학의 힘 … 힉스입자 연구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소속 과학자들이 우주의 비밀을 풀어줄 힉스입자(Higgs boson)로 추정되는 새로운 소립자(素粒子)를 발견했다고 밝혀 전 세계 물리학계가 흥분하고

    중앙일보

    2012.07.06 00:01

  • “힉스로 보이는 입자 발견 … 공식화는 일러”

    “힉스로 보이는 입자 발견 … 공식화는 일러”

    호주 멜버른의 과학미디어센터에서 4일 피에르 오돈 페르미연구소장이 힉스 입자 연구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로이터=뉴시스]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입자(Higgs boson)

    중앙일보

    2012.07.05 01:31

  • 신의 입자, 힉스입자 보일듯 말듯 고개 내밀어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입자(Higgs boson)를 찾는 것은 전세계 물리학자들에겐 반세기 넘게 이어져온 숙제다.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표준모형 이론에

    온라인 중앙일보

    2012.07.04 18:04

  • CERN, 새 물질 발견 … ‘신의 입자’ 힉스일 가능성 99.99994%

    영국 학술지 네이처는 3일 온라인 뉴스를 통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힉스입자일 가능성이 큰 새로운 입자를 찾았다고 보도했다. CERN에서 힉스입자를 탐색하고 있는 두 연구

    중앙일보

    2012.07.04 01:49

  • 물리학계의 샌델, 또 다른 명강의로 안내하다

    나의 행복한 물리학 특강 월터 르윈 지음 고종숙 옮김, 김영사 416쪽, 1만6000원 정의를 주제로 한 미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 교수의 강의 동영상은 문화적 충격을 안겼다. 정의

    중앙일보

    2012.06.16 00:58

  •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일본을 포함한 국제연구팀이 지난해 “뉴트리노(소립자의 하나)가 빛보다 빠르다”고 발표했던 실험결과가 잘못된 것임을 인정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오는 8

    중앙일보

    2012.06.04 01:35

  • ‘유령입자’ 3번째 비밀, 한국도 풀었다

    ‘유령입자’ 3번째 비밀, 한국도 풀었다

    원자로에서 생성되는 중성미자를 잡는 근거리 검출기(왼쪽)와 원거리 검출기(오른쪽). 외부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 290m, 1380m 떨어진 산속에 터널을 뚫어 설치했

    중앙일보

    2012.04.04 00:20

  • 가속기 속 ‘초미니 빅뱅’, 힉스 찾는다

    가속기 속 ‘초미니 빅뱅’, 힉스 찾는다

    강입자가속기의 검출기에 잡힌 힉스로 추정되는 흔적. 노란색 선들은 일반 입자가 지나가면서 만든 자국이다. 위쪽 빨간색의 굵고 긴 선 4개가 각각 전자(電子,e)의 궤적으로, 힉스

    중앙일보

    2012.02.06 00:01

  • [뉴스 클립] 2011 시사 총정리 ⑫ (11월21일~12월17일)

    [뉴스 클립] 2011 시사 총정리 ⑫ (11월21일~12월17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약자 SNS. 스마트폰 확산으로 갈수록 뉴스의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 양방향 소통의 총아가 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말 많은 극소수의 확성기로 변질되는 양상이

    중앙일보

    2011.12.21 00:29

  • [j Story] 인간 이병철 “신이 있다면 자신의 존재 왜 드러내지 않나”

    [j Story] 인간 이병철 “신이 있다면 자신의 존재 왜 드러내지 않나”

    잠자던 질문이 눈을 떴다. 무려 24년 만이다. 삼성의 창업주 고(故) 이병철(1910~87) 회장이 타계하기 한 달 전에 천주교 신부에게 내밀었던 종교적 물음이 언론에 처음 공개

    중앙일보

    2011.12.17 01:30

  • ‘신의 입자’ 힉스…존재 확인 가능성

    영국의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내기에 걸었던 100달러를 딸 수 있을지 없을지 13일(스위스 현지시간) 윤곽이 드러날 것 같다. 호킹 박사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중앙일보

    2011.12.09 01:09

  • [J 스페셜 - 수요지식과학] “돈 안 되는 기초기술이 인류 삶 바꿔”

    [J 스페셜 - 수요지식과학] “돈 안 되는 기초기술이 인류 삶 바꿔”

    더글러스 오셔로프 미 스탠퍼드대 교수(왼쪽)와 김은성 KAIST 교수가 9일 대전 KAIST 회의실에서 대담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199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더글러

    중앙일보

    2011.08.10 01:45

  • [백가쟁명:유주열] 허쩌후이(何澤慧)와 삼전(三錢)

    지난 6월 20일 중국의 물리학계의 마지막 큰 별이 떨어졌다. 중국의“퀴리부인” 허쩌후이(何澤慧)(1914.3-2011.6)박사는 남편 전삼강(錢三强)(1913.10-1992.6)

    중앙일보

    2011.06.30 17:16

  • [J 스페셜 - 수요지식과학] 소설 『천사와 악마』 속 반물질 규명하나

    [J 스페셜 - 수요지식과학] 소설 『천사와 악마』 속 반물질 규명하나

    우주는 137억 년 전 태어났다. 그 억겁의 세월에 비하면 17년은 미미한 시간이다. 하지만 16일(현지시간) 미국 우주왕복선 인데버호의 발사 장면을 지켜본 세계 물리학자들의 심

    중앙일보

    2011.05.18 01:26

  • “사람들 지능 대부분 비슷 … 꿈 있느냐가 차이”

    “사람들 지능 대부분 비슷 … 꿈 있느냐가 차이”

    김은성 교수 영하 273도의 초유체 액체 헬륨에 열을 가하면 순식간에 분수로 솟구친다. 열 전달률이 구리의 30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유체를 회전시키면 하나의 소용돌이가 점점 커

    중앙일보

    2011.05.13 00:01

  • 제2회 홍진기 창조인상 수상자 3인의 소감

    제2회 홍진기 창조인상 수상자 3인의 소감

    왼쪽부터 과학부문 김은성 KAIST 교수, 사회부문 이강래 원광대 교수, 문화부문 박종선 가구 디자이너 제2회 홍진기 창조인상 각 부문 수상자들의 소감은 그 자체가 창조의 비밀을

    중앙일보

    2011.05.03 00:18

  • 제2회 홍진기 창조인상 수상자

    제2회 홍진기 창조인상 수상자

    홍진기 창조인상은 대한민국 건국과 산업 발전기에 정부·기업·언론 분야에서 창조적인 삶을 실천하는 데 힘을 쏟았던 고(故) 유민(維民) 홍진기 전 중앙일보 회장의 유지를 기리기 위

    중앙일보

    2011.05.02 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