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의 입자, 힉스입자 보일듯 말듯 고개 내밀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입자(Higgs boson)를 찾는 것은 전세계 물리학자들에겐 반세기 넘게 이어져온 숙제다.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표준모형 이론에 나오는 17종의 입자 중 오직 힉스입자만 찾지 못하고 있어서다.

세계 물리학계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4일(한국시간 기준) 호주 멜버른 국제고에너지학회(ICHEP)에서 힉스 발견을 선언할지에 주목해왔다. 표준 모형의 마지막 퍼즐 조작이 맞춰질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CERN은 단일 기기로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가속기로 힉스입자를 찾고 있다. CERN은 이날 “힉스입자로 보이는 새로운 입자를 발견했지만 발견을 공식화 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보다는 진전됐지만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본지 6월 4일자 2면>

125~126 GeV (기가전자볼트) 질량대에서 새로 발견한 입자가 힉스가 아닐 확률은 0.00006%(5시그마)로 희박하다. 그래도 CERN은 '힉스 발견 선언'을 다시 미뤘다. 데이터를 더 모아 분석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번 발표는 CERN이 지난해 12월 95~98%(1.9~2.3시그마, 시그마는 표준편차)의 확률로 힉스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밝힌 데이터 보다 그 신뢰도가 아주 높아졌다. 물리학에서 새로운 입자가 발견됐다고 선언하려면 5시그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번 발견은 그런 조건은 충족한다.

힉스를 찾기 위한 CERN의 두 연구팀 중 하나인 CMS의 한국팀 대표인 서울시립대 박인규 교수는 “새로 발견한 입자는 힉스의 많은 특징을 나타내고는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교수는 "오래 동안 보지 못한 친구를 찾았는데 하필이면 쌍둥이 형제(이번 발견한 힉스 추정 새로운 입자)가 나타나 그 중 누가 진짜 인지를 가려내는 작업이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CERN이 발견 선언을 하지도 않을 것이면서 굳이 지난해 말에 이어 중간 발표를 한차례 더 한 이유는 유럽의 경제 위기와 연관이 있다는 관측이 많다. 경제난을 겪고 있는 유럽의 한 두 나라가 "별다른 성과가 없다"며 CERN 지원금을 못내겠다고 한다면 그 영향이 도미노처럼 다른 나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bpark@joongang.co.kr

☞힉스입자=137억 년 전 무한대의 에너지로 우주가 대폭발(빅뱅)할 때 순식간에 태어났다 사라져 버린 입자다. 표준모형에 나오는 우주를 이루는 기본 입자들에 질량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영국 물리학자 피터 힉스의 이름을 따서 ‘힉스입자’의 이름을 지은 사람은 한국 과학자 고(故) 이휘소 박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