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베스트 닥터] 국산 항암제 임상시험 주도 … 신약 개발 터 닦아

    [베스트 닥터] 국산 항암제 임상시험 주도 … 신약 개발 터 닦아

    “국제학회에서 발표하던 일본 의사가 방영주 교수가 손을 드니 반사적으로 흠칫 물러서더군요. 방 교수가 통계 오류에 대해 지적했는데, ‘설마’하고 확인하니까 방 교수가 정확히 짚은

    중앙선데이

    2014.10.05 02:15

  • 곤충 요리 세미나 가보니

    곤충 요리 세미나 가보니

    1일 서울 경희대 호텔관광대학 양식실습실에서 최수근 교수가 곤충인 갈색 거저리 튀김을 뿌린 스테이크를 선보이고 있다. 식용유에 30초 튀긴 거저리는 바삭바삭한 과자 맛이 난다.

    중앙일보

    2014.10.04 02:20

  • [한비야의 길 !] 지친 구호팀장의 구원투수

    [한비야의 길 !] 지친 구호팀장의 구원투수

    한비야유엔 자문위원 내 예상이 완전히 빗나갔다. 막판에 파견근무지가 시리아에서 필리핀으로 바뀌었을 때는 주말을 이용해 산과 섬으로 돌아다닐 수 있을 줄 알았다. 지난해 발생한 하이

    중앙일보

    2014.10.04 00:42

  • 아내와 딸에게 들려주고픈 ‘성형의 진실’

    국내에서 시행되는 성형 시술의 종류는 15개 신체부위 130여 개가 넘는다. 지난 8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전국 160개 병원 홈페이지 정보를 바탕으로 집계해 발표한 결과다. 가장

    온라인 중앙일보

    2014.10.03 00:15

  • 병원 마케팅, '소셜 미디어'를 통한 성공 법칙

    병원 마케팅, '소셜 미디어'를 통한 성공 법칙

    ▲ 사진출처: 중앙DB 환자를 모으는 병원 마케팅이 새로워지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서비스 가입자 현황자료를 보면 스마트폰의 가입자 수가 2014년 2월 38,155,507명

    온라인 중앙일보

    2014.10.02 10:18

  • 줄기세포로 퇴행성관절염 치료 국제화의 디딤돌

    줄기세포로 퇴행성관절염 치료 국제화의 디딤돌

    강남 연세사랑병원 세포 치료연구소 연구원이 줄기세포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아래 사진은 강남 연세 사랑병원 전경. [사진 강남 연세사랑병원] 퇴행성관절염 치료는 그동안 단순했다.

    중앙일보

    2014.10.02 00:10

  • 0.1㎜ 오차 있어도 ‘동작 그만’ … 인공관절 로봇수술 무결점 재활

    0.1㎜ 오차 있어도 ‘동작 그만’ … 인공관절 로봇수술 무결점 재활

    이춘택 병원장이 말기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로봇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로봇수술은 10년이 지나도 인공관절 중심축이 어긋난 사례가 한 건도 없었다. [사진 이춘택병원]

    중앙일보

    2014.10.02 00:10

  • 치매 치료, 칼 대지 않고 머리띠형 기기로 잡는다

    치매 치료, 칼 대지 않고 머리띠형 기기로 잡는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이 내 손에 있는데, 연구논문만 쓰고 있을 순 없죠.”  머리띠형 치매 치료기기를 개발 중인 윤경식(29·사진) 와이브레인(Ybrain) 대표가 창업을

    중앙일보

    2014.09.29 00:50

  • [시론] 북한 전염병 고통 덜어줄 지원 나서자

    [시론] 북한 전염병 고통 덜어줄 지원 나서자

    이혜경(사)새삶 대표·약사탈북 여성 박사 2호 가을바람이 불면서 남한에서는 에볼라가 잊혀지고 있다. 그러나 서아프리카에서 시작된 에볼라는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 감

    중앙일보

    2014.09.29 00:10

  • [과학人 과학in]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이 그린 그림과 찍은 사진이 부러운 이유

    [과학人 과학in]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이 그린 그림과 찍은 사진이 부러운 이유

    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대학원대학의 스케치스 오브 사이언스 전시 모습. 얼마 전 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대학원대학(Okinaw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

    중앙선데이

    2014.09.28 03:51

  • 나노 미사일, 나노 로봇 … 불치병 전선으로

    나노 미사일, 나노 로봇 … 불치병 전선으로

    나노 과학은 미세한 세계다. 암세포를 찾아가 진단과 표적치료를 동시에 하고, 적혈구 이상도 치료할 수 있는 나노 로봇은 휼륭한 감시자이자 치료자다. 관련기사 출동! 나노 로봇,

    중앙선데이

    2014.09.28 03:30

  • 가상공간의 내가 멋져 보일 때 중독이 시작됩니다

    가상공간의 내가 멋져 보일 때 중독이 시작됩니다

    스마트폰 중독, 질리도록 하면 낫는다? 나이가 들면 자제력이 생긴다? 생활에 지장이 갈 순 있지만 뇌를 망치는 건 아니다? 게임만 아니라면 스마트폰을 오래 써도 좋다? 이소영 순

    온라인 중앙일보

    2014.09.28 00:05

  • 카레에 뇌 손상 치유 성분 존재…오늘 저녁은 카레 먹을까?

    카레에 뇌 손상 치유 성분 존재…오늘 저녁은 카레 먹을까?

    ‘카레에 뇌 손상 치유 성분’. [사진 중앙포토]카레에 뇌 손상을 치유하는 성분이 들어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BBC 뉴스에 따르면 독일 신경과학 의학연구소의 아델레 뤼거

    온라인 중앙일보

    2014.09.27 16:40

  • '노벨상 족집게' 톰슨로이터, 한국인 2명 포함 예상후보 27명 선정

    '노벨상 족집게' 톰슨로이터, 한국인 2명 포함 예상후보 27명 선정

    한국인과 한인 동포 과학자가 다음달 발표될 노벨상의 수상 예상자 명단에 처음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학술정보서비스 업체인 톰슨로이터는 25일 총 9개국, 27개 기관의 연구자 27

    중앙일보

    2014.09.26 02:21

  • [중앙시평] 수퍼 중국경제, 협업경쟁력으로 맞서야

    [중앙시평] 수퍼 중국경제, 협업경쟁력으로 맞서야

    안충영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경제학자 중국 광둥(廣東)성(省)에 省 대신 國자를 붙여 보면 우리 경제에 필적하고도 남음이 있다. 인구가 한국의 두 배를 넘고 면적이 한국의 두 배에 가

    중앙일보

    2014.09.26 01:02

  • [시론] 우울증 치료 못하면 우울한 사회 된다

    [시론] 우울증 치료 못하면 우울한 사회 된다

    우종민인제대 서울백병원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바야흐로 백세 장수시대다. 오래 사는 시대에는 몸의 건강만큼이나 마음의 건강이 중요하다. 사실 정신이 건강하지 못하면 육체적인 건강에도 문

    중앙일보

    2014.09.25 00:36

  • [커버 스토리] 왜 죽음을 얘기해야 하나

    [커버 스토리] 왜 죽음을 얘기해야 하나

    캘버리 묘지에서 바라본 맨해튼의 스카이라인. 뉴욕 JFK국제공항에서 맨해튼으로 들어가는 고속도로 양 옆에는 넓은 캘버리 묘지가 있다. 미국뿐 아니라 다른 많은 나라에는 이처럼 묘지

    중앙일보

    2014.09.24 00:10

  • [비즈칼럼] 저물가·저성장, 우리의 발목 잡을 '괴물'

    [비즈칼럼] 저물가·저성장, 우리의 발목 잡을 '괴물'

    하태형현대경제연구원장 경제부총리의 8월말 발언 뒤 우리나라가 디플레에 진입했느냐, 아니냐의 논쟁이 뜨겁다. 이 논쟁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디플레이션에 진입하였는지를 따지는 것 자체

    중앙일보

    2014.09.23 00:55

  • [분수대] 한국 로맨스 드라마의 힘

    중국을 홀린 ‘별에서 온 그대’가 이번에는 미국으로 간다. 지상파 방송사 ABC가 리메이크를 결정했다. 세계적인 제작사 소니픽처스 텔레비전이 ‘미드(미국드라마)’로 재탄생시킨다.

    중앙일보

    2014.09.20 00:18

  • 선진국은 실내 금연부터 … 자동차·집 등 사적공간까지 확대

    선진국은 실내 금연부터 … 자동차·집 등 사적공간까지 확대

    기자가 영국의 축구 문화를 취재하기 위해 맨체스터를 방문한 것은 2007년 12월이었다. 영하의 날씨였지만 젊은이들은 퍼브(Pub·술집) 현관 밖에 우르르 모여 담배를 피우고 있

    중앙일보

    2014.09.17 02:42

  • 맨손 도전하는 기업가 정신, 공학·의학도에게도 필요

    맨손 도전하는 기업가 정신, 공학·의학도에게도 필요

    셰흐트만 교수의 노벨상 수상 연구인 준결정의 발견은 1982년 당시엔 이단시되기도 했다. 몸담고 있는 연구그룹에서 나가달라는 요구를 받았다. 그는 “실패는 괜찮다. 다시 시작하라”

    중앙일보

    2014.09.17 01:04

  • [컬리지 인사이드] 16명 교수가 노벨상 수상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C San Diego)는 탁 트인 해변이 멋진 ‘샌디에이고의 보석’이라고 불리는 라호야에 위치한 공립대학이다. 1903년 스크립스 해양연구소(Scri

    미주중앙

    2014.09.16 05:42

  • [궁금한 화요일] 뇌 비밀 푼다, 광유전학

    [궁금한 화요일] 뇌 비밀 푼다, 광유전학

    “뇌가 우리가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단순했다면 우리는 너무 단순해서 뇌를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2008년 사망한 과학저술가 라이얼 왓슨이 남긴 유명한 역설이다. 하지만

    중앙일보

    2014.09.16 01:54

  • 헬스 News

    '통증의 날' 건강강좌 개최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형중)이 오는 18일 오전 11시부터 병원 3층 중강당에서 ‘통증의 날’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평소여러 통

    중앙일보

    2014.09.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