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긴급조치 제4호-전문

    1, 전국 민주청년학생총연맹과 이에 관련되는 제단체(이하「단체」라 한다)를 조직하거나 또는 이에 가입하거나, 단체나 그 구성원의 활동을 찬양, 고무 또는 이에 동조하거나, 그 구성

    중앙일보

    1974.04.04 00:00

  • 데모 학교는 폐교 처분|대통령 긴급조치 제4호 3일밤 10시기해 선포

    박정희 대통령은 3일 하오 10시 학원 사태에 관한 긴급조치 제4호를 선포, ▲「전국 민주청년학생총연맹」과 이에 관련되는 제단체를 조직하거나 가입하는 등의 행위 ▲학생의 정당한 이

    중앙일보

    1974.04.04 00:00

  • 울릉도 거점 간첩단의 검거

    신직수 중앙정보부장은 15일 동해상의 울릉도를 기점으로 무려 10여년간에 걸쳐 암약해온 47명의 북괴 간첩단을 검거했다고 발표하고, 그들의 범죄 혐의와 그동안의 수사 경위를 일일이

    중앙일보

    1974.03.16 00:00

  • 울릉도 거점 대규모 간첩단 범죄사실

    전영관 (44·울릉군 남면도 동 373-8) 62년 12월 남파간첩 전덕술에게 포섭, 그와 함께 월북 노동당에 입당 당시 연락부장 이효순으로부터 울릉도를 전진기지화하여 지하망을 조

    중앙일보

    1974.03.15 00:00

  • 북괴서 대결을 강요

    김종필총리는 20일『북괴는 한동안 우리가 주장한 대화에 응하는 듯 했지만 이제 또다시 우리에게 대결을 강요하는 자세를 뚜렷이 하고 있다』고 말하고『우리가 일단 허점을 드러내면 북한

    중앙일보

    1974.02.20 00:00

  • 북괴 대남 비방전단 살포

    정부대변인 윤 주영문공부장관은 15일『북한공산주의집단이 최근 대한민국 전복을 선동하는 불온전단을 휴전선 이남에 살포하기 시작했다.』고 담화를 통해 발표했다. 윤 장관은『지난10,

    중앙일보

    1974.02.15 00:00

  • 박대통령 연두회견 요지

    ▲북한의 평화협정 주장에 대해=평화협정이라는 말이 처음 나은 것은 71년8월 미국「뉴요크·타임스」지의 기자가 중공을 방문, 주은내를 만났을 때 주가 끄집어 낸 얘기다. 그후 북한은

    중앙일보

    1974.01.18 00:00

  • 장준하·백기완씨 구속

    비상보통군법회의 검찰부는 15일 하오 장준하씨(59·전국회의원) 백기완씨(42·백범사상연구소대표)에 대하여 대통령긴급조치 제1호 제1,4,5항 위반으로 각각 구속영장을 발부, 구속

    중앙일보

    1974.01.16 00:00

  • (상)대결이나 협력이냐

    「아시아」지역에 4강에 의한 다극세력 균형체제가 태동하면서 등장한 두 신흥세력은 일본과 중공이 다. 이 두 나라는 다같이 전통적인 「아시아」의 토착세력으로서 미·소 등 초강대국에

    중앙일보

    1974.01.10 00:00

  • 대통령 긴급 조치 선포|헌법 부정·왜곡·개정 청원 행위 등 일체 금지

    박정희 대통령은 8일하오 헌법 제53조에 의한 대통령 긴급조치권을 발동해 ⓛ헌법을 부정·반대·왜곡 또는 비방하는 일체의 행위 ②헌법의 개정 또는 폐지를 주장·발의·제안. 또는 청원

    중앙일보

    1974.01.09 00:00

  • 긴급 조치 l호|긴급 조치 2호

    1.대한 민국 헌법을 부정, 반대, 왜곡 또는 비방하는 일절의 행위를 금한다. 2.대한 민국 헌법의 개정 또는 폐지를 주장, 발의, 제안 또는 청원하는 일절의 행위를 금한다. 3

    중앙일보

    1974.01.09 00:00

  • 대통령 긴급조치 해설-정부설명 요지

    현대적 국가 긴급권은 사후대책적 성격보다는 사전예방적 성격이 보다 강하다. 현대적 국가위기는 전쟁이나 천재·지변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경제적 공황, 사회내부의 분열과 혼난, 재정적

    중앙일보

    1974.01.09 00:00

  • (897)제33화 종로 YMCA의 항일운동(7)|전택부

    「이또」통감은 부임하는 즉시로 YMCA를 눈의 가시처럼 느꼈다. 왜냐하면 우선 YMCA는 외국인 세력의 본거지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YMCA는 일본의 정치체제와는 관계없이『중

    중앙일보

    1973.11.12 00:00

  • (827)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45)|박갑동

    1950년5월17일 김삼룡·이주하·정태식 등에 대한 특별군사재판이 열리었다. 김삼룡은 체포당할 때 입고있던 횐 한복차림 그대로였다. 찢어진 바지가랑이가 그대로 너불너불하였다. 민

    중앙일보

    1973.08.20 00:00

  • (800)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18)

    미·소 공위가 깨어지고 48년 1월초 한국에 온「유엔」이 임시 조선위원단이 남한만의 단독선거실시를 결정하자 공산당은 단독선거를 방해할 목적으로 곳곳에서 폭동을 일으켰다. 남로당은

    중앙일보

    1973.07.19 00:00

  • (798) 내가 아는 박헌영-제31화

    「프락치」침투 남로당이 중간파 세력을 포섭하기 위해 「프락치」활동을 강화한 것은 공산당에 대한 당국의 탄압이 가중될 것을 예상한, 당 활동의 제한성을 극복하려는 안간힘이었다. 동시

    중앙일보

    1973.07.17 00:00

  • (797) |내가 아는 박헌영 (115)|박갑동

    남로당은 7·27공위 경축 시민 대회와 8·15기념 폭동 음모를 최종적인 당의 합법 활동으로 결론짓고 그 뒤부터는 당원들의 사상 교양을 강화하는 등 자체 정비 작업을 벌었다. 당

    중앙일보

    1973.07.16 00:00

  • (795) | 내가 아는 박헌영 (113)

    공산당이 「공위 경축 및 임정 수립 촉진 대회」 등을 여는 등 대중을 이용한 선전 선동을 끊임없이 벌이지만 공위는 그날을 거듭할수록 점차 난항을 면치 못했다. 이러자 공산당은 「

    중앙일보

    1973.07.13 00:00

  • (794)|내가 아는 박헌영-선전과 선동

    1947년5월21일에 재개되어 10월18일 제62차 본회의까지 진행된 미·소 공위에 대해 북한은 『공위의 사업은 미국의 팽창정책과 남한 반동파들의 매국적 파괴음모로 완전히 파탄되었

    중앙일보

    1973.07.09 00:00

  • (480)|인도군의 포로 관리 (5)|설득 설전 (1)

    중립지대 안의 반공 포로들은 모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하여 인도군 포로 관리의 초점이었던 이른바 「설득 설전」에서도 개가를 올렸다. 우선 반공 청년단 조직과 수용소 단위로 편성된

    중앙일보

    1973.07.06 00:00

  • 재미교포·정계침투 간첩망 검거-보안사 발표

    육군보안사령부는 29일 재미교포들 속에 침투, 미국 민에게 주한미군 철수여론을 조성하고 반전「데모」를 선동하라는 지령을 받은 간첩 김철우(45·이학박사·전북해도대학조교수)일당과 중

    중앙일보

    1973.06.29 00:00

  • (477)|중립지대 안의 수용소(2)|인도군의 포로관리(2)

    53년10월1일과 2일.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 남방에 설치된 반공포로수용소에서 수명의 사망자와 10여명의 부상자를 낸 인도군의 「총격사건」은 또 한번 한국정부와 국민을 격노케 했다

    중앙일보

    1973.06.29 00:00

  • 반국가단체 조직 불온인쇄물 살포|고대생등 11명 구속 첫 공판

    서울형사지법 합의8부 (재판장 권종근 부장판사)는 21일 상오10시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사무국장 김낙중(37)이 중심이 된 국가보안법 및 반공법 등 위반사건에 대한 첫 공판을

    중앙일보

    1973.06.21 00:00

  • 곳곳서 관서습격·우익인사 마구학살|미군정서 대구일대에 계엄령을 선포

    이른바 대구폭동을 일으켰던 공산당의 난동분자들은 경북도 인민위위원장 이상훈, 인민보안대장 나윤출의 지시에따라 소위 청년행동대원 1백명내지 2백명씩을 1개분단으로 묶어 대구역전 광

    중앙일보

    1973.06.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