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지하철 매표소 증설 5월부턴 자판기도

    서울시는 18일 출·퇴근시간 때면 크게 붐비는 지하철 1호선의 각 역에 매표창구를 2∼3개씩 증설하고 승차권 자동판매기 30대를 설치키로 했다. 자동판매기(대 당 가격1백40만원)

    중앙일보

    1981.02.18 00:00

  • 31일 지하철운행 새벽0시30분까지

    서울시는 「제야의 종」타종이 있는 31일 시민들의 귀가편의를 위해 지하철1호선(서울역∼청량리간) 과 2호선의 운행을 다음날 새벽0시30분까지 1시간 연장 운행키로 했다.

    중앙일보

    1980.12.25 00:00

  • 지하철 승차권 자동판매기 내년에 30대를 설치

    서울시는 내년도에 2억원을 들여 서울역과 청량리역 잠실종합운동장역 등 3개 지하철역에 30대의 승차권자동판매기를 설치키로 했다. 이는 지하철 이용승객이 급증하는데 따른 승차권 판매

    중앙일보

    1980.12.10 00:00

  • 출퇴근때의 지하철|너무 붐벼 타기도 어렵다|최고 정원의 2, 3배까지|2호선 개통후 1호선 혼잡 더 심해져

    지하철 2호선 1구간 개통(10월31일) 후 늘어난 승객때문에 1호선인 종로선의 「러시·아워」 혼잡도가 최고 정원의 2백32%에 이르러 만원「버스」보다 차타기가 더 어려운 것으로

    중앙일보

    1980.11.07 00:00

  • 상경노인 지하철서 역사

    3일 하오6시쯤 지하철1호선 종로5가와 동대문역사이 철로에서 유재룡씨(79·충북단양군영춘면유암리76)가 서울기관차사무소소속 청량리발 구로행 제303전동차(기관사 이원지·31)에 치

    중앙일보

    1980.11.04 00:00

  • 신설동∼잠실간을 23분에 주파

    『뚜』 서울강남 잠실을 끼고 도는 한강철교위로 전철이 달린다. 「베이지」색바탕에 녹색띠가 산뜻한 전동차가 잠실대운동장 지하역을 미끄러지듯 빠져나간지 20여분. 서울동부 중심주택가인

    중앙일보

    1980.10.31 00:00

  • 부산지하철 기공

    서울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번째로 부산시지하철이 20일 상오10시 부전동 연장에서 기공됐다. 20일기공된 1호선은 구서동∼서이∼시청앞∼구덕운동장에 이르는 전장22.5km이며 85년

    중앙일보

    1980.10.20 00:00

  • (하)81년 예산 안 풀이-국민생활

    정부가 새해 예산을 「복지예산」이라고 내세울 수 있는 것은 사회개발비가 비교적 많이 늘어난 때문이다. 그만큼 교육·보건·주택 등에서 전에 없던 적극성을 보인 셈이다. 이 부문은 워

    중앙일보

    1980.10.02 00:00

  • 강남북을 뚫은 지하철 2호선 시운전

    지하철을 타고 서울의 강남북을 오간다. 앞으로 한달. 10월말이 되면 서울 잠실대운동장에서 신설동역에 이르는 강남북 14.1km를 지하철을 타고 오가는 「지하철시대」의 새로운 막이

    중앙일보

    1980.09.27 00:00

  • 지하철2, 3, 4호선 환기통 지상 2m에 설치

    서울시는 지하철 2, 3, 4호선에 설치되는 환기구를 땅 위에서 2m 높이로 가설, 지하에 1호선보다 맑은 공기를 공급키로 했다. 이는 지하철 1호선의 환기구가 땅 위에 바로 설치

    중앙일보

    1980.09.05 00:00

  • 승차권 하나로 바꿔 탈수 있다

    서울시는 10월 개통되는 지하철 2호선 1구간(잠실운동장∼신설동역) 영업구간을 1호선(종로역)과 같이해 승차권을 다시 사지 않고 차를 바꿔 탈 수 있도록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차

    중앙일보

    1980.07.23 00:00

  • "지하철 시대"의 새 장이 열린다 2호선 1구간 10월말에 개통

    지하철을 타고 서울 강남·북을 오간다. 앞으로 3개월. 10월말이 되면 신설동역에서 잠실대운동장에 이르는 강남·북 14.1㎞를 지하철을 타고 오가는「지하철 시대」의 새로운 막이

    중앙일보

    1980.07.17 00:00

  • 지하철역에 화장실이 없다

    서울역 등 지하철 1호선 지하역과 남영역 등 전철간이역에 승객들을 위한 화장실이 없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현재 화장실이 없는 전철역은 지하철1호선 9개 지하역 모두와 13개 간

    중앙일보

    1980.07.14 00:00

  • 지하철 2·3·4호선역에 임대점포 짓기로

    서울시는 9일 지하철2·3·4호선의 지하역에 간이음식점을 비롯, 약국·서점·전시장등 각종편의시설을 들이기로하고 점포를 역구조물에 어울리도록 영구시설로 만들기로 했다. 이에따라 시는

    중앙일보

    1980.06.10 00:00

  • 10월 개통 앞둔 지하철 2호선 시험

    ○…앞당겨질 「지하철 시대」. 10월 개통을 앞두고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서울지하철2호선 신설동역∼잠실운동장 사이 14.1km에 5일 「모터·카」가 시험운행돼 한강남북이 전철로 이

    중앙일보

    1980.06.07 00:00

  • 지하철Ⅱ호선 오늘 시험운행

    10월에 준공, 개통될 서울지하철 2호선 구간 중 신설동역에서 잠실대운동장 역까지 14.1㎞의 「레일」이 모두 깔려 5일 상오 시험운행 됐다. 이 구간공사는 11개 역 청사와「레일

    중앙일보

    1980.06.05 00:00

  • 10월개통 목표, 공사한창|지하철1호선-2호선잇는 잠실구간공사 90%진척

    서울강남 잠실운동강앞 지하에 5천평크기의 거대한 전철역이들어섰다. 잠실대교와 천호대교사이 한강에는 전철이달릴 잠실철교 (1.27㎞) 가 새로놓여졌고 11개의 크고 작은 역구조공사도

    중앙일보

    1980.06.02 00:00

  • 지하철 2·3·4호선 객차에 냉난방 시설키로

    서울시는 지하철 2호선과 민자로 건설되는 3, 4호선에 운행할 열차 차량을 편(편)당 6대(현행종로선)에서 10대로 4대를 늘리기로 하는 한편 차량에 냉난방시설을 모두 갖추기로 했

    중앙일보

    1980.03.18 00:00

  • 신촌∼서소문구간 지하철 공사|고가도로 헐지않고 쌍굴뚫어 시공키로|청담·서초·역삼·내곡동등에 7천 만원들여 급수관매설 착공

    서울시는 3일 지하철2호선 구간가운데 내년초에 착공할 나머지 <합정동∼신촌∼아현동∼서소문∼시청 앞∼을지로구간에 있는 아현고가차도 및 서소문고가차도·한양대아래구간은 「터널」 공법으로

    중앙일보

    1979.12.03 00:00

  • 시청앞 지하에 교통광장건설계획

    서울시는 총3백억원의 민자를 유치, 시청앞광장지하에 차도와 주차장을 갖춘 지하교통광장을 건설할것을 검토중이다. 이같은 계획은 시청앞광장을 통과하는 차량들이 2∼3차례씩 신호들 받아

    중앙일보

    1979.10.23 00:00

  • 땅 밑 생활하는 사람들에 새 직업병|지하철·지하상가 근무자|호흡기·신경계질환

    지하상가가 크게 늘어나고 지하철이 운행되면서 땅 밑 근무자들 가운데 안질·호흡기·신경계질환을 호소하는 지하병 환자가 늘어나 도시인의 새로운 직업병으로 등장했다. 개통 5년째를 맞는

    중앙일보

    1979.06.28 00:00

  • 졸속공사로 예산낭비가 많다

    서울시가 시행하는 각종건설공사가운데 세운지 2∼3년이 채못돼 뜯고 다시새우는 시행착오를 되풀이하는 졸속공사가 적지않다. 이는 모든 도시계획시설을 입안, 결정하기까지는 오랜 기간을

    중앙일보

    1978.10.27 00:00

  • 지상구간에 차음벽 설치 지하철2호선|나무 침목·2백m짜리「레일」사용

    지하철2호선(순환선)지상구간의 소음방지시설계획이 확정됐다. 4일 서울시가 마련한 소음방지시설의 주요내용은 차음벽을 설치하고, 「롱·레일」을 깔고, 나무 침목과 자갈을 사용하며, 「

    중앙일보

    1978.09.04 00:00

  • 급증하는 이용객…수용방안 없어 고민

    「고속·정확·안전·대량수송』등 대중교통혁명의 기치를 내걸고 출발한 서울지하철1호선(종로선)이 15일로 개통 4주년을 맞는다. l호선은 그동안 외국에서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큰 신장

    중앙일보

    1978.08.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