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중출판 · 실용서] 그것이 있어야 할 자리

    서양인이 '좌청룡우백호(左靑龍右白虎)'를 들먹이며 풍수(風水)를 거론하는 모습은 놀랍다. 크건 작건 풍수지리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힘든 우리 입장에서는 "뭘 안다고 그래"하는 근거없

    중앙일보

    2001.12.08 00:00

  • 푸른 눈의 퇴계학 권위자 내한

    "퇴계학을 이해하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기회를 가져 너무 기쁩니다." 12일 경북 안동 국학진흥원에서 열린 퇴계학 국제학술대회에서 '퇴계와 21세기의 희망'이란 제목으로 기조강

    중앙일보

    2001.10.13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백남준

    미국의 저명한 후기 마르크스주의 문화비평가인 프레데릭 제임슨(77)은 1986년 『플래시 아트』와의 인터뷰에서 백남준을 가리켜 포스트모더니즘의 표상적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그의 비

    중앙일보

    2001.09.06 00:00

  • [와이드 책꽂이] '더불어 사는 인간…' 外

    ◇더불어 사는 인간과 자연(박이문 지음,미다스북스,1만1천원)=지난 20세기를 인류사에서 처음으로 문명에 대한 총체적 자기반성이 시작된 세기라고 말하는 원로철학자 박이문교수가 자

    중앙일보

    2001.04.21 00:00

  • [와이드 책꽂이]

    ◇솟아라 나무야(임경빈 지음·다른세상·1만5천원)=자연과 함께하는 주말,야외로 향할 때 좋은 길벗이 될 만한 책.열다섯 살 때부터 한평생을 나무 공부에 바쳐온 저자가 우리 땅에서

    중앙일보

    2001.03.17 16:04

  • [와이드 책꽂이] '솟아라 나무야' 外

    ◇솟아라 나무야(임경빈 지음 ·다른세상 ·1만5천원)=자연과 함께하는 주말,야외로 향할 때 좋은 길벗이 될 만한 책.열다섯 살 때부터 한평생을 나무 공부에 바쳐온 저자가 우리 땅에

    중앙일보

    2001.03.17 00:00

  • [분수대] 새해가 오면

    2001년, 21세기의 첫날이다. 아서 클라크의 소설을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영화화한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원시인의 몽둥이가 하늘로 날아올라

    중앙일보

    2001.01.01 00:00

  • [밀레니엄 담론] 도법스님의 '한 몸 한 생명론'

    좀 더 나은 삶과 사회를 위해 지난 세기동안 숨 가쁘게 달려왔는데도 아직 우리는 행복하지 않다.지식과 과학,문명과 물질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는데 대량 살육이 일어나고 굶주리고 세대간

    중앙일보

    2000.01.01 00:00

  • [와이드 책꽂이] '더불어 사는 인간…' 外

    ◇더불어 사는 인간과 자연(박이문 지음,미다스북스,1만1천원) =지난 20세기를 인류사에서 처음으로 문명에 대한 총체적 자기반성이 시작된 세기라고 말하는 원로철학자 박이문교수가 자

    중앙일보

    1999.11.30 08:19

  • [새천년을 준비하자] 동서문명 융합이냐 충돌이냐

    중앙일보가 한백연구재단 (소장 공성진) 과 함께 마련한 연중기획 '밀레니엄 포럼' 의 네번째 주제 '동서문명 융합은 가능한가' 의 토론회가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있는 한백연구재단

    중앙일보

    1999.07.05 00:00

  • '문화개혁 시민연대' 8월초 발족

    '문화 민주주의' 를 내걸고 공공문화정책에 비판적으로 참여, 문화개혁을 지향하는 새로운 형태의 시민운동이 추진되고 있다. 오는 8월초 발족예정으로 추진되고 있는 가칭 '문화개혁시민

    중앙일보

    1999.06.25 00:00

  • ['20세기에 대한 역사적 평가'] 역사학대회 내용 요지

    한국의 역사학계는 20세기를 어떻게 평가할까. 답은 오는 28, 29일 서강대에서 열리는 제42회 전국역사학대회 현장에서 구할 수 있다. 올해 대회는 공동주제를 '20세기에 대한

    중앙일보

    1999.05.21 00:00

  • 한국정원의 전통미학 탐구…조경학자 민경현 교수

    경원대 민경현 (조경학.65) 교수의 처음 전공은 숲을 연구하는 임학. 10여년 잣나무를 대하다 그 특유의 생명력에 눈을 떴다. 또 연록색으로 꽃망울을 터뜨리고 흰색으로 개화했다

    중앙일보

    1998.09.10 00:00

  • [98 좋은책 100선]대학·일반부 인문·사회

    □다시 찾는 우리 역사 (한영우.경세원)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사의 궤적을 새롭게 정리한 통사. 지금까지 외면당했던 조선조의 문민전통을 당당하게 복원한 것이 특징이다. □문명의

    중앙일보

    1998.07.09 00:00

  • 환경관련 새 사고·행동양식 주장하는 서적들 출간

    환경문제 하면 대부분 자연파괴나 오염피해를 떠올린다. 환경 파괴의 주범은 곧 인간이라는 공식이 굳어져있다. 딴은 맞는 말이다. 하지만 인간이 아예 사라져야 할까. '인간없는 환경'

    중앙일보

    1997.10.24 00:00

  • [내마음속의문화유산]22.산천재·촉석루·개호송

    문화유산을 답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우리의 전통문화가 새로운 관심을 얻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의 전통 문화유산은 대부분 도시보다는 시골에, 번잡한 곳보다는 한가한 자연경치

    중앙일보

    1997.08.02 00:00

  • 동양적 사유 새 문명 '대안' 부상

    동양적 사유는 과연 새로운 문명적 전망을 제시할 수 있는가. 환경파괴.인종갈등.발전의 정체 등 전세계적 위기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서양의 일부 학계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서구 중심의

    중앙일보

    1997.07.22 00:00

  • 문학 ◇향기나는 소리(이섬 지음)=제3회 국민문학상 당선 시집.일상의 구석구석을 사색하며 삶의 진솔한 측면을 응시.〈민예당.140쪽.4,000원〉 ◇무소새의 눈물(정영희 지음)=지

    중앙일보

    1995.12.10 00:00

  • 제2회 한민족철학자대회-분과 토론 요지

    ◆「지구촌 시대의 민족문화」분과=박성배교수가 「지구촌」이란 개념으로 세계문화와 민족문화의 공존관계를 제시한 데 대해 서강대 엄정식교수는 동서양문화를 기계적으로 분리,서양문화에 대해

    중앙일보

    1995.08.22 00:00

  • (20)프리초프카프라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해가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지는 현상에서부터 바닷물의 간만현상까지 모든 현상은 하느님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었다. 모든 일이 하느님의 사슬에 꽁꽁 묶여 있었고 그 사슬을 조이고 푸

    중앙일보

    1993.07.27 00:00

  • 『출판저널』이 뽑은 오늘의 고전 60선

    격주간으로 발행되는 서평전문지『출판저널』이 지렴1백호를 맞아 기념특집으로「미래를 위한 오늘의 고전 60선」을 꾸몄다. 공산권의 와해로 지성사적 공백상태를 보이고 있는 오늘의 시점에

    중앙일보

    1992.03.08 00:00

  • 학예술원상 시상식

    제26회 대한민국 학·예술원상 시상식이 29일 상오 서울세종문화회관 소강당에서 남덕우국무총리·이규호문교부장관과 학·예술원회원등 관계자 5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있었다. 남총리는 치

    중앙일보

    1981.10.29 00:00

  • 대학의 개혁

    「캘리포니아」대학에서 학원혁명운동이 일어난 것은 1964년경이며 「런던·스쿨」이 66년, 「파리」대학이 65년 ,일본에서도 68년 동대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러한 세계적 움직임은 세

    중앙일보

    1971.11.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