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아열대병 쓰쓰가무시·털진드기, 강원도 문턱까지

    아열대병 쓰쓰가무시·털진드기, 강원도 문턱까지

    기온 상승으로 모기가 급증하자 6월 초 부산의 한 보건소가 아파트 단지를 돌며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인 말라리아가 사라졌다가 1990년대 초 다시

    중앙일보

    2009.11.19 02:48

  • 음료 자판기 안에서 식중독균 검출

    음료 자동판매기 안에 몸길이 7㎜ 이하의 곤충 수십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오사카 아오야마대 건강과학부 아베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의 최근 실험 결과다. 일부 곤충에서

    중앙일보

    2009.11.14 11:04

  • ‘껍데기 없는 날달걀’ 살균·세균검사 없이…연 5억 개, 빵·과자 원료로

    ‘껍데기 없는 날달걀’ 살균·세균검사 없이…연 5억 개, 빵·과자 원료로

    세균에 오염된 달걀이 빵이나 과자의 원료로 쓰인다 해도 국내 법 규정상으로는 문제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행 법에 살균하지 않은 ‘액란(液卵)’을 식품의 원료로 써도 된다고

    중앙일보

    2009.10.21 03:01

  • MY LIFE 도와줘요

    MY LIFE 도와줘요

    독자 이재희(31·주부서울 노원구 월계1동)씨는 “개미 먹이가 될 만한 것은 모두 치우고 개미 잡는 패치도 붙여뒀는데 개미가 좀처럼 없어지지 않는다”며 “집안 벌레나 해충 없애

    중앙일보

    2009.10.13 15:59

  • 음료·빙과류 일부 세균 오염

    충북 지역 패스트푸드점과 대형 마트의 즉석판매장 등지에서 판매되는 음료와 팥빙수 중 일부가 세균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최근 식중독 예방을 위해 도내 휴게음식점

    중앙일보

    2009.08.27 01:25

  • 식당·급식소 조리식품, 식중독균 나오면 처벌

    식품의약품안전청은 13일 음식점과 집단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식품 등 기준 및 규격에 관한 규칙’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집단급식소는 50인 이상에게

    중앙일보

    2009.08.14 02:27

  • [황세희 의학전문기자의 몸&맘] 손씻기, 잘 하자는데 잘 안 되는 이유

    지난주엔 선남선녀의 만남을 주선한 덕에 서울의 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특급호텔 일식당에서 값비싼 회를 대접받았다. 하지만 집에 돌아온 이후 밤새 울렁거림과 구토에 시달려야 했다.

    중앙일보

    2009.08.10 00:31

  • 익히지 않은 고기로도 전염된단 증거 없어

    관련기사 美·中 돼지고기 무역 마찰 격화 “확진·추정 환자 모두 건강…지나친 걱정 필요없어” 국내 첫 확진 환자가 확인되면서 국민의 걱정이 더욱 커졌다. 주의가 필요한 것은 사실

    중앙선데이

    2009.05.02 23:31

  • [브리핑] 살모넬라균 오염 의심 미국산 피스타치오 판매 금지

    [브리핑] 살모넬라균 오염 의심 미국산 피스타치오 판매 금지

    살모넬라균 오염이 의심되는 미국산 피스타치오(사진) 판매가 금지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5일 미국 식품업체 SIF(Setton International Foods)가 제조한 피스타

    중앙일보

    2009.04.06 02:55

  • [박태균 기자의 푸드&메드] 식품 안전 관리 일원화, 말만 많고 실행이 없다

    일본은 야구 강국이자 선진국이지만 식품안전에 관한 한 의외로 허점이 많다. 대표적인 예가 ‘미니컵 젤리’ 사건이다. 이 과자를 먹다가 기도가 막혀 1995년부터 20명이 숨졌다.

    중앙일보

    2009.03.30 01:03

  • [박태균식품의약전문기자의Food&Med] ‘채소=식중독 무풍지대’아니다

    “미국인이 쓰는 1달러 중 25센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규제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품 구입에 지출된다”는 말이 있다. 미국인의 소비생활 중 4분의 1을 FDA가 관장하는

    중앙일보

    2009.03.03 01:15

  • 설 연휴 ‘겨울 식중독’ 비상

    ▶이슈 추적 지난해 11월 28일 오후 충남 아산의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 한 명이 배를 움켜잡고 복통을 호소했다. 이틀 후부터 매일 4~10명의 학생들이 두통·설사·복통·메스꺼움

    중앙일보

    2009.01.24 01:08

  • [박태균식품의약전문기자의Food&Med] 채식은 얼마나 안전한가

    우리 국민의 식탁은 아직 채식이 주다.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인당 하루 평균 1283g의 식품을 섭취하는데, 이 중 식물성 식품이 1027g, 동물성 식품이 256

    중앙일보

    2009.01.19 19:19

  • 미국, “살모넬라균 감염 우려” 땅콩버터 주의보

    미 식품의약국(FDA)이 살모넬라균 감염 우려가 크다며 ‘땅콩버터 주의보’를 발표했다. FDA 식품안전센터 스티븐 선들로프 박사는 17일(현지시간) “추가 발표가 있을 때까지 소비

    중앙일보

    2009.01.19 02:33

  • “양식 광어 항생제 걱정 마세요”

    어민들이 다 자란 넙치를 플라스틱 통에 담고 있다. 양식 HACCP에선 사료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가 항생제 관리 못지않게 중요하다.양식어는 늘 자연산과 비교를 당한다. 양식산은 “

    중앙일보

    2008.10.20 16:14

  • 원유 등급 결정 어떻게 … 세균·체세포 수·지방 함량 따라 차등

     우유의 원료인 원유의 품질을 결정하는 것은 세균 수·체세포 수·지방 함량 등 세 가지다. 이 중 원유의 위생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세균 수와 체세포수다. 세균 수는 1∼4 등급으로

    중앙일보

    2008.09.08 15:45

  • ‘FATTOM’ 전략으로 식중독균 차단한다

    HACCP(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에선 사람에게 식중독 등 위해를 일으키는 요소로 생물학적·화학적·물리적 위해요소 3가지를 흔히 꼽는다. 이 중 전문가들이 가장 중시하는 것은 생

    중앙일보

    2008.08.25 17:03

  • [사설] 방사선과 GMO에 대한 편견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방사선을 쬐어 살균한 시금치·상추의 판매를 승인했다. 방사선 조사 요법은 병원균을 죽이고 식품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FDA의 이번 조

    중앙일보

    2008.08.23 00:14

  • [건강] 숲에서 나오는 보약 '피톤치드' 마셔볼까?  

    [건강] 숲에서 나오는 보약 '피톤치드' 마셔볼까?  

    피톤치드(phytoncide)란 식물을 의미하는 파이톤(phyton)과 살균력을 의미하는 사이드(cide)의 합성어로 식물이 각종 병균과 해충, 곰팡이와 같은 위협 요소들로부터 스

    온라인 중앙일보

    2008.08.01 08:57

  • 그냥 먹지 말고 채소 꼭 익혀 드세요

     무조건 채소를 많이 먹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잘 조리하고 궁합이 맞는 식품과 곁들여 먹어야 채소의 웰빙 효과를 만끽할 수 있다. 우리 국민은 1인당 하루 평균 327g의 채소

    중앙일보

    2008.07.29 00:13

  • 휴가길 파상풍 예방주사, 어른도 맞아 둬야

    휴가길 파상풍 예방주사, 어른도 맞아 둬야

    지난해 7월 말 여름휴가를 맞아 인천에서 열린 록페스티벌에 참가했던 20대 여성 A씨. 신나게 온몸을 흔들며 즐기던 그는 공연 후 급하게 화장실로 달려가다가 물기로 미끌미끌한 철

    중앙선데이

    2008.07.27 01:33

  • [e칼럼] 네 속 불편할 수도…내 얘기 한번 들어볼래

    [e칼럼] 네 속 불편할 수도…내 얘기 한번 들어볼래

    일본에서 유학중인 친구의 얘길 듣다가 속이 뒤집힐 뻔 했다. 룸메이트가 끼니 때마다 밥위에 마요네즈를 뿌려서 비벼먹는데 얼마나 심한가 하면 밥에 마요네즈를 비빈건지 마요네즈에 밥을

    중앙일보

    2008.07.25 09:04

  • [박태균식품의약전문기자의Food&Med] 차·마늘·식초 “식중독, 게 섰거라”

    요즘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www.kfda.go.kr)에 접속하면 지역별 식중독 지수를 볼 수 있다. 기온·습도의 변화에 따른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10∼100(관심·주의·경고

    중앙일보

    2008.07.07 01:09

  • 식중독 증상 대처법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정에선 30건(151명)의 식중독 사고가 발생했다. 그러나 이 통계를 액면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집에서 조리한 음식을 먹은 뒤 식중독에

    중앙일보

    2008.06.27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