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터뷰]차인준 인제대 부총장

    차인준 인제대 부총장은 "의용공학과에만 앞으로 5년동안 1백10억원의 교육비를 투자하겠다" 고 밝혔다. - 의용공학과 발전의 원동력은. "인술제세 (仁術濟世) 의 건학이념을 바탕으

    중앙일보

    1998.11.05 00:00

  • 미국 '초고속성장 100대기업' 아리스社 폴 송 회장

    미 워싱턴주 벨뷰에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컨설팅 및 교육서비스 회사 '아리스 (ARIS)' 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 송영욱 (宋永郁.35.미국명 폴 송) - . 창업 8년만에 회사

    중앙일보

    1998.06.04 00:00

  • 호남대,정보통신교육 계획

    호남대학교가 '정보통신교육의 요람' 을 꿈꾸고 있다. 호남대는 이달초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 사업' 1차 심사를 통과함에 따라 28일 재정지원 신청을 위한 본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

    중앙일보

    1997.07.29 00:00

  • 조선대, '산업디자인 교육의 요람' 꿈꿔

    조선대가 '산업디자인 교육의 요람' 을 꿈꾸고 있다. 조선대 미술대는 지난 4일 미술대론 전국 유일하게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 사업' 1차 심사를 통과, 다음달말 발표 예정인 최종

    중앙일보

    1997.07.18 00:00

  • 6.대학.기업은 동전 앞뒷면

    “Is there any question outside?(외부에서 질문 있습니까)” 스탠퍼드대 공대 강의실.로봇공학에 대한 강의 끝 무렵 교수가 이렇게 물었다. 그러자 강의실에 있

    중앙일보

    1997.01.09 00:00

  • 중앙일보.홍익大 '신문디자인' 産學협동강의 개강

    중앙일보 신문디자인 혁신을 테마로 한 첫 강의가 4일 오전 홍익대 조형관 1004호 강의실에서 시작됐다.본사가 제공한 세계 각국의 신문디자인 관계자료를 펼쳐놓고 시각디자인과 안상수

    중앙일보

    1996.09.05 00:00

  • 대우重-KAIST 소음.진동硏 공동설립

    대우중공업과 한국과학기술원은 소음.진동분야 공동연구를 위해 대전 과학기술원내에 공동연구소를 설립하고 10일 개소식을 가졌다. 이 연구소에서는 앞으로 5년간 대우중공업이 생산하는 디

    중앙일보

    1995.05.12 00:00

  • 직장인 스터디모임 활기-도쿄포럼.도시설계硏.미국경제硏등

    『친목도 다지고 정보도 나누고.』 주로 30대이상 각계 인사들이 월 1회정도 모여 주제발표를 듣고 토론을 벌이는 비공식. 비영리 연구모임이 부쩍 활기를 띠고 있다. 사회인 스터디그

    중앙일보

    1995.05.04 00:00

  • LG전자.과기원,産學공동연구실 개설

    LG전자(대표 李憲祖)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서울 홍릉 한국과학기술원 내에 산학공동연구실인「메카트로 연구실」을 개설했다. 이번 공동연구실 개설은 산학(産學)협동을

    중앙일보

    1995.04.03 00:00

  • 일반기업체 임직원 교수겸임 허용 국.공립대로 확대-교육부

    일반기업체 임직원도 국.공립대학 교수를 겸임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일반기업체 임직원도 국.공립대학의 연구프로젝트에함께 참여하거나 현장에서 쌓은 기술과 연구결과를 학생들에게

    중앙일보

    1995.03.30 00:00

  • 2.교수연구비 분석 이렇게 했다

    교수들의 연구비 분석작업은 소속 교수 1인당 평균 연구비를 지표로 삼았다. 총액기준으로 순위를 매기면 덩치 큰(교수수가 많은)대학이 절대적으로 유리해지기 때문이다. 평가대상 기간이

    중앙일보

    1994.09.24 00:00

  • 2.전체연구비 절반 상위5개大 집중

    지난 한해 국내 1백31개(교대 제외) 전체 4년제 대학의 교수들이 유치한 연구비 총액은 1천9백64억5천만원. 대학별로는 서울대 4백64억,포항공대 1백84억,연세대 1백8억,한

    중앙일보

    1994.09.24 00:00

  • 1.일본 理化學硏

    국제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가운데 과학기술력이 한나라의 생존을 좌우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로 전면에 떠오르고 있다.과학기술력의 장악없이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오늘날의 국제환

    중앙일보

    1994.03.24 00:00

  • 대학 종합평가 항목.대상교 첫 확정 배경과 의미

    국내에서도 대학간 본격 경쟁시대가 시작됐다. 종합평가인정제의 평가항목이 확정되고 7개 대학이 올 첫 평가대상 대학으로 결정됨으로써 객관적으로 우수대학을 평가하는 제도적 틀이 마련됐

    중앙일보

    1994.02.16 00:00

  • 연대안에 산학연구단지/국내 처음/삼성전자·풀무원 입주

    연세대가 국내 대학중 처음으로 산학연구단지를 교내에 조성한다. 또 대학구내의 자동차 통행을 전면 통제하고,대신 구내 순환버사를 운영하는 아른바 「자동차 없는 캠퍼스」를 장기계획으로

    중앙일보

    1994.01.24 00:00

  • 산학협동 하­유럽(선진교육개혁:24)

    ◎독 기업경력 있어야 교수/영 공대생 1년은 학교 1년은 현장/불선 실습생 받는 회사에 세금혜택/영 공대 실습 쉽게 공단내 설립/독 아헨공대 올 프로젝트 3천여건 미국의 대학이 프

    중앙일보

    1993.12.15 00:00

  • 산학협동 상­미국(선진교육개혁:23)

    ◎스탠퍼드대 기술료 수입 1억불/「유전자복제」로 5천만불 벌기도/일 기업들 눈독… 미정부 규제 나서/“첨단두뇌 활용” 기업 앞다퉈 투자/“교육 우선” 교수 「바깥일」 시간제한 미국

    중앙일보

    1993.12.13 00:00

  • 「중간기술자」 집중양성(선진교육개혁:19)

    ◎기업서 곧바로 쓰게 현장교육/대학생보다 전문대생 더 늘려/「학생작품」 평가때 기업도 참여/어떤 기계도 만질 수 있게 철저히 교육 『최초의 변화는 독일 산업의 극성기인 1970년에

    중앙일보

    1993.12.08 00:00

  • 돈벌이 힘쓰는 사학(선진교육개혁:14)

    ◎대학운영도 회사 경영처럼/등록금보다 사업 이익 더 많아/미 교수들 수익사업 앞장선다/전문회사 만들어 해외투자도/하버드 하버드 경영회사(Harvard Management Compa

    중앙일보

    1993.11.27 00:00

  • "「독자기술」만이 우리의 살길"

    「선진국이 될 것이냐, 기술식민지가 될 것이냐.」 우리의 현실을 난국으로 진단, 이를 헤쳐 갈 활로는 『독자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뿐이고 각계지도자가 신바람을 불러일으켜 모든 분야에

    중앙일보

    1992.07.17 00:00

  • 「연구교수제」 처음 도입/2년간 연구만 맡긴뒤 실적따라 임용

    ◎연세대서 채택 연대가 박사학위이상의 고급 두뇌를 교수로 유치,2년동안 연구만을 전담케한뒤 그 실적에따라 강의 교수로 재임용하는 「연구교수제」를 내년 1학기부터 도입키로 해 큰 관

    중앙일보

    1991.10.02 00:00

  • 대학연구성과 사회활용 돼야죠-생물산업협 창립준비 바쁜 서울대 조완규 총장

    『생물공학산업의 효과적이고 종합적인 육성을 위해 대학·기업간의 협조체제를 강화해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0일 전국 48개업체 생

    중앙일보

    1991.07.31 00:00

  • 생산기술 금융지원 절실(아직도 먼 기술개발:4)

    ◎산학협동ㆍ기술전파 미비 보완을 『노벨상이 밥먹여주나.』기업에 몸담고 있는 연구원들 사이에서 오가는 우스갯소리다. 아무리 우수한 이론이라도 그것이 제품화돼 시장에서 팔리지 않으면

    중앙일보

    1990.04.19 00:00

  • 학문 "순수성"요구로 결연 기피|일본의 산학협동 실태를 알아본다

    일본의 견학협동체제 특징은 기업과 대학교수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지하에 묻혀있다는 점이다. 일본의 대학, 특히 국립대학은 우수한 인재를 많이 확보하고 연구실적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기

    중앙일보

    1985.02.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