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논밭·잡종지에도 집 지을수 있다

    토지대장에 지목이 임야·전답·잡종지등으로 되어있어 지금까지 건축을 할수없었던 땅도 내년6월께부터는 부분적으로 건축을 할수있게 된다. 서울시는 10일 토지형질변경 (건축을 위한 택지

    중앙일보

    1985.12.10 00:00

  • 고위공무원 잇단 숙정

    정부는 7월들어 부이사관급이상 고위공직자 3명(청주시장·서울서대문구청장·해운항만청운영국장)을 의원면직했으며 2명(경주시장·부산서구청장)을 직위해제했다. ◇비위=지난11일 권고사직한

    중앙일보

    1985.07.20 00:00

  • 철거 안한것만 다행인가

    30여명의 생명을 한순간에 앗아간 부산문현동 산사태는 사고의 위험을 30여년이나 방치한 산비탈 달동네였다는 점에서 또한번 값비싼 교훈을 남겼다. 이곳은 6·25동란 이후 피난민들이

    중앙일보

    1985.07.08 00:00

  • 건물 등 154개소 호우에 "위험"

    호우가 내리면 무너지거나 유실될 위험을 안고 있어 중 보수를 해야할 B급 시설물이 20개소나 되고 가벼운 손질을 해야할 C급 시설물이 1백업개소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서울

    중앙일보

    1985.07.08 00:00

  • 무행정지대의 산사태

    이번 장마 폭우로 발생한 부산 문현동 황령산 산사태는 이미 예상된 참변이란 점에서 천재를 원망하기보다는 인재를 탓해야할 것이다. 쏟아지는 폭우로 산사태위험을 눈앞에 보면서도 예방과

    중앙일보

    1985.07.06 00:00

  • 비명마저 삼킨 황토더미

    【부산=본사특별취재반】「앗」하는 순간 경사60도의 가파른 산비탈 아래 마을은 황토 뻘 속에 묻혀 버렸다. 사고는 주민들을 대피시키던 중에 일어났으며 장마철을 앞두고 재해위험 및 취

    중앙일보

    1985.07.06 00:00

  • 2백7곳 비 피해 우려

    내주 중 호우가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지역에 붕괴위험이 있는 공사장·건축물·축대·절개지 등이 모두 2백7개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파악된 위험대상은 ▲지

    중앙일보

    1985.07.06 00:00

  • 수해로 집잃은 주민 겨울 날 일이 걱정

    『설악과 한라산엔 벌써 첫눈이 내렸다는데… 집짓기가 늦어져 겨우살이가 큰 걱정이다』 지난 9월초의 집중호우로 피해를 본 수해지역주민들은 요즘 겨우살이 걱정에 새벽공기만큼이나 마음이

    중앙일보

    1984.10.25 00:00

  • 수재의 원인을 생각하자

    지난 1일부터 서울·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1백20여명의 인명피해가 나고 16만명의 이재민을 내는 등 수백억원의 재산피해를 본 것은 우리의 국토가 천재지변에 얼마나 허약한 것인

    중앙일보

    1984.09.03 00:00

  • 그린벨트내 헐벗은 땅 10여만평 12년 방치

    서울시 도시계획 구역의 그린벨트나 녹지지역안에 집도 짓지않고 나무도 심지 않은 나대지 10여만평이 꼴사나운 모습을 드러낸채 10년이상 방치되어있다. 더구나 이들 대지는 택지로 조성

    중앙일보

    1983.08.25 00:00

  • 중앙기상대가 본 올 여름기상|장마

    ○…올해도 어김없이 장마가 찾아왔다. 일본남해상에 걸쳐있던 장마전선이 북태평양 해양성 열대기단의 북상으로 6월말 우리나라 서남쪽까지 치밀고 올라온 것. 1일밤부터 전국적으로 비가

    중앙일보

    1983.07.05 00:00

  • 비에 약한 지하철 공사장|7곳 침수 공사중단…차량통행 제한|호우피해 축대 무너져 중학생 압사|이재민 3백8명·백91가구 침수

    26일 밤부터 27일 새벽사이에 서울·중부일원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서울시내 곳곳이 침수돼 이재민3백8명을 내고 산사태와 도로 축대가 무너져 1명이 압사하는 등 비에 약한 서울을 다

    중앙일보

    1982.07.27 00:00

  • 산사태 위험지역 등 10일까지 일제조사

    서울시는 6월1일부터 10일까지 산사태 위험지에 대한 일체조사를 벌인다. 조사대상지는 ▲토사유출우려가 있는 곳 ▲암반낙석위험지역 ▲채석장주변 ▲도로변절개지 ▲고지대건물 철거지 ▲임

    중앙일보

    1982.05.31 00:00

  • 올주택 개량사업에 5백75억원을 용자

    농협중앙회는 15일 올해 농촌주택개량사업의 세부추진계획을 마련, 1만채의 주택개량을 지원하기위해 5백76억원을 융자해주고 2백개 취락구조개선대상 마을에 대해서도 40억원의 보조금을

    중앙일보

    1981.01.15 00:00

  • 내년 농촌주택개량 올절반인 2만채로

    내무부는 81년도 농촌주택개량동수를 올해의 절반수준인 2만채(지원·자력개량 각1만채)·취락구조개선 대상마을을 2백개로 확정했다. 이처럼 사업물량을 줄인 것은 종래와는 달리 개량대상

    중앙일보

    1980.11.26 00:00

  • 경부고속도 산사태

    【청주】7일 하오1시쯤 충북 옥천군 청성면 묘금리앞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서울기점 1백83㎞ 지점)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6천여t의 돌과 흙이 쏟아져 20시간동안 고속도로 통행이 끊

    중앙일보

    1980.09.08 00:00

  • 수해 상습지역 건축 일체 불허

    정부는 내년부터 수해 상습지역 및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들을 이주시키기로 하고 앞으로 수해 상습지역내의 건축을 일체 불허키로 했다.

    중앙일보

    1980.07.26 00:00

  • 보은서만 8백 곳에 산사태 300㎜ 폭우

    막바지 장마가 수방의 허를 찔렀다. 하루사이에 내린 비로 기간동맥인 경부·호남선이 끊기고 경부고속도로가 두절되는 혼란을 되풀이했다. 비록2㎜가 넘는 집중폭우이긴 했으나 피해가 너무

    중앙일보

    1980.07.23 00:00

  • 경부·호남선 완전복구

    『햇볕 있는 날 지붕을 고쳐야한다』-. 장마철이면 으레 겪는 수해에 대한 항구적인 대책이 미흡하다. 철도주변을 정화하는 데만 신경을 쓰고 철길의 침수나 유실에는 근본적인 대비가 없

    중앙일보

    1980.07.23 00:00

  • 눈가림 수방대책 단비가 "수마"로

    「방심과 무방비」가 철이른 수해를 몰고 왔다. 평균강우량 1백㎜내외에 불과한 이번 비는 평소 수방대책이 철저했던 곳에서는 식수철 파 종기에 적절한 단비가 됐으나 수방대책이 허술했던

    중앙일보

    1980.04.07 00:00

  • 경기·강원

    ○…수원시 인오동 8137통5반 주민들은 마을 뒤 높이 10m·길이 20m의 언덕 때문에 밤잠을 설치며 불안에 떨고있다. 72년 8월17일 산사태가 일어나 한마을 주민 38명의 목

    중앙일보

    1980.03.03 00:00

  • 농가주택 개량사업의 보완

    내무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농촌주택 개량사업의 방향이 내년부터 바뀐다. 이 사업의 대상지역을 지금까지의 도로변 등 경관위주에서 벗어나 수해상습지·산사태 위험지·광산촌 등지부터 하

    중앙일보

    1979.11.01 00:00

  • 농가6만채 개량|내년, 수해상습지·광산촌등 우선

    내무부는 31일 농촌주택개량 사업대상지역을 지금까지의 도로변등 경관위주에서 벗어나 내년부터는 수해상습지·산사태위험지·광산촌등에 우선하기로 했다. 내무부는 또▲개량할 주택평균규모를

    중앙일보

    1979.10.31 00:00

  • 경남에 3억원 특별지원

    【부산】박정희 대통령은 30일하오 진주시청에 들러 수해보고를 받고 도로·체신등 공공시설의 복구사업은 중앙의 합동조사반이 내려올때까지 기다리지말고 기관장 책임아래 즉각 복구작업에 착

    중앙일보

    1979.08.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