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사] 재정경제부 外

    ◆ 재정경제부▶재정경제부 박용만▶국민경제자문회의사무처 남경우▶재정경제부 전병조▶대통령비서실 전출 김정운▶대통령비서실 전출 윤성욱 ◆ 농림부▶농가소득안정추진단장 정병학 ◆ 건설교통부

    중앙일보

    2005.05.02 04:48

  • 나무가 우리 건강 지켜줘요

    나무가 우리 건강 지켜줘요

    “목조 주택에서 살면 콘크리트 집에서 사는 사람보다 더 건강하고 오래 산다.” 일본에서 제기된 학설이다. 구체적으론 콘크리트 집에서보다 9년 더 장수한다고도 한다. 전통 목조 주택

    중앙일보

    2005.04.04 09:53

  • [Family] 나무가 우리 건강 지켜줘요

    [Family] 나무가 우리 건강 지켜줘요

    ▶ 나무가 뿜어내는 피톤치드의 효과를 만끽하려면 숲속에 1시간 이상 머물러야 한다. 숲속에서 가벼운 체조를 하면 삼림욕의 효과가 더 커진다. 사진은 환경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중앙일보

    2005.04.03 18:03

  • 두릅, 4계절 식탁 오른다

    두릅, 4계절 식탁 오른다

    국산 두릅 순이 연중 식탁에 오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3일 "사계절 생산이 가능한 두릅 순 촉성재배기술을 개발해 연중 고품질 두릅 순 출하가 가능해졌

    중앙일보

    2005.01.23 18:35

  • [인사] 보건복지부 外

    ◆ 보건복지부▶비상계획관(2급 상당) 문병순▶감사관 김명현▶건강증진국장 이종구 ▶국립의료원 한방진료부장 김용호▶한방의료담당관 이영호▶노인복지정책과장 전만복▶생활보장과장 왕진호▶국립

    중앙일보

    2004.12.30 20:43

  • [환경 미스터리] 10. 소나무는 왜 숲에서 점점 사라질까

    [환경 미스터리] 10. 소나무는 왜 숲에서 점점 사라질까

    "어릴 때 광릉(경기도 남양주시)에 갔을 땐 소나무가 울창했는데 요즘은 도로변에만 있는 것 같더라고요." 회사원 김기영(31.경기도 고양시 화정동)씨는 "이곳에서 소나무가 점점 사

    중앙일보

    2004.12.20 18:57

  • 산림과학원, 느티나무 항암물질 특허 받아

    산림과학원, 느티나무 항암물질 특허 받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2일 "서울대 수의과대학과 공동으로 국내 산 느티나무(사진)에서 최근 추출, 특허를 출원한 항암 물질에 대해 등록(제0455573)을 받았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2004.12.12 20:54

  • 목련껍질서 신물질 추출

    목련껍질서 신물질 추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0일 "목련나무(사진) 껍질에서 알츠하이머.파킨슨병 등과 같은 퇴행성 중추 신경계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활성 물질을 충북대 약대 이명구 교수팀과

    중앙일보

    2004.11.30 20:40

  • 백합나무, 이산화탄소 흡수율 뛰어나

    백합나무, 이산화탄소 흡수율 뛰어나

    백합나무(학명 Liriodendron tulipifera L.사진)가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 물질인 이산화탄소(CO2)를 줄이는 데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산림청 산하

    중앙일보

    2004.11.05 18:20

  • 임산물 품질인증 목초액 첫 선정

    공산품과 일반 농산물에 이어 임산물도 정부가 품질을 인증한 제품이 나왔다. 산림청은 12일 "강원목초산업(강원 영월군 북면)과 대한목탄산업(경기 가평군 설악면)이 각각 생산하는 목

    중앙일보

    2004.10.12 17:30

  • 옻나무서 간경화 예방물질 개발

    위장에는 좋지만 간에는 나쁜 것으로 알려져있던 옻나무에서 간경화에 대한 예방, 치료용 물질이 개발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임업연구관 나천수 박사는 옻나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중앙일보

    2004.10.07 09:55

  • [인사] 정보통신부 外

    ◆ 정보통신부▶장관 정책보좌관 임형찬 ◆ 환경부▶환경기술과장 김학주▶자연정책과장 박희정 ▶대통령비서실 윤승준▶국무조정실 규제개혁기획단 김영훈 ◆ 문화관광부▶방송광고과장 송수근 ◆

    중앙일보

    2004.09.01 18:44

  • [인사] 외교통상부 外

    ◇외교통상부▶주 샌프란시스코 총영사 정상기▶주 나고야 총영사 정성배▶주 중국 참사관 겸 총영사 유주열 ◇통계청▶혁신인사과장 최인근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장 김외정▶〃산림

    중앙일보

    2004.07.22 17:54

  • 폐광지역엔 박달나무가 최고

    우리나라 토종 수목인 박달나무가 폐광지역에서 잘 자랄 뿐 아니라 납, 비소 등 중금속 흡수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 폐광지역에서

    중앙일보

    2004.06.09 20:45

  • [내 생각은…] 산림도 소유·경영 분리를

    '산에 나무는 많아도 쓸 만한 나무가 별로 없다'는 얘기가 자주 들린다. 선진국 여행 중 아름드리나무 산림지대나 광릉수목원의 전나무 숲을 본 적이 있는 사람이면 우리 야산의 아카시

    중앙일보

    2004.03.28 18:51

  • "재난 예측" 속설 황금소나무도 雪害

    세계적 희귀 품종인 속리산 황금 소나무(사진) 한 그루도 폭설 피해를 입었다. 예부터 민간에는 이 나무의 잎 색깔 변화를 통해 기상변화나 전쟁 등 재난을 예상할 수 있다는 속설이

    중앙일보

    2004.03.10 20:11

  • [인사] 행정자치부 外

    ◇행정자치부▶중앙소방학교장 제진주▶서울 박창순▶부산 임용배▶대전 조성완▶울산 김차수▶경기 박권섭▶강원 변상호▶충북 장석화▶충남 조택희▶전남 황정연▶경북 이상의▶제주 강희남▶소방행정

    중앙일보

    2004.01.13 09:19

  • 지자체 조직 개편 바람

    충청권 지자체와 일부 중앙 행정기관 사이에 새해 들어 조직 개편 바람이 불고 있다. 국제화와 지식산업화.국민 여가시간 증가 등 행정 여건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다. 대전시는 조직

    중앙일보

    2004.01.08 20:46

  • 생명공학 산업의 핵심 '생물자원 보존관' 설립키로

    세계적으로 녹색혁명을 가능케 했던 밀의 유전자는 우리나라 토종인 '앉은뱅이밀'에서 유래됐으나 정작 국내에서 앉은뱅이밀이 사라진 지는 이미 오래다. 또 미스킴 라일락.원추리.구상나무

    중앙일보

    2001.10.15 09:08

  • 생명공학 산업의 핵심 '생물자원 보존관' 설립키로

    세계적으로 녹색혁명을 가능케 했던 밀의 유전자는 우리나라 토종인 '앉은뱅이밀'에서 유래됐으나 정작 국내에서 앉은뱅이밀이 사라진 지는 이미 오래다. 또 미스킴 라일락.원추리.구상나무

    중앙일보

    2001.10.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