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진의 기억] 사진의 선한 영향력

    [사진의 기억] 사진의 선한 영향력

    ‘폐광, 흔적에 길을 묻다’, 강원도 태백, 2017년. ⓒ박노철 배추 수확이 한창이다. 경사지에 돌담을 쌓아 만든 밭은 강원도 산간마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비탈밭이다. 트럭의

    중앙선데이

    2023.09.16 00:04

  • [시론] 북한 산림녹화 ‘빅 푸쉬’ 필요하다

    [시론] 북한 산림녹화 ‘빅 푸쉬’ 필요하다

    김영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오래전부터 선조들은 우리 산하를 금수강산(錦繡江山)이라 일컬어 왔다. 비단에 수를 놓은 듯 아름답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말이 공허하게 들리

    중앙일보

    2018.05.16 01:38

  • 꾸민 듯 안 꾸민 듯 자연스럽게 가꾼다

    꾸민 듯 안 꾸민 듯 자연스럽게 가꾼다

    [전원생활기자]경기 광주시 도척면 큰길에서 벗어나 구불구불한 비탈길을 오르면 길이 끝나는 지점에 이상은(74)·박양자(69) 씨 부부의 집이 자리하고 있다. 부부의 집에서 가장 먼

    조인스랜드

    2016.08.12 10:31

  • 자연의 운치 가득한 장호천 씨의 '산속의 뜰'

    자연의 운치 가득한 장호천 씨의 '산속의 뜰'

    [전원생활기자]크고 작은 나무와 풀들이 사람의 손길이 닿은 듯 안 닿은 듯 자연스럽게 펼쳐져 있는 장호천 씨의 뜰.손을 타지 않은 듯 자연 그대로의 모습같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이

    조인스랜드

    2016.07.01 20:11

  • [평화 오디세이] 김훈 '강(江)의 노래'

    단둥에서 70년이 흘러도 왜 싸우는가 … 압록강 단교는 묻고 있었다 압록강을 지나는 북한의 낡은 목선. 뒤로 신압록강대교가 보인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한반도에서 서해로 유입되

    온라인 중앙일보

    2015.08.10 15:29

  • [평화 오디세이] 북·중·러 휘돌아 흐르는 두만강, 우리에게 오라 한다

    [평화 오디세이] 북·중·러 휘돌아 흐르는 두만강, 우리에게 오라 한다

    ‘평화 오디세이 2015’의 종착지는 두만강 하류 팡촨(防川)이다. 북·중·러 3개국 국경이 맞닿은 ‘일안삼국(一眼三國·한눈에 세 나라가 보임)’의 땅이다. 동해로의 출구를 찾는

    중앙일보

    2015.07.09 01:24

  • [평화 오디세이] 김훈 ‘강(江)의 노래’③ 두만강에서

    [평화 오디세이] 김훈 ‘강(江)의 노래’③ 두만강에서

    25일 오전부터 6인승 승합차로 백두산을 올라갈 때 비가 내렸다. 자작나무 숲이 젖어서 향기가 대기에 낮게 깔렸다. 정상에 올랐을 때 구름이 갈라지고 개벽하듯이 햇살이 내려왔다.

    중앙일보

    2015.07.09 01:10

  •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현장, 여기는 두만강…그 강은 또 남으로 흘렀다

    25일 오전부터 6인승 승합차로 백두산을 올라갈 때 비가 내렸다. 자작나무 숲이 젖어서 향기가 대기에 낮게 깔렸다. 정상에 올랐을 때 구름이 갈라지고 개벽하듯이 햇살이 내려왔다.

    중앙일보

    2015.07.08 18:48

  • [중앙시조백일장] 2월 당선작

    [중앙시조백일장] 2월 당선작

    이달의 심사평 시조작품의 뿌리는 율격이며, 탁월한 상상력은 그 꽃이다. 3장6구 12음보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엄격한 리듬규칙이 현대시조의 근간이며, 자신이 원하는 모습으로 외적

    중앙일보

    2015.02.27 00:43

  • 11월 일하는 사람 사진 공모전 오병준씨 '고추밭의 농부' 1등

    11월 일하는 사람 사진 공모전 오병준씨 '고추밭의 농부' 1등

    제5회 일하는 사람 사진 공모전의 11월 1등 수상작으로 오병준씨의 ‘고추밭의 농부’(사진)가 선정됐다. 비탈밭에 이랑을 만들고 비닐을 씌운 뒤 막 모종을 낸 고추밭이 일렁이는

    중앙일보

    2014.12.09 00:26

  • 원조여 물렀거라 … 강원도 황태 전쟁

    원조여 물렀거라 … 강원도 황태 전쟁

    강원도 고성군 흘리령길 황태 덕장에서 라흥수씨가 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18일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흘리령길 백두대간 마산봉 자락. 군데군데 잔설이 남아 있는 해발 630m 정도

    중앙일보

    2014.03.19 01:29

  • [권혁재사진전문기자의네모세상] 한 여름의 서리, 감자꽃

    [권혁재사진전문기자의네모세상] 한 여름의 서리, 감자꽃

    Canon EOS-1Ds MarkⅡ 16-35mm f8 1/125초 ISO 100 장맛비 오락가락하는 날, 강원도 땅 진부로 들어섰습니다. 지난해 물난리에 휩쓸린 상흔이 여기저기

    중앙일보

    2007.07.05 14:55

  • [중앙 시조 백일장 5월] 이달의 심사평

    무릎이라도 치듯, 이 달엔 추임새를 넣고 싶다. 오월이 베푸는 신록의 성찬도 아카시아 향도 그렇고 읽을수록 정감이 가는 세 편의 작품도 그렇다. 장원 '빈 집'은 이농의 오래된 흔

    중앙일보

    2005.05.23 20:24

  • [중앙 시조 백일장 5월] 차하

    뻐국 울음 우듬지에 숨어 앉아 낮달 외듯 구름 외듯 윤사월 허기 속에 잦은 사설(辭說) 풀고 있다 비탈밭 호미질 고비 추임새를 넣는다. 꽃으로나 났으면 봄 한 철은 보련만 길고도

    중앙일보

    2005.05.23 20:22

  • '비탈밭 농사'에 직불제

    '비탈밭 농사'에 직불제

    농사 지을 여건이 나쁜 밭과 과수원 및 초지에 대해 지자체가 예산을 지원, 농가 소득을 보전해 주고 토양을 보존하는 사업이 전개된다. 충남도는 20일 "도내 32개 마을(里)을

    중앙일보

    2004.06.20 20:47

  • 울릉도,그 순수와 신비속으로 KBS '겨울섬…' 메마른 삶 되돌아볼 기회

    울릉도-.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지만 사람들의 발길은 뜸하다. 오히려 독도를 말할 때 잠시 언급되기라도 하면 감지덕지다. 변덕스러운 날씨 탓에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섬, 그래서

    중앙일보

    2002.02.09 00:00

  • [시골길 산책] 정겨운 나물타령

    바람이 아직도 가슴팍을 파고드는 품이 기생첩년 뺨친다. 요샌 한겨울에도 무.배추 등 푸성귀는 물론 수박.딸기 등 과일에 이르기까지 먹을 거리가 넉넉하지만 그래도 이때쯤이면 깔깔해진

    중앙일보

    2000.03.11 00:00

  • 독일은 지금 청포도의 계절…당도 높은 고급와인 생산

    가을 햇빛을 받으며 유유히 흐르는 라인강. 그 가파른 협곡에 가지런히 펼쳐진 포도밭. 단풍이 들기 시작한 잎새 아래로 풀빛으로 영근 작은 포도송이들 - .화이트와인이 전체와인생산량

    중앙일보

    1997.10.30 00:00

  • 신리 너와집

    강원도 삼척에는 아름다운 곳이 많다.특히 오십천은 삼척의 대표적인 물줄기로 유명하다.맑고 아름답기로는 가곡면 육백산에서 발원해 가곡을 지나 곧장 동해로 흘러드는 가곡천도 이에 못지

    중앙일보

    1997.02.10 00:00

  • 9.의성 방거동 정오의 일식

    산중의 해와 달은 한가로이 오가고 (山中日月 閑來往) 동구의저녁연기 예와 다름 없구나. (洞口煙霞 自古今)기찬 이야기가 있다. 「중국의 유마(維摩)」로 불리는 마조선사의 제자 방온

    중앙일보

    1996.11.16 00:00

  • 準농림지 규제완화후 전원주택지로 인기

    농사가 잘되는 땅을 제일로 치는 농촌에서 문전옥답(門前沃畓)이 찬밥 대접을 받고 있다.땅값이 형편없기 때문이다.대신 전에는 쳐다보지도 않던 곡간답(谷間畓)이 오히려 상답(上畓)으로

    중앙일보

    1995.09.07 00:00

  • 3.雲南省 고원

    메콩강 발원지를 정복한 뒤 다시 염다로 철수한 다음날 탐사팀은더이상 메콩강을 따라 전진할 수 없는 정치적 장벽에 부닥쳤다. 애초에 탐사팀은 염다에서 메콩강 물줄기를 따라 티베트 자

    중앙일보

    1995.07.24 00:00

  • 9.무우-대평무,주산지 물에잠겨 텃밭서 脈

    우리의 무씨가 전세계 1백여 나라로 수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국내 40여곳의 종묘회사가 토종무를 조합,교배해 만든 4백20여종의 무가 70년대말부터

    중앙일보

    1993.11.26 00:00

  • 무공해호박 재배로 고소득 올린다|경기가평군상판리 명지작목회

    명지산 기슭 경기도가평군하면상판리 명지작목회 농민 42명은 89년부터 무공해 호박을 재배, 가구당 연간 3백만∼4백만원씩의 짭짤한 소득을 올리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무공해농산물이

    중앙일보

    1992.08.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