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행23자의 사면비일가능성"|고구려비 판독에 붙여

    이기백 이번 중원 고구려비에서 얻어질 새로운 지식은 한국고대사의 연구에 이바지할 공헌이 지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고대사를 전공하는 학자들이 흥분하게 되는 것은 충분한 이유가 있

    중앙일보

    1979.04.13 00:00

  • 향토사 정리의 새계기

    충주에서 5세기말 고구려비의 발견은 뜻하지 않은 성과요 개가다. 지난해 인근 단양에서 진흥왕대 적성비를 찾아냈던 단국대고적조사단이 이에 힘입어 다시 유적지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그

    중앙일보

    1979.04.12 00:00

  • 삼국시대비중 최고|순수비의 효시인듯

    중원 고구려대왕비는 이미 발견된 한반도내의 어떤 삼국시대비들 보다도 건립 연대가 앞선 가장 오??한국 명문비다. 지금까지 발견된 삼국시대비로는 만주의 고구려 광개토왕비와 신라 진흥

    중앙일보

    1979.04.11 00:00

  • 삼국사연구의 산교본|충주「고구려대왕비」발견의 의의 변태섭

    이번 단국대학 정영호교수에 의하여 새로 발견된 충주 고구려 대왕비는 한국고대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서 그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직 비문 해독에 어려운 점이 많아 성급한 결

    중앙일보

    1979.04.10 00:00

  • 고구려의 비

    충북 중원에서 발견된 비석은 아직 명칭이 통일되어 있지않다. 순수비 혹은 척경비등으로 불린다. 문제의 열쇠는 글자 하나에 달려 있다. 비석의 첫머리에서 판독된 글은『을해오월일고려대

    중앙일보

    1979.04.10 00:00

  • 「남진순수비」발견|4백95년에 건립…진흥왕비보다 반세기앞서

    충북 중원군 가금면 입석부락서 5세기말 고구려문자왕이 남한강변의 충주까지 내려와서 세운 순수비가 발견됐다. 삼국정립시대의 고구려 비석이 남쪽에서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중앙일보

    1979.04.09 00:00

  • 한반도선 처음발견된 고구려 금석문

    고구려의 금석문은 매우 희귀하다. 만주집안현에 있는 광개토왕비가 최대의 것이며 그의 손자 문자왕순수비가 둘쨋번으로 큰것일뿐더러 한반도에 현존하는 유일한 비석이 된다. 그밖에 북한소

    중앙일보

    1979.04.09 00:00

  • 삼국시대사의 귀중한사료|고구려남진정책 밝혀줄듯

    ▲이기백교수(서강대·국사학)=놀라운 일이다. 신라 순수비보다 훨씬 값진 수확이다. 신라 순수비는 고구려의 이런 비석들을 보고서 뒤에 건립된 것이라 보아 틀림없다. 앞으로 비문이 상

    중앙일보

    1979.04.09 00:00

  • |팔산 기리는 기념비 대구서 제작 중

    【대구】임진왜란 때 일본에 끌려갔던 한국의 명도공 팔산의 넋을 기리는 기념비가 현재 대구에서 조각되고 있다. 팔산의 10대손 「다까도리·세이잔」여사 (71·일본 구주복강)가 대구실

    중앙일보

    1979.03.22 00:00

  • 이등박문 친필비석 부산 병원서 발견돼|죽기 10개월 전 쓴 것

    ○…일제침략원흉인 「이또·히로부미」 (이등박문)의 친필 비석이 부산시 중구 대청동 「메리놀」 병원응급실 옆 뒤뜰 담벽에 지금까지 남아 있음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 비석은 부산시 중

    중앙일보

    1979.03.20 00:00

  • 유화가 고 박길웅씨|4일 회화비 제막식

    작고 유화가 박길웅씨의 회화비(사진)제막식이 4일낮 12시 남서울 공원묘원에 있는 박씨의 묘소앞에서 열린다. 친지와 유족이 함께 마련한 이 비석에는 그의 작품을 동판으로 조각해 부

    중앙일보

    1979.02.02 00:00

  • 충렬사 정화 준공식 참석|박 대통령 "명의 연호 쓴 현판 갈도록"

    【충주=조남조 기자】박정희 대통령은 23일 하오 병자호란 때의 명장 충민공 임경업 장군을 모신 충주시 단월동 소재 충렬사 점화사업 준공식에 참석, 준공「테이프」를 끊고 임 장군의

    중앙일보

    1978.11.24 00:00

  • "봄가을 학생 행군 때 행주산성 들르도록"

    박정희 대통령은 21일 상오 경인고속도로와 통일로간에 새로 닦은 도로포장공사 준공식에 참석, 길이 1.4㎞의 행주대교 개통「테이프」를 끊고 보수 정화된 행주산성을 돌아봤다. 박 대

    중앙일보

    1978.11.21 00:00

  • 임병직 박사 추모비

    【부여=박상하 기자】소죽 임병직 박사 추모비 제막식이 19일 충남 부여군 초촌면 응평리에서 김종필 전 국무총리·윤치영 전공화당의장서리·손수익 충남지사 등 5백여명이 모인 가운데 열

    중앙일보

    1978.11.20 00:00

  • 삼국유사 쓴 고려때 승려 일연을 기린 비석의 탁본원본 발견

    【대구】고려때 『삼국유사』를 쓴 승려 일연에 대한 유일한 자료로 남아있던 경북 군위군 고로면 화수동 인각사의 보각국사(일연) 비문을 탁본한 원본이 영남대도서관에서 발견돼 고려사연구

    중앙일보

    1978.11.01 00:00

  • 남기고싶은 이야기들 「미국의소리」

    해방후에 이승만박사와 「하지」장군 사이의 불화는 널리 알려져 있으나 「미국의 소리」가 두분 사이를 화해시키는데 일조 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두분 사이가 악화된 것은 건

    중앙일보

    1978.10.28 00:00

  • 자리잡은 방랑시인…김삿갓

    이번 광주에서 방랑시인 김삿잣 (김립)의 시비가 건립된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세우는 쪽은 김립 시비건립위원회. 그가 돌아간지 1세기만에 지기들을 만난 셈이다. 그 동안에도 일제

    중앙일보

    1978.10.20 00:00

  • 임병직 박사 추모비|부여 생가에 건립

    고 임병직 박사의 추모비가 11월19일 충남 부여군 초촌면 응평리 생가에 건립된다. 추모비 건립 위원회(위원장 윤치영)가 추진하는 이 비석은 높이 4.5m, 넓이 8.8m의 오석으

    중앙일보

    1978.10.04 00:00

  • "분향대 설치 위업 추모토록"

    【북제주=조남조 기자】박정희 대통령은 2일 하오2시 북제주군 애월면 고성리에서 거행된 항몽순의비 준공식에 참석, 준공「테이프」를 끊고 순의비를 제막했다. 박대통령은 성내를 둘러본

    중앙일보

    1978.06.03 00:00

  • (2235)|제58화 문학지를 통해 본 문단비사-40년대 「문장」지 주변 (64)|신문 소설 경쟁|정비석

    나는 신장이 1m64cm 체중은 55kg을 넘어 본 일이 없는 왜소한 체구다. 그러나 글을 쓰는 정력만은 남 못지 않게 왕성한 편이어서 40대에는 신문과 잡지에 연재소설을 5편이나

    중앙일보

    1978.05.26 00:00

  • (2226)문학지를 통해 본 문학비사 40년대「문장」지 주변(55)|나의 문학관|정비석

    이 글을 여기까지 써놓고 돌아다보니 어지간히 오래된 이야기들을 써왔구나 하는 느낌이 절실하다. 선배나 동료를 막론하고 생존해 있는 분들의 이야기는 되도록 피해가면서 고인들의 이야기

    중앙일보

    1978.05.16 00:00

  • 박헌붕씨 일주기 8일 묘비제막식

    국악개발에 평생을 몸바쳤던 기산 박헌봉씨의 1주기를 맞아 8일 경기도 광주공원묘지에서 묘비제막식을 가졌다. 이 비석은 성경린 정병욱 이원기씨 등 건립위원회가 마련했다.

    중앙일보

    1978.05.11 00:00

  • (2217)문학지를 통해 본 문단비사 40년대「문장」지 주변(46)|금동의 문재|정비석(제자 정비석)

    중앙신문을 반년만에 그만둔 뒤에 하루는 왕십리자택으로 김동인을 방문했던 일이 있었다. 신당동에 있는 적산가옥을 미군에 빼앗기고 하왕십리로 이사간 직후의 일이었다고 기억된다. 이삿짐

    중앙일보

    1978.05.03 00:00

  • (2216)문학지를 통해 본 문단비사 40년대「문장」지 주변(45)|선비 김동인|정비석(제자 정비석)

    해방된 지 3년째 되는 47년 여름이었다고 기억된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그때까지도 자리를 제대로 잡지 못해서 아직 「타블로이드」소형판을 내고 있었을 때, 대형판으로 새로 창간된

    중앙일보

    1978.05.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