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920년 취운정에 경성 첫 도서관…유길준 ‘서유견문’ 낳았다

    1920년 취운정에 경성 첫 도서관…유길준 ‘서유견문’ 낳았다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3·1운동 이후 도서관 설립 확산    집옥재와 팔우정. 왼쪽에는 서고인 팔우정, 오른쪽에는 이층 복도로 연결된 경복궁 집옥재가 있

    중앙선데이

    2024.06.15 00:20

  • 서울 다녀온 증거였던 우미관, 첫 한국영화 상영한 단성사

    서울 다녀온 증거였던 우미관, 첫 한국영화 상영한 단성사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K무비의 성지   1907년 설립된 단성사. 1918년 활동사진관으로 재개관했다. [사진 서울역사박물관] 한국 영화가 탄생하고 발전한

    중앙선데이

    2024.02.03 00:20

  • "젊은이들 백이면 백 비참" 종로 '산책자'로 거듭난 윤동주

    "젊은이들 백이면 백 비참" 종로 '산책자'로 거듭난 윤동주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종로 배회하던 청년 시인   서울 종로구 청운동 자하문 고갯마루에 있는 윤동주문학관. 윤동주는 대학 시절 이곳에서 하숙을 하며 ‘종로

    중앙선데이

    2023.12.02 00:01

  • 클래식 틀고 여종업원이 서빙…화신식당 ‘조선 난찌’ 인기

    클래식 틀고 여종업원이 서빙…화신식당 ‘조선 난찌’ 인기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화신백화점의 조선음식   1937년 종로 네거리 오른쪽 모퉁이에 개장한 6층짜리 화신백화점. 당시에는 전국 최고층이었다. [사진 서울

    중앙선데이

    2023.11.04 00:01

  • 일제에 맞서 피 끓는 투쟁, 종로는 조선 청춘의 전장이었다

    일제에 맞서 피 끓는 투쟁, 종로는 조선 청춘의 전장이었다

     ━  [근대 문화의 기록장 ‘종로 모던’] 조선 사회운동 본거지   1929년 한 기자는 시골에서 친구가 서울에 온다면 꼭 구경시켜야 할 곳을 소개했다. 종합지 『별건곤』 23

    중앙선데이

    2023.10.28 00:01

  • 라무네·향수…백화점 상품에 비친 경성의 욕망

    라무네·향수…백화점 상품에 비친 경성의 욕망

    경성백화점 상품 박물지 경성백화점 상품 박물지 최지혜 지음 혜화 1117   백화점은 욕망의 공간이다. 소비와 자기표현을 갈구하는 인간의 속마음을 비추는 만화경이다. 아울러 당대

    중앙선데이

    2023.06.17 00:31

  • 라무네·오리지나루 향수…1930년대 백화점 상품에 비친 경성의 욕망[BOOK]

    라무네·오리지나루 향수…1930년대 백화점 상품에 비친 경성의 욕망[BOOK]

    경성백화점 경성백화점 상품 박물지 최지혜 지음 혜화 1117   백화점은 욕망의 공간이다. 소비와 자기표현을 갈구하는 인간의 속마음을 비추는 만화경이다. 아울러 당대에 판매되던

    중앙일보

    2023.06.16 16:18

  • 정진석 “불행한 경지를 만나면 흔히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한다”

    정진석 “불행한 경지를 만나면 흔히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한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빌딩 컨벤션홀에서 대한민국, 길을 묻다 : 도전과 전환을 주제로 열린 '2022 국민미래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중앙일보

    2022.10.12 10:32

  • 일제의 금융 지배 … 민족 자본의 성장에 큰 타격

    일제의 금융 지배 … 민족 자본의 성장에 큰 타격

    화신백화점. 화재를 딛고 1937년 재건축한 화신백화점에 대해 식민지 한인들은 일본의 백화점에 맞서는 상징으로도 생각했다. 신세계백화점. 일제 때는 일본 최대의 백화점인 미쓰코시

    중앙선데이

    2015.10.11 04:36

  • [커버스토리] 당신의 역사 (1) 손광남 리츠칼튼서울 도어데스크 계장

    [커버스토리] 당신의 역사 (1) 손광남 리츠칼튼서울 도어데스크 계장

    자, 퍼즐 맞추기를 한번 시작해볼까요. 서로 아무 상관 없을 것 같은 보통 사람들의 개별 인생을 이어붙여 한국 현대사를 총정리하는 ‘당신의 역사’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따로 떼

    중앙일보

    2014.08.20 00:04

  • [행복한 책읽기] 옛 광고에 담긴 근대의 풍경

    [행복한 책읽기] 옛 광고에 담긴 근대의 풍경

    ▶ “치마 사면 영화 공짜” 영화표를 내걸고 아낙네들을 유혹한 라이온치마(치약제품)의 광고. '가정화합지우.'가정을 화목하게 하는 벗이란 뜻이다. 1920년대 우리나라 신문에 실렸

    중앙일보

    2005.06.10 21:25

  • 인터넷 통해 `본인 신용정보' 확인

    신용보증기금은 내달 1일부터 본인 신용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31일 밝혔다. 이 신용정보서비스에서는 본인에 대한 금융거래정보, 신보거래.연대보증정

    중앙일보

    2001.08.31 09:58

  • 횡보 염상섭

    염상섭은 민태원·김형원·유광렬·정인익등 이른바 이상협휘하의 사천왕패들과 같은 시대에 이상협 아래에서 신문기자 생활을 했었지만 이상협의 사람은 아니었다. 염상섭은 사천왕등 쌀에 기분

    중앙일보

    1991.12.09 00:00

  • (4169) 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102)|『조선문단』

    이렇게해서 『조선문단』은 1924년 10월 창간되어 1926년 방인근의 빚때문에 경영할수가 없어서 판권을 남진우한테 넘기고 말았다. 『조선문단』은 3년동안이나 버텨 당시의 문예잡지

    중앙일보

    1984.11.17 00:00

  • (4165)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98)|동인의 문재|정용만

    내가 동인과 만났을 때는 그가 재산을 다 없애고 서울에 이사온 뒤였다. 사람이 오만하고 방약무인하다는 이야기는 늘 들어왔지만, 원고료 일로 신문사에 와서도 누구한테 인사하는 법이

    중앙일보

    1984.11.13 00:00

  • (4162) - 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 (95)

    『이사람이! 내가 언제 거것말하던가?』 하면서 석공을 굴복시킨 이야기를 하였다. 그 전날 저녁 얼큰해 신교동에 있는 석공 집을 찾았다. 술김에 억지로 술을 내오라고 해 마시면서 떼

    중앙일보

    1984.11.09 00:00

  • 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 (91)|조용만

    조일제가 매일신보에 『장한몽』을 연재 할 무렵에 이상협도 사내에 있으면서.『눈물』 이라는 장편소설을 연재하였다. 이 『눈물』은 번안소설이 아니라 창작소설인데 연재 중에도 호평이었지

    중앙일보

    1984.11.05 00:00

  • (4136)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69)「구인회」의 조직

    연회관계사람들의 학예부장 초대가 내일 있으니 내일 상허 이○준을 만나서 이야기를 하겠다고 약속하고 두 사람과 헤어졌는데 그 날 연회에 이○준이 안나왔다. 상허는 술을 마시지 않으므

    중앙일보

    1984.10.08 00:00

  • (4128) 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61)-말썽많던 원고료

    운정 김정진이라면 지금 알 사람이 별로 없을 것이다. 윤백남과 같이 희곡을 주로 썼고일본 보지신문의 경성특파원을 지낸 사람이다. 경성일보 촉탁으로 있으면서 매일신보에 연재소설을 쓰

    중앙일보

    1984.09.28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 (57)|「매신」기자들

    2층에 자리잡은 영자신문인 일간지『서울 프레스』편집국장은「프랭크·Y·김」이라는 서양이름을 가진 김용주였다. 미국에 오래 있어서 영어를 썩 잘 했는데, 그의 아버지는 김윤정이라는 사

    중앙일보

    1984.09.24 00:00

  • 주부39% "식품광고 안믿는다"

    주부들의 식생활의식이 점차 과학화되고 있다. 식단을 계획할 때는 반드시 가족들의 영양상태를 점검함은 물론, 매일매일 다양한 식단계획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신보에서는 지난

    중앙일보

    1983.10.10 00:00

  • (26)「반민특위」(6)

    반민특위 재판정은 언제나 초만원이었다. 그만큼 민중의 눈길이 쏠려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화제의 초점은 서울의 명소였던 화신백화점의 사주 박흥식씨였다. 검거 제1호였던 박씨는 3월2

    중앙일보

    1982.05.31 00:00

  • (21)국정의 본산「세종로 1번지」34년…명감했던 주역들은 증언한다.

    반민법 파동은 건국 초의 가장 불행했던 정치사건이다. 민족에 대한 반역행위를 다스린다는 것은 광복이 가져다준 당위였다. 그럼에도 반민법 시행 1년은 줄곧 격동으로 지샜다. 명분과

    중앙일보

    1982.05.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