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무인헬기 전송 좌표로 NLOS-C가 50km 밖서 포격

    무인헬기 전송 좌표로 NLOS-C가 50km 밖서 포격

    1. 비가시선 자주포 NLOS-C 영국의 세계적인 방산업체 BAE시스템사가 개발한 155㎜ 자주포. GPS 유도 스마트 포탄 ‘엑스캘리버’를 사용한다. 2.무인다기능차량 MULE

    중앙선데이

    2008.10.26 07:24

  • “8㎞ 상공서 17㎝ 표적 식별 장비 곧 개발”

    “8㎞ 상공서 17㎝ 표적 식별 장비 곧 개발”

    “우리도 머지않아 세계 최고 수준의 항공기용 영상정찰 장비를 개발합니다.” 레이더와 미사일 등 정밀무기를 생산하는 LIG넥스원 구미공장의 여보연 전자광학연구센터장의 얘기다. 여 센

    중앙일보

    2008.10.01 02:53

  • [한국 첫 우주인 배출] 우주개발 '신호탄' 쐈다

    19일 오후 5시 38분(이하 한국시각), 이소연(29) 씨를 태운 러시아 우주선 소유스 TMA-11호가 카자흐스탄 초원지대에 착륙하는 것으로 한국 최초 우주인의 12일에 걸친 '

    중앙일보

    2008.04.19 17:28

  • [한국 첫 우주인 배출] 토종 우주산업도 '활짝'

    한국의 첫 우주인 배출을 계기로 항공.우주 분야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함께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R&D)이 가속화되는 등 한국의 우주개발사업이 본 궤도에 진입하고 있다. 올해는 특

    중앙일보

    2008.04.19 17:27

  • 1731번째 발사 … 무사고 우주선 ‘소유스’

    1731번째 발사 … 무사고 우주선 ‘소유스’

    이소연씨를 태우고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떠난 ‘소유스 TMA-12’ 우주선은 최고의 안전성을 자랑한다. 1983년 이후 단 한 차례의 인명 사고도 내지 않았다. 이번이 1731번째 발

    중앙일보

    2008.04.09 01:28

  • 급조폭발물에 맥 못추는 미군

    이라크 반군이 피자 한 개 값으로 구입한 장치가 100만 달러짜리 첨단 군사장비 파괴 이라크 반군은 참혹스럽게도 급조폭발물(IED)을 동물 사체나, 심지어 인간 시신에 장치한다.

    중앙일보

    2007.09.01 11:30

  • 미국·러시아 '미사일 냉전' 속으로

    미국·러시아 '미사일 냉전' 속으로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냉전시대에나 있었던 미사일 경쟁이 다시 불붙고 있다. 상대방의 전략.전술 미사일을 요격하는 미사일 방어망(MD)을 구축하려는 미국에 맞서 러시아가 강력한 기

    중앙일보

    2007.05.31 04:48

  • 항공우주 기술 미국 '격추' 할 수준

    12월 20일 ‘오렌지 혁명의 영웅’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한국에 온다. 전임 대통령인 월 레오니트 쿠치마가 1996년 방한한 이후 10년만이다.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중앙일보

    2006.12.06 11:41

  • 명왕성 신비 벗긴다 … NASA, 2006년초 탐사선 발사

    명왕성 신비 벗긴다 … NASA, 2006년초 탐사선 발사

    태양계의 9개 행성 가운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유일하게 인간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던 명왕성의 신비가 벗겨질 전망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최초의 명왕성 탐사선 '뉴

    중앙일보

    2005.12.19 20:21

  • [내 생각은…] 미래 한국 희망은 우주에 있다

    '향후 우주를 장악하는 나라가 세계를 지배한다'는 세론을 입증이라도 하듯 미국.러시아.일본.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앞다퉈 우주개발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그동

    중앙일보

    2005.06.20 20:39

  • [미래를 준비하는 한국·유럽] 5. 우주항공 기술이 국력

    우주항공 기술은 국력을 상징하는 첨단의 결정체이다. 국가안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만큼 각국에서 우주항공 분야에 대규모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고, 그만큼 기술 이전 가능성이 작아 후

    중앙일보

    2003.06.04 14:37

  • 국가우주개발 추진체계 허술

    우주시대에 대비해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을 중심으로 가칭 `우주개발촉진법' 제정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우주개발 추진체계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

    중앙일보

    2001.10.22 09:54

  • 대기관측용 위성 공동설계

    인도는 프랑스와 대기관측용 인공위성 공동설계협정을 체결했다고 인도우주연구소(ISRO)가 9일 밝혔다. ISRO는 프랑스 국립우주국(CNES)과 공동으로 대기관측용 위성을 공동개발,

    중앙일보

    2001.05.10 13:19

  • 북한 "인공위성 기술 세계적 수준"

    북한 평양방송은 28일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의 지도에 의해 북한의 인공위성 기술은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평양방송은 이날 `우리 조국을 과학기술 강국으로 빛내이시

    중앙일보

    2000.07.28 16:44

  • 아리랑1호 20일 오전 10시 카운트다운 돌입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1호가 21일 오후 4시12분(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를 앞두고 20일 오전 10시 카운트다운에 들어간다. 지난

    중앙일보

    1999.12.20 09:46

  • 제3차 亞.太위성통신회의 개막

    제3차 아태위성통신회의(APSCC)및 전시회가 3백50여명의국내외 위성통신및 위성방송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6일 오전서울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개막됐다.8일까지 열리는 이번 회의

    중앙일보

    1996.11.07 00:00

  • 한국통신,무궁화3호 입찰자회의

    한국통신(사장 李俊)은 22일 오후 서울 광장동 위성사업본부에서 미 맥도널 더글러스(MD)사등 외국의 위성발사체 제작업체와 국내 관련업체들이 참석한 가운데 오는 99년 발사될 무궁

    중앙일보

    1996.10.23 00:00

  • 무궁화위성 발사1년 성과와 전망-3.4호는 우리기술 주축

    지난해 8월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국내 첫 통신.방송위성인 무궁화위성 1호가 생중계방송을 지켜보는 가운데 발사됐다.1호위성 발사 1년을 맞아 1년동안 국내

    중앙일보

    1996.08.05 00:00

  • 무궁화위성과 우주정보통신 국가전략 전문가 회의-토론요약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위원장 李祥羲)는 24일 오후 서울 라마다르네상스호텔에서 「무궁화위성과 우주정보통신시대에 대한 국가전략」이란 주제로 국가과학기술자문 특별전문가회의를 가졌다.李위

    중앙일보

    1995.08.25 00:00

  • 무궁화위성 발사연기 어떻게되나-빠르면 5일 발사가능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美플로리다州)=李元浩특파원]무궁화위성의 발사를 연기시킨 허리케인 「에린(Erin)」은 시속 1백40㎞대의 강풍과 폭우를 동반하고 플로리다반도 전역을 강타

    중앙일보

    1995.08.03 00:00

  • 국내 첫 통신위성 무궁화1호 美서 내일 발사예정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美플로리다州)=李元浩특파원]국내 첫통신.방송위성 「무궁화(KOREASAT)1호」가 1일 美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공군기지 델타발사장에서 3일 오후8시15분(

    중앙일보

    1995.08.02 00:00

  • 위용드러낸 무궁화위성체

    오는 8월3일 발사될 국내 첫 통신방송위성 무궁화호가 모든 제작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뒤 14일 현재 발사장인 美플로리다州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로 옮겨져 최종시험과정을 거치고 있다.

    중앙일보

    1995.07.15 00:00

  • 93년 과학기술계 결산-엑스포 통해 기술개발 중요성 심어

    93년은 우리 과학기술계가 일대 전환을 모색한 한해로 기록될것 같다.과학기술이 국가 발전의 핵심적 요소라는 사실을 모르는국민은 거의 없다.이제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관련,무엇을 어떻

    중앙일보

    1993.12.21 00:00

  • 중국 우주산업|상업적 이용활기

    중국의 우주산업이 상업성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아 활기를 띠고 있다. 우주산업의 능력을 조직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는 중국은 현재 더 무거운 인공위성을 실을 수 있는 새로운 발사체와

    중앙일보

    1992.10.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