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실리콘밸리 기술자 20%는 중국인…밀라노 패션계서도 파워인맥으로

    실리콘밸리 기술자 20%는 중국인…밀라노 패션계서도 파워인맥으로

    미국 정보통신(IT) 산업의 요람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의 엔지니어 다섯 명 중 한 명은 중국에서 건너온 화인(華人)이다. 바로 이들이 첨단 IT 기술의 모국 이전에 앞장서고 있다

    중앙일보

    2007.02.20 04:26

  • 중국과 IT 격차 1.7년 … MP3는 이미 추월당해

    중국과 IT 격차 1.7년 … MP3는 이미 추월당해

    그래픽 크게보기 삼성전자는 최근 휴대전화 단말기용 특수회로기판을 중국 둥관(東莞)의 한 전자업체에서 수입하기로 했다. 이 기판 제작기술은 3년 전만 해도 국내 몇몇 중소기업의 독

    중앙일보

    2007.02.20 04:25

  • [월요인터뷰] "2014년 평창 겨울올림픽 유치 두 번 실패는 없다"

    [월요인터뷰] "2014년 평창 겨울올림픽 유치 두 번 실패는 없다"

    2003년 7월 체코 프라하의 힐튼호텔. 2010년 겨울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하는 IOC 총회 1차 투표에서 이기고도 결선 투표에서 캐나다 밴쿠버에 3표 차로 역전패해 평창 유치에

    중앙일보

    2007.02.11 20:45

  • '젊게 늙고' 싶은 엄마의 외출

    시간 있으면 커피나 한잔…’. 회사원 이동혁(33)씨는 며칠 전 앞에 가는 ‘30대 여자’의 미니스커트에 이끌려 말을 건넸다가 고개를 돌리는 얼굴을 보고 난감한 표정을 짓고 말았

    중앙일보

    2007.02.09 11:12

  • 무늬만 섹터 펀드 ?

    무늬만 섹터 펀드 ?

    기은SG자산운용은 이달 중 명품을 만드는 기업에 투자하는 '기은SG럭셔리라이프스타일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루이비통.카르티에.크리스찬디올 등 유명 브랜드를 소유한 글로벌 기업에

    중앙일보

    2007.02.06 20:37

  • [월요인터뷰] "미국인과 비슷한 능력으론 이길 수 없다"

    [월요인터뷰] "미국인과 비슷한 능력으론 이길 수 없다"

    만난 사람 = LA 중앙일보 장연화 기자 한인으로는 최초로 미국 4년제 대학 총장으로 선출된 강성모(미국명 스티브 강.61) 박사는 '학자'보다 '도전자'라는 단어를 더 좋아한다.

    중앙일보

    2007.02.04 21:20

  • 가자! G10으로 ⑭ 유연한 제도로 산업융합화 돕자

    가자! G10으로 ⑭ 유연한 제도로 산업융합화 돕자

    "훌륭한 바람개비를 만들었는데 바람이 불지 않는다고 앉아서 기다리기보다는 앞으로 달려나가서라도 바람개비를 돌리겠다." 남중수 KT 사장은 지난해 12월 기자간담회에서 IPTV 서

    중앙일보

    2007.01.22 18:45

  • 플라스틱 귀해진 미래는 어떻게 될까

    고유가 계속되면 석유 기반 제품 공급에 혼선… 첨단 플라스틱 사라지고 원시 플라스틱 시대 온다 많은 사람은 유가가 계속 상승하리라고 믿는다. 그렇다면 실제 유가가 계속 오를 때 석

    중앙일보

    2007.01.21 06:08

  • [재계 ‘고교 파워인맥’ ⑤] 큰 밭 일구는‘선비 CEO’의 본산

    다른 명문고에 비해 대전고는 “학교를 대표한다”고 할 만한 거물급 인사가 드물다. 그렇다고 큰 인물이 없다는 말이 아니다. 대전고 출신들은 ‘양반의 고장’이라는 충청도 출신이어서

    중앙일보

    2007.01.20 19:55

  • 패션·IT·가전… 블랙 파워

    패션·IT·가전… 블랙 파워

    패션에 이어 전자 시장에도 '블랙' 열풍이 불고 있다.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등 정보기술(IT) 기기는 물론 가전 분야에도 광택이 나는 블랙 디자인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중앙일보

    2007.01.18 18:18

  • KAIST 첫 명예박사 탄생

    KAIST 첫 명예박사 탄생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7일 자수성가한 뒤 기부 문화 조성 등에 모범을 보인 국내외 인사 4명을 선정,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KAIST가 명예박사 학위자를

    중앙일보

    2007.01.18 05:06

  • 삼성전자, 미국 특허 '넘버 2'

    삼성전자, 미국 특허 '넘버 2'

    삼성전자가 전세계 기술 강자들이 모여드는 미국에서 특허등록 순위 2위에 올랐다. 미 특허청(USPTO)이 최근 발표한 예비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특허 등록 실적은 2453

    중앙일보

    2007.01.14 18:35

  • 문화와 경제가 꽃피는 송파

    문화와 경제가 꽃피는 송파

    재건축 아파트 입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송파의 새해는 분주하다. 서울 지자체 중 첫 여성 구청장이 이끄는 송파구의 새해는 어떻게 달라질까. # 교통체증과 매연·소음은 그만 송

    중앙일보

    2007.01.09 10:07

  • [부고] 김세환씨(홍성조양인쇄소 대표) 外

    ▶김세환씨(홍성조양인쇄소 대표)별세, 김기원(사업).기천씨(충남정구연맹 회장)부친상=4일 오전 9시 홍성장례식장, 발인 6일 오전 9시, 041-631-6351 ▶류세형씨(진주 류

    중앙일보

    2007.01.05 05:35

  • "지식은 실패할 때 가장 많이 배운다"

    "지식은 실패할 때 가장 많이 배운다"

    사회 = 박방주 중앙일보 과학전문기자 최근 한국 정부 관료와 화상 토론을 벌였던 잭 웰치 GE 전 회장은 "한국에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제품이 나오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꼬집었

    중앙일보

    2007.01.02 04:35

  • 4대 위기 북핵, 미국경기, 가계 부채, 환율

    4대 위기 북핵, 미국경기, 가계 부채, 환율

    '내년에도 원화 가치가 계속 올라 연평균 환율이 910원(올해는 955원 정도)까지 떨어진다. 이로 인해 수출 기업들이 타격을 받고 수출 증가도 더뎌진다. 정부의 주택 공급 확대책

    중앙일보

    2006.12.13 21:14

  • "함께 연구에 몰두한 대학원생들 덕분"

    "함께 연구에 몰두한 대학원생들 덕분"

    "더욱 연구에 힘써 우리나라가 기술 강국이 되는데 앞장 서겠습니다." 7일 오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06년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에서 대상(대통령상)을 받은 포스텍(포항공대)

    중앙일보

    2006.12.08 04:15

  • [해외칼럼] 중국의 '환경 부채'

    [해외칼럼] 중국의 '환경 부채'

    지난 10년 동안 세계는 중국이 언제나 자국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할지 궁금해 했다. 올해 그 답이 나왔다. 중국 정부는 환경 보호를 우선 순위에 놓은 경제.사회 개발 5개년

    중앙일보

    2006.12.04 22:31

  • [기획] 2006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선정식에서 최갑홍 기술표준원장이 유준모 귀뚜라미보일러 대표에게 선정서를 주고 있다. 맨 왼쪽은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허상훈 상무

    중앙일보

    2006.11.29 18:07

  • 박근혜 "어머니 사고 아니었으면 연구원 됐을 것"

    한나라당 유력 대권주자 중 한 명인 박근혜 전 대표는 23일 "남들처럼 평범하게 살았다면 전자공학을 계속 공부해 교수나 연구원이 됐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이날 여의도

    중앙일보

    2006.11.23 14:30

  • [新산업지도] 국토개조 현장 총력취재

    1988년 청소기 라인 광주 이전 1995년 냉장고 라인 광주 이전 2001년 정보통신연구소 건립 2004년 전자레인지 라인 말레이시아 이전, 세탁기·에어컨 라인 광주 이전 20

    중앙일보

    2006.11.20 10:18

  • [Plaza] 티맥스소프트 外

    ◆소프트웨어업체 티맥스소프트와 한글과컴퓨터는 개방형 컴퓨터 운영체제인 리눅스의 영업과 마케팅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를 했다고 14일 밝혔다. ◆현대정보기술은 울산시가 추진하는 산업

    중앙일보

    2006.11.14 18:22

  • 기업요구 맞춘 특성화 교육을

    한국의 공학교육이 총체적 위기상황이라는 데 각계 인사들은 공감한다. 이대로 가다간 우리나라 공대의 미래는 없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전문가들의 제언. ▶김영세 이노디자인 대표= 비즈

    중앙일보

    2006.11.09 04:31

  • 옛 발해 '한국의 식량창고' 된다

    4억 평! 연해주에 서울시 크기만 한 이 땅을 한국인이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지금도 적잖은 농산물이 생산되지만 이제 겨우 시작일 뿐이다. 경작이 본격화되면 ‘한국의 식

    중앙일보

    2006.11.07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