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부부보쌈』-|이기춘

    원래 돼지고기를 즐겨하지 않는 식성이지만 사흘이 멀다하고 즐겨 찾게 됐을 만큼 돼지고기보쌈을 맛있게 하는 집이 있다. 잠실 롯데월드에서 놀이마당 쪽으로 석촌호수를 끼고 5백여m 떨

    중앙일보

    1993.07.09 00:00

  • 전북 정읍군 동막마을 임대제도 도입(지방 패트롤)

    ◎공해 찌든 도시인에 농지 “선물”/“손수 농사”기쁨 만끽/현지 신부 발상… 평당 연 만원/고추·호박 등 재배 인기 높아 스트레스에 찌든 도시민들에게 손수 농사짓는 기쁨을,자라나는

    중앙일보

    1993.04.18 00:00

  • 딸기 등 농산물 9종/올해부터 미로 수출

    딸기·호박·오이·참외·수박·토란·고들빼기·취나물·도라지 등 9개 농산물의 대미수출이 올해부터 가능해지고 사과와 온주밀감은 병해충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면 1∼2년내에 수출길이 열린다

    중앙일보

    1993.04.10 00:00

  • 『토담골』

    이름만 들어도 고향의 정겨운 얼굴들과 풋풋한 인정을 떠올리게 하는 곳이 있다. 토담골 ((548)5114). 압구정동 갤러리아 백화점앞 사거리를 지나 루비나 의상실옆 유림빌딩 지하

    중앙일보

    1993.03.05 00:00

  • 고속도 「내고장 으뜸산품」인기/하루 6천명 이용 판매고 5천만원

    ◎강진토하젓 안동소주 없어 못팔아/“포장용기는 개선필요” 지적도 농어민 소득증대와 지역산업의 특화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내무부·한국도로공사가 공동운영하고 있는 고속도로휴게소의 「내고

    중앙일보

    1992.11.24 00:00

  • 젊음 유지·보양강정 약재로 인기|홍천 서석면 대추차

    예부 터 어르신네들께서는 제삿날이 되면 청정한 몸과 마음으로 제사를 드린 다음「대추를 먹으면 장수한다」며 대추 한알 씩을 드시곤 했다. 또 어린이들에게는 무서움도 안타고 병에도 안

    중앙일보

    1992.11.22 00:00

  • 갖가지「맛 김치」겨울미각 자극

    가장 맛있는 김장을 담그는 최적시기는 최저기온이 섭씨0도 이하로 떨어지고 평균기온이 4도 안팎을 유지할 때다. 이에 따라 올해 김장은 서울 및 중부지방이 20일께 부 터 시작해 제

    중앙일보

    1992.11.21 00:00

  • 사회·교양|「종가집 김치」공장 얘기

    교육방송『직업의 세계』(3일 밤6시50분)=「농산물 가공 종사자」. 한국의 김치를 세계인의 김치로 보급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두산식품의「종가집 김치」공장을 찾아가 종사자들의 업무를

    중앙일보

    1992.11.03 00:00

  • 고속도 휴게소서 특산품 판매/해당지역 명물 4∼5종씩 뽑아

    ◎시장보다 싸게/내달 25일 개장/시장·군수·구청장 품질인정증 부착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그 고장 으뜸얼굴 특산품을 싸게 팝니다.』 전국고속도로의 57개 휴게소에 지역특산물판매점이

    중앙일보

    1992.08.21 00:00

  • 첨단기술 연구현장을 찾아서(26)끝

    생산기술연구원(서울 양재동) 기계기술실용화센터의 CFC(염화불화탄소)대체냉장고개발팀은 냉장고의 냉매로 쓰이는 CFC의 사용제한조치에 대비하기 위해 2년전에 만들어진 특임연구조. 비

    중앙일보

    1992.06.01 00:00

  • 물 적게 붓고 차조는 끓은 후에 넣어야-오곡밥| 도라지 등은 미리 삶아 쓴맛 빼내도록-나물|아홉 가지 나물에 오곡밥…

    18일은 아홉 가지 나물에 오곡밥을 먹는다는 정월대보름. 달이 가득 찬 날이라 하여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갖가지 풍습이 전해 내려오는 날이다. 대보름 시절식으로는 오곡밥과 아

    중앙일보

    1992.02.15 00:00

  • 대보름 부럼도 수입품 "홍수"

    정월 대보름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부럼을 깨며 가족들의 한해 건강을 기원하는 고유의 명절인 대보름을 맞아 건과류·산나물 등을 마련하기 위해 시장을 찾는 주부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중앙일보

    1992.02.13 00:00

  • 할머니 자믄 깨워?| 그럼, 일어날 때까지 깨워야 혀…

    『공장에 취직혀서 아주 울라가 버렸슈.』 가슴이 철렁했다. 이러다간 상여꾼은커녕 동네에 사람이 남아날 것 같지가않았다. 지난 시제 때 홀짝홀짝 술 받아 마셔 가며 기름때 묻히고 판

    중앙일보

    1992.01.01 00:00

  • "간소한 상차림으로 음식물 버리지 말자"

    가정에서의 일상적인 상차림은 3첩반상이나 5첩반상으로 하는게 낭비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됐다. 또 손님을 청했을 때의 상차림은 교자상의 경우 후식 포함해 음식이 12가지 정도

    중앙일보

    1991.12.28 00:00

  • 한가위 서로 나누고 돌보던 옛 정신 이어져야|땀의 결실 거두는 축제의 날

    한가위 보름달이 휘영청 떴다. 그의 빛은 온 누리의 어둠을 씻어주기라도 할 듯이 유난히 밝고 깨끗하다. 그의 자태는 이 세상의 모든 갈등과 부조화를 어루만지듯이 한점 티도 없이 크

    중앙일보

    1991.09.20 00:00

  • 단호박 경단

    너무 물러서 뭉쳐지지 않는 호박에 역시 가을 맛이 물씬한 고구마·밤등을 섞으면 잘 뭉쳐질뿐 아니라 호박의 달고 독특한 향미와 고구마·밤의 맛이 잘 어우러져 아이들도 좋아하는 영양간

    중앙일보

    1991.09.07 00:00

  • -중 71황제의 천여년 도읍지 장안엔|대안탑 홀로서 옛 영화 말하는 듯

    『유리잔에 가득히/호박 빛 액체를 따르라./ 진주 같이 붉은 것 술통에서 철철 넘치고/용을 삶고 봉황을 구우면 기름이 우는데/병풍치고 장막 드리우니 우리들 마실 자리./ 용 울음처

    중앙일보

    1991.08.21 00:00

  • 호박 가지 폭우로 값 두배 껑충

    상추·쑥갓·가지 등 채소류 값이 많이 올랐다. 이들 채소류는 주로 여주·이천·평택 등 경기도 일원에서 재배, 출하되는데 지난 주말부터 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반입량이 크게 줄어

    중앙일보

    1991.07.26 00:00

  • 드라마

    □…MBC-TV『전원일기』(16일 밤8시5분)=「어른」. 밭에서 호박을 따던 김 회장은 아이들이 장난치며 공을 밭으로 보내자 아이들을 눌러 야단친다. 김 회장은 청년들이 윗옷을 벗

    중앙일보

    1991.07.16 00:00

  • 농촌 시인 고재종씨|"피폐한 농촌 현실" 시에 담아…

    농고 중퇴의 학력으로 낮에는 땀방울로 논을 적시고 밤에는 온몸을 불태우며 시를 쓰는 농사꾼 시인이 살고 있다. 전남 담양에서 논 10마지기로 농사짓고 있는 농사꾼 고재종씨(34·담

    중앙일보

    1991.05.24 00:00

  • 새벽에 부럼깨물며 무병기원

    오는 3월1일은 음력정월대보름. 오곡밥과 묵은 나물·귀밝이술·부럼·복쌈 등을먹는 이날의 풍습에는 무병과 복을 기원하는 우리조상들의 염원이 담겨있다. 또 영양면에서 대보름 음식은 한

    중앙일보

    1991.02.27 00:00

  • 사회·교양

    □…KBS 제1TV『퀴즈탐험-신비의 세계』(18일 밤7시40분)=가수 고영준, 탤런트 연운경,모델 안기성, 성악가 박미혜 ,보험상담인 김상복씨가 출연해 문제를 풀어본다. 어린 호박

    중앙일보

    1991.02.18 00:00

  • 신정연휴를 즐겁게…|상차리기·가족놀이·세배예법 등을 알아보면

    새해맞이 연휴가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설날(91년2월15일)공휴일지정으로 신정에 차례를 지내는 가정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새해 첫인사를 나누고 덕담을 주고받기 위해 친지를 찾는 발

    중앙일보

    1990.12.28 00:00

  • 「쌀 별미음식」대회 열려|소비 확대 위해 식생활개선 운동본부 주최

    쌀 소비확대를 위한 별미 음식솜씨 대회가 27일 서울 63빌딩 국제회의실에서 열렸다. 식생활 개선 범국민운동본부 주최로 열린 이 대회에는 전국에서 3백여 명의 주부들이 참가, 쌀을

    중앙일보

    1990.11.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