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통영해저터널 명칭을 도요토미 히데요시 운하로?

    통영해저터널 명칭을 도요토미 히데요시 운하로?

    ▶ 통영해저터널 입구. 위에 "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고 쓰여 있다. 이는 용문(물살이 센 여울목)을 지나면 산양(山陽.미륵도)에 이른다는 뜻이다. 문화재청이 경남 통영에 있는 해

    중앙일보

    2005.08.09 05:15

  • 첫 남북 전통공예 교류전

    첫 남북 전통공예 교류전

    ▶ 북한의 인민예술가이자 계관인인 우치선의 대표작 ‘꽃과새무늬청자화병’(높이 117cm). 1m가 넘는 청자화병은 만들기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성식 기자▶ 남한에 처음

    중앙일보

    2005.07.21 20:40

  • '북한 노래'파문 유홍준 청장 "국민께 심려 끼쳐 죄송"사과

    6.15 남북공동행사에서 북한 영화의 주제곡을 불러 논란이 된 유홍준 문화재청장이 17일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사과했다. 유 청장은 이날 평양을 떠나기에 앞서 '사과

    중앙일보

    2005.06.18 05:30

  • 일제 강탈 '주미 조선공사관' 95년만에 한국 품으로

    1910년 일제가 단돈 5달러에 강탈한 미국 워싱턴의 옛 주미 조선공사관 건물이 95년 만에 한국인의 품으로 돌아온다고 동아일보가 31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워싱턴 우리 공

    중앙일보

    2005.05.31 07:49

  • 의친왕 손자 이혜원씨 고궁박물관 연구위원

    의친왕 손자 이혜원씨 고궁박물관 연구위원

    문화재청은 24일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아들인 의친왕의 손자 이혜원(50.본명 전혜원)씨를 국립고궁박물관의 연구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이씨는 앞으로 의친왕 후손들의 가계와 가족사를

    중앙일보

    2005.05.25 05:05

  • "광화문 복원작업 앞당겨 내년 완료 앞에는 광장 조성"

    서울 광화문 앞에 이르면 내년에 서울시청 앞 잔디 광장(4400평)보다 넓은 5000여 평의 광장이 조성된다.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15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200

    중앙일보

    2005.04.16 05:16

  • [내 생각은…] 덕수궁 석조전을 역사자료관으로

    최근 덕수궁 석조전 동관을 국립근대미술관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공식 확인 절차 없이 한 미술계 인사의 언론플레이로 진행되고 있는 것에 대해 심히 유감을 표한다. 덕수궁 석조전 동

    중앙일보

    2005.04.11 20:51

  • 동종 등 보물3점 순식간에 녹아내려

    대웅전 격인 원통보전(圓通寶殿) 뿐 아니라, 보물 479호인 동종이 모두 녹아버렸다. 6일 새벽 전날 불에 탄 낙산사를 돌아본 문화재청 조사단은 종각과 함께 불타버린 잿더미에서 동

    중앙일보

    2005.04.06 10:31

  • 정치권·학계 "대마도는 우리 땅"

    일본의 '독도 도발'움직임이 가속화하면서 국내 정치권과 학계를 중심으로 "대마도는 우리 땅"이라는 주장이 일고 있다. 열린우리당 김원웅 의원은 17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

    중앙일보

    2005.03.17 08:40

  • 전직 대통령 글씨 현판 논란 증폭

    전직 대통령 글씨 현판 논란 증폭

    ▶ 이승만 전 대통령이 쓴 강원도 고성의 청간정 현판(사진 (上)). 전두환 전 대통령이 쓴 경남 합천 소재 임란창의기념관의 창의사 현판(中). 노태우 전 대통령이 쓴 대구 동화사

    중앙일보

    2005.01.26 18:36

  • 남북 천연기념물 '영상 만남'

    남북 천연기념물 '영상 만남'

    ▶ 주로 백두산 기슭에 사는 순록인 삼지연누렁이 남북한 천연기념물 영상이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문화재청은 남북의 천연기념물 700종의 사진과 동영상을 인터넷으로

    중앙일보

    2005.01.25 18:52

  • 개인 소장 문화재 특별전

    개인이 가지고 있는 국보급 문화재들을 모아 보여주는 특별전이 1~15일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열린다. 이 전시회는 비지정 개인소장 문화재의 공개 활성화 방침에 따라 문화재청과 한국고미

    중앙일보

    2004.11.30 20:28

  • 소설 '태백산맥' 속 계엄군 숙소 '남도여관' 문화유산 된다

    소설 '태백산맥' 속 계엄군 숙소 '남도여관' 문화유산 된다

    ▶ 문화유산으로 등록 예정인 ‘남도여관’. 현재는 가정집·상점으로 쓰이고 있다. 소설 '태백산맥'에서 공비 토벌대 계엄사령관들의 숙소로 묘사됐던 전남 보성군 벌교읍 '남도여관'이

    중앙일보

    2004.11.12 18:26

  • [week& Leisure] 우린 역사와 논다

    [week& Leisure] 우린 역사와 논다

    ▶ 아궁이에 군불을 넣은 게 100년도 넘었을 거란다. 고산서원을 닦고 쓸고 있는 지킴이들은 대구의 김민주(8)·김동주(5), 경주의 이예진(10)·이진우(8), 안동의 최재욱(8

    중앙일보

    2004.11.11 15:36

  • 태안 마애불 국보됐다

    태안 마애불 국보됐다

    ▶ 한국 마애불의 초기 양식을 간직한 태안 마애삼존불. 백제 최고(最古)의 잔잔한 미소로 유명한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마애삼존불이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 지정됐다. 또 법주사에

    중앙일보

    2004.08.30 17:44

  • 군산 앞바다서 1000년전 고려 배 인양

    군산 앞바다서 1000년전 고려 배 인양

    지난해 6천여점의 청자를 실은 채 전북 군산시 옥도면 십이동파도 바닷속에서 발견된 11세기 고려 선박이 인양됐다. 문화재청 국립해양유물전시관(관장 윤방언)은 10일 “십이동파도

    중앙일보

    2004.06.10 17:58

  • 관덕정 처마 '잃어버린 1자' 되찾는다

    관덕정 처마 '잃어버린 1자' 되찾는다

    ▶ 1880년께의 제주 관덕정 전경.▶ 처마가 잘려 나간 현재의 관덕정. 제주도의 유일한 목조 문화재인 관덕정(觀德亭.보물 322호)이 완전 해체 뒤 복원의 길에 들어갔다. 문화재

    중앙일보

    2004.05.23 20:30

  • [문화 단신] 근대문화재 33건 등록 예고 外

    *** 근대문화재 33건 등록 예고 문화재청은 20일 이광수.홍난파.이중섭의 옛 집 등 33건을 근대 문화재로 등록 예고한다고 밝혔다. 이 중 근현대 문화예술인의 옛 집은 ▶홍난파

    중앙일보

    2004.05.20 17:48

  • '대장금 수라간' 100년 만에 복원

    '대장금 수라간' 100년 만에 복원

    ▶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 중인 경복궁 수라간 터. 기초석 등 건축물이 있었던 흔적이 뚜렷하다. 경복궁 수라간이 철거된 지 100년 만에 흔적을 드러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중앙일보

    2004.05.13 17:53

  • [인사] 산업자원부 外

    ◇산업자원부▶혁신담당관 김현태▶기획예산담당관 김영민 ◇환경부▶신행정수도건설추진지원단 신원우 ◇행정자치부▶신행정수도건설추진단 박낙조▶부패방지위원회 남유진▶ 혁신담당관 한경호 ◇문화관

    중앙일보

    2004.03.23 19:02

  • 문화재 연구소 대전으로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서울 세종로 시대 34년을 마감하고 대전 대덕연구단지(유성구 문지동 대덕연구단지 대덕터널 옆)로 이전했다. 120억원을 들여 2001년 착공, 19

    중앙일보

    2004.03.03 20:24

  • [국회 통과 주요 법안 요지] 친일반민족 진상규명委 설치

    국회는 2일 본회의를 열어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안'을 통과시켰다. 법안에 따르면 친일반민족행위에 대한 자료수집 및 조사보고서를 작성하고 사료를 편찬할

    중앙일보

    2004.03.02 18:38

  • [문화] 미륵사지탑은 타임캡슐인가

    [문화] 미륵사지탑은 타임캡슐인가

    전북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11호)의 전면 해체 작업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었다. 2001년 탑 꼭대기부터 해체하기 시작해 지금은 전체 6층 중 1층과 기단석만을 남겨놓은 상태

    중앙일보

    2004.02.22 18:19

  • 국립문화재 연구소 대전 이전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서울 세종로 시대 34년을 마감하고 대전 대덕연구단지(유성구 문지동 대덕연구단지 대덕터널 옆)로 이전했다. 1백20억원을 들여 2001년 착공, 1

    중앙일보

    2004.02.19 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