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중역사 무크지 『역사비평』 창간호

    연구실에 갇힌 역사지식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본격적인 대중역사 무크지 『역사비평』창간호가 나왔다. 역사문제연구소(소장 정석종)가 펴낸 『역사비평』은 창간사에서 『민족사의 전환기에서

    중앙일보

    1987.09.30 00:00

  • 소 군사정보 공개촉구

    【모스크바로이터=연합】소련은 군사예산과 전력에 관한 자세한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관행을 버려야한다고 소련에서 발간되는 2개의 유력정기간행물이 28일 주장했다. 당이론지 코뮤니스트와

    중앙일보

    1987.09.29 00:00

  • 12년 만에 창작집 내놓아

    ○…75년 계간 『문학과 지성』에 「방울뱀」 을 발표, 문단에 데뷔했던 작가 김인배씨 (39) 가12년 만에 첫 창작집『하늘궁전』을 퍼냈다. 해설을 쓴 평론가 진형준씨의 지적대로

    중앙일보

    1987.09.26 00:00

  • 중앙일보와 함께 자란 예술인들

    시·소설·시조·희곡·평론 등 5개분야에서 신춘「중앙문예」를 통해 22년간 배출된 문인들은 1백50여명. 소설가로는 60∼70년대에 데뷔해 문단에 자리굳힘을 한 조세희·조해일·박범

    중앙일보

    1987.09.22 00:00

  • "납-월북문인 모두 118명"

    납·월북문인해금논의가 계속되고있는 가운데 지금까지 발표된 납·월북문인명단을 훨씬 상회하는 새로운 자료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문학평론가 권령민씨(서울대교수·국문학)가 『문예중앙

    중앙일보

    1987.09.21 00:00

  • 74년 창립 「자유실천문인협」 개편 「민족문학 작가회의」로 출범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약칭 자실)가 「민족문학작가회의」로 명칭을 바꾸면서 새 출범을 하게 된다. 8일 「민족문학작가회의」개편대회대책위원회 (신경림·백악청·이문구·조태일·박태순·양

    중앙일보

    1987.09.09 00:00

  • 동인지 『백수문학』 21집

    ○…충청문학 주도그룹의 하나인 『백수문학』 동인지 21집이 나왔다. 「결실기를 맞는 동인지시대」라는 부제가 붙은 이번 21집에는 박경석·강신룡씨등의 시,지요하·황정배씨 등의 소세,

    중앙일보

    1987.09.08 00:00

  • 20대시인들 작품 평가작업 활발

    출판사·문예지 등서 시집발간·특집 80년대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20대 시인들이 시단의 새로운 주축·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흔히 「시의 시대」로 불렸던, 80년대 초반이후 신춘문예

    중앙일보

    1987.09.08 00:00

  • 도시인의 삶과 정신적 갈등 묘사|타계한 유진씨의 작품세계

    별세한 유진오씨는 해방이후엔 주로 학계와 정계에서 활동했지만 2O년대 후반부터 해방 전에 이르는 기간 중 그가 쌓아온 문학적 업적은 우리 문학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이었다. 평론

    중앙일보

    1987.09.01 00:00

  • 학계·문단의 ″큰별"로 우뚝|난세를 버틴 정신적 지주

    8월30일, 음력으로 칠석날 낮에 큰별이 땅에 떨어졌다. 우리나라 지식인·문화인들이 오랫동안 그들의 정신적지주로서 존경해오고 받들어오던 현민 유진오선생이 긴 고난의 투병끝에 이날

    중앙일보

    1987.08.31 00:00

  • 참여평론가들「행동」서 「이론」정립 모색

    80년대 참여문학의 제2세대 평론가들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8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경향의 신진평론가들이 각기 역량있는 목소리로 출발, 문학적 성과를 이루는 가운데 민족·민

    중앙일보

    1987.08.25 00:00

  • 전환기의 민족문학

    ○…『창작과 비평』『실천문학』과 맥을 같이하는 문학예술 무크지 『문학예술운동』이 창간됐다. 제1집 제목은 『전환기의 민족문학』(도서출판 풀빛간) . 70, 80년대 민족문학예술의

    중앙일보

    1987.08.19 00:00

  • 양TV「드라머은행」운영 활발

    TV드라머의 다양화와 내용의 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KBS와 MBC 양TV는 최근 「드라머 작품 은행」과 「자료조사요원」을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이는 작가나 제작진의 제한된 경

    중앙일보

    1987.08.18 00:00

  • 죽음을 통한 잠언들

    『남해금산』 (이성복시집)은 우리의 조각난 삶과 서러운 일상의 바닥을 투명하게 내려다본다. 「서정적 시편들로써 서사적구조를 이루는」 (문학평론가 김현) 『남해금산』은 치욕을 죽음과

    중앙일보

    1987.08.05 00:00

  • 지역문학련 전국대회

    자유실천문인 협의회는 8일 하오7시 부산 대한성공회 연수원에서 지역문학운동위원회 전국대회를 연다. 이번 대회에서는 문학평론가 구모용·민병욱씨의 「지역문학운동론」 발표에 이어 지역문

    중앙일보

    1987.08.05 00:00

  • 이 한여름을 시와 함께…|평론가 10인이 선정한 읽을만한 시집 10권|노변에 앉아 한컵 찬물로 갈증 달래듯…

    화염처럼 혹독한 무더위와 권태로운 장마 속의 여름-. 이 목타는 여름, 노변에 앉아 한컵 찬물을 마시듯 한권의 시집을 읽자. 휴가철을 맞아 10명의 문학평론가 (권영민·김선학·김우

    중앙일보

    1987.08.05 00:00

  • 시와 음악 "한마당" 펼친다|「아트코리아」, 26일 세종문화회관서 무대마련|오키스트러연주에 성우가 시낭송…성악가들이 노래|한강예찬 교향시 초연, 출연진·청중간의 대화시간도

    시와 음악이 한데 어우러지는 이색음악회가 한여름밤을 수놓는다. 오키스트러의 연주에 맞춰 성우들이 시를 낭송하고 그 시에 곡을 붙인 가곡을 성악가들이 부르는 「시와 음악과 한강」이

    중앙일보

    1987.08.04 00:00

  • 문화도 민주화 돼야한다

    중앙일보에 연재된 「민주시대의 문화·예술」이란 시리즈에 실린 한 문학평론가의 글은 인상적이었다. 그는 우리 문화의 민주화를 위해서는 우선 그동안 잃었던 세가지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

    중앙일보

    1987.08.03 00:00

  • 「복수장르」문인 늘어났다|80년대 문단|시·소설, 창작·평론 병행 올해만 10명… 총 50명선|"산업사회에 맞는 이론보강…재능도 확인"

    시인이 소설가로, 소설가가 시인으로, 시인이 문학평론가로, 재데뷔하는 현상이 최근 부쩍 늘고 있다. 특히 올들어서만도 김정환·이하석·김진경·차거일·김영승·장정일·구광본씨등 10여명

    중앙일보

    1987.07.28 00:00

  • 자유중국,중공 한약재·서적도 수입

    【홍콩=박병석특파원】자유중국정부는 이달들어 8년만에 홍콩·마카오를 경유하여중공을 방문하는대만인들의 여행허가를 검토중인데 이어 24일부터 일부 중국대륙산 한약재의 수입자유화를 허용했

    중앙일보

    1987.07.28 00:00

  • 「수필의 전개」세미나

    한국수필가협희는 26일까지 경북포정상공회의소에서 제6회 세미나를 개최한다. 「한국수필의 문학적전개」를 주제로한 이번 세미나에는 원형갑씨 (문학평론가)·안영수교수(경희대영문과)·허세

    중앙일보

    1987.07.25 00:00

  • 「광주의 5월」시선집 첫선

    『너를 민주의 성지라 부르기엔/아직은 이르다/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운 입으로/너를 위대한 도시라 찬양하기엔/아직도 우리의 입술이 무겁기만하다』(문병난의 『송가』중에서). 80년대 우

    중앙일보

    1987.07.21 00:00

  • 이 한권의 책으로…|우리주변의 이야기…재미와 문학생 가득

    휴가철에 읽는 한권의 책은 마음을 살찌게하고 우리의 기억속에 오래오래 남게 된다. 재미와 문학성이 듬뿍 담겨 더위를 잊을 수 있는 소세, 그 중에서도 우리 주변의 이야기를 담은 국

    중앙일보

    1987.07.21 00:00

  • 드라마

    □…MBC-TV 『푸른교실』(20일 밤7시10분)-「함께 부르는 노래」. 쫑아는 친구와 함께 가수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다 가요평론가처럼 해박한 친구의 지식에 기가 죽는다. 쫑아의

    중앙일보

    1987.07.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