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17. 동양이 본 개화기 조선-박노자 교수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17. 동양이 본 개화기 조선-박노자 교수

    개화기 조선의 운명이 바람 앞의 등불 같았던 이유는 변화에 대응할 우리의 힘을 키우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이와 함께 조선을 발판으로 도약하려 했던 주변국의 이해관계도 계산해야

    중앙일보

    2003.05.28 18:56

  • [지식/교양] '천년의 정원'

    천년의 정원/위치우위 지음/유소영.심규호 옮김/미래M&B, 1만5천원 저자는 '중국문화답사기''세계문명기행'으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중국의 예술평론가이자 문화사학자. 신간은 '중국

    중앙일보

    2003.05.16 16:41

  • [과학을 아낀 선조들] 송이영

    현대는 시간에 정확하게 맞추어 사는 사람을 요구한다. 그런 사람일수록 현대인이라고 하거나 더 나아가 문명인이라고 한다. 정확하게 시간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는 현대인의 삶과

    중앙일보

    2003.03.26 15:34

  • "전쟁은 강자의 문화유산만 남긴다"

    "전쟁은 강자의 문화유산만 남긴다"

    세계에 전운(戰雲)이 가득하고 지난 주말에는 60여개국에서 사상 유례없는 반전(反戰) 시위가 있었다고 한다. 건축 사학자로서 마음은 더 무거웠다. 인류문화사의 주된 흐름은 언제나

    중앙일보

    2003.02.16 17:43

  • [지식/교양] '미국의 정치문명'

    미국의 정치문명/권용립 지음, 삼인, 1만원 주장은 항상 설득을 전제로 한다. 자신의 주장이 남을 설득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없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쉽사리 나서지 못한다. 하물며

    중앙일보

    2003.02.07 16:33

  • [심층 분석] 전쟁땐 문화유산도 잿더미

    미국의 이라크 공격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금과 같은 병력 배치 속도라면 이달 말 아니면 다음달 초 공격이 시작될 전망이다. 유엔감시검증사찰위원회(UNMOVIC)는 오는 27일까지

    중앙일보

    2003.01.05 18:18

  •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 東西'문명의 다리'부활을 꿈꾼다

    우즈베키스탄은… 1991년 소련의 해체와 함께 역사 속에 부활한 옛 실크로드의 핵심국가. 비단길의 중심도시였던 사마르칸트·히바·부하라 등이 모두 영토 내에 있다. 과거부터 동서교류

    중앙일보

    2002.07.22 00:00

  • 책꽂이

    ◇1789년의 대공포(조르주 르페브르 지음, 최갑수 옮김, 까치, 1만5천원)=프랑스 혁명에 관한 연구에서 기념비적 성과를 남긴 저자의 대표작 중 하나. 혁명 발발 무렵 프랑스

    중앙일보

    2002.04.27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주변부의 시선

    노엄 촘스키 ·사뮤엘 헌팅턴 ·위르겐 하버마스 ·미셸 푸코 ·앤서니 기든스 ·폴 크루그만….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적 지식인들의 면면이다.실제 얼굴도 잘 알려져 있다.이들의 입장

    중앙일보

    2001.12.06 00:00

  • 이 책들을 읽고도 경주로 떠나지 않는다면

    경주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태어날 때 닭이 울었다고 해서 '계림(鷄林)'이란 칭호를 얻은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첨성대와 월성 사이의 숲에 가면 절로 '신라 가시내의 숨결과 같은/

    중앙일보

    2001.09.14 11:13

  • 상반된 시각으로 본 도올 동양학

    도올 김용옥의 해석학과 인문주의 함재봉 교수의 김용옥 옹호는 도올이 쓴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절차탁마 대기만성』(통나무) 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책을 도올의 해석학적 입

    중앙일보

    2001.04.21 09:22

  • 말은 있되 글이 없었던 때

    최근에는 좀 시들해졌지만 얼마 전까지 삼행시라는 형식의 유머가 유행했다. 알다시피 삼행시란 세 글자로 된 표제어(이걸 흔히 '운韻'이라고 말하지만 그건 잘못이고, 굳이 말하자면 시

    중앙일보

    2001.01.31 15:49

  • 실증사학 토대 동로마 역사 서술 '비잔티움 제국사'

    동로마 제국의 역사, 곧 비잔티움사는 한 마디로 '홀대받은 역사' 였다. 서로마를 모태로 한 서유럽인의 대결의식이 비잔티움 문명을 의식적으로 낮게 평가해왔기 때문이다. 이런 대결의

    중앙일보

    2000.01.20 00:00

  • [한국의 새천년 도전현장] "문화=돈" 아이디어 전쟁

    네덜란드의 문화사학자 J 호이징가는 인간의 속성을 ''유희적 인간'' , 즉 호모 루덴스(Homo Ludens) 라고 갈파했다. 유사 이래 인간은 놀이와 함께 태어나 놀이와 함께

    중앙일보

    1999.12.23 09:51

  • [한국의 새천년 도전현장] 6. "문화=돈" 아이디어 전쟁

    네덜란드의 문화사학자 J 호이징가는 인간의 속성을 '유희적 인간' , 즉 호모 루덴스(Homo Ludens)라고 갈파했다. 유사 이래 인간은 놀이와 함께 태어나 놀이와 함께 살다

    중앙일보

    1999.12.23 00:00

  • [한국의 새천년 도전현장] 6. "문화=돈" 아이디어 전쟁

    네덜란드의 문화사학자 J 호이징가는 인간의 속성을 '유희적 인간' , 즉 호모 루덴스(Homo Ludens)라고 갈파했다. 유사 이래 인간은 놀이와 함께 태어나 놀이와 함께 살다

    중앙일보

    1999.12.22 19:37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41. 한국과학사학회 회원들

    "과학사야말로 참된 인류의 역사다. " 19세기 독일의 생리학자 뒤 봐 레이몽의 말이다. 모든 문명의 이기(利器)는 과학의 산물이다. 환경오염.핵무기.에너지 문제 등 인류를 위협하

    중앙일보

    1999.12.06 00:00

  • [옴부즈맨칼럼] 섹션구성 좀 더 다양하게

    중앙일보가 어느 신문보다 앞서 전문기자 제도를 도입하고 지면의 섹션화를 시도한 것은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신문의 바람직한 자세로 크게 환영받을 만한 것이었다. 그 이유는 한편으론

    중앙일보

    1999.05.03 00:00

  • [고조선 국내외 연구 어디까지 왔나]

    국내에 한 점도 없던 고조선 미송리형 토기들이 무더기로 쏟아져나와 우리 가슴을 설레게 했던 지난 열흘 남짓. 고조선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활하고 있다.학계에서도 미송리형 토기의

    중앙일보

    1998.04.10 00:00

  • [분수대]문명과 질병

    아르카디아는 고대 그리스에 존재했던 지명이다. 아르카디아 사람들은 세상으로부터 고립돼 목가적 분위기에서 살았다. 시인 헤시오도스는 아르카디아를 '악.고역 (苦役).질병에서 해방된

    중앙일보

    1998.01.11 00:00

  • [새로운 세기를 찾아서]35.로마 유감

    '로마는 마지막으로 보아야 하는 도시’라고 합니다. 장대한 로마유적을 먼저 보고 나면 다른 관광지의 유적들이 상대적으로 왜소하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입니다. 로마의 자부심이 담긴 말

    중앙일보

    1997.10.04 00:00

  • 뗏목…일엽편주 위에 생은 출렁거리고

    바다 위에 한번 누워보자. 출렁이는 물결을 등에 깔고 파도와 하나가 되어 흔들리면서 밤하늘을 감상하자. 지금 그냥 동해로 가면 된다. 소나무 몇 토막을 튼튼하게 묶어 물 위에 띄우

    중앙일보

    1997.08.25 00:00

  • [서평]강상중 著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팔레스타인계 미국 문학비평가 에드워드 사이드가 지난 78년 출판한 '오리엔탈리즘' 은 20세기의 마지막 20년간 가장 중요한 인문학적 논제의 하나인 탈식민주의 담론의 기원을 이룬다

    중앙일보

    1997.08.17 00:00

  • 풍수지리학자 최창조씨-미술사학자 유홍준씨

    '역마살' 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두 사람. 이나라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땅냄새를 맡고 땅의 생김새를 어루만지고 그 땅위에서 반만년의 역사를 일구어온 선조들의 숨결을 느껴온 두

    중앙일보

    1997.07.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