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4.제2부 江따라 문화따라 雲南.貴州1.

    중앙일보 양자강 문화예술대탐사는 오늘부터 제2부 「강따라 문화따라」편으로 들어갑니다.제1부 「중국문화의 원형을 찾아서」는문학.미술.음악.연극.무용등 문화의 각 장르에서 가장 중국적

    중앙일보

    1995.11.11 00:00

  • 14.북 만들기 맥잇는 이정기씨

    동서를 막론하고 자고로 신물(神物)대접을 받아온 악기가 북이다.지금도 각종 제의나 굿판등에 북이 빠지는 법이 없지만 알타이족을 비롯한 시베리아의 여러 종족들은 북소리를 아예「신령의

    중앙일보

    1995.09.28 00:00

  • 가을 향토축제-이천도자기축제.남도음식대축제

    구름이 두둥실 떠가는 파란 하늘을 따라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가을은 축제의 계절이다. 전국 곳곳에서 흥겹게 벌어지는 가을축제에 참여해 보는 것도 가을 나들이를 풍요롭게 하는 방법이다

    중앙일보

    1995.09.27 00:00

  • 판소리고법 기능보유 후보 정철호씨

    『뚝 따다닥-뚝 닥.』 단순하면서도 둔탁한 소리지만 듣는 이의 영혼을 흔드는데는 북만한 악기가 없다.이같은 보편성 때문에어느 때,세계 어느 곳에 가도 북은 있게 마련이고 그만큼 사

    중앙일보

    1995.08.24 00:00

  • 12.진주검무 기능보유자후보 鄭畢順여사

    『검무를 처음 배울 때는 춤사위가 하도 어려워 한번 추고 나면 며칠씩 몸살을 앓곤 했죠.』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晋州劍舞)기능보유자 후보 정필순(鄭畢順.68.경남진주시봉

    중앙일보

    1995.08.04 00:00

  • 거문고산조 기능보유자후보 金泳宰교수

    『가야금이 음색이나 주법(奏法)등에서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 여성적이라면 거문고는 연결방법에 부자연스런 데가 많지만 술대로내려치는 등 남성적이면서 역동적인 멋이 가위 백악지장(百樂之

    중앙일보

    1995.07.27 00:00

  • 10.가곡(남창)기능보유자후보 李東圭씨

    『요즘 세상이 얼마나 험합니까.하지만 순수한 우리음악을 하다보면 티끌 하나 없이 마음이 맑아지고 절로 무념무상(無念無想)의 세계에 빠져 들게 돼 법 없이도 살게 되지요.』 무형문화

    중앙일보

    1995.07.13 00:00

  • 9.악기장 기능보유자후보 高興坤씨

    『나무란 것도 도시 사람과 같아 오래 겪어보고 최대한 친하려는 노력 없이는 절대 성질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무형문화재제42호 악기장 기능보유자 후보인 고흥곤(高興坤.44)씨가

    중앙일보

    1995.06.30 00:00

  • 8.조선시대 궁중음식 맥잊는 韓福麗씨

    『한국음식하면 짜고 매운 것으로만 알려져 있지만 궁중음식은 심심하고 담박한게 특징입니다.가짓수도 많지만 모두 맛과 영양이일품이어서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문화유산이지요.

    중앙일보

    1995.06.15 00:00

  • 7.화살만들기 맥잇는 劉永基씨

    중국의 사서(史書)『삼국지』위지동이전이나『진서(晋書)』를 들먹이지 않아도 우리민족은 예부터 활과 깊은 인연을 맺어왔다. 하지만 세월이 갈수록 이에 대한 관심과 애호가들이 격감함에

    중앙일보

    1995.06.01 00:00

  • 6.한영숙流 승무 전승 李愛柱교수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 나빌레라」. 아는 것이 많다고 해 「조지다(趙知多)」란 별호를 얻었다는 시인 조지훈(趙芝薰)의 찬탄은 그렇다치고 춤에 대해 생판 문외한이

    중앙일보

    1995.05.25 00:00

  • 5.丹靑 기능보유자 후보 朴亭子씨

    『삼라만상을 녹일듯한 강렬한 색깔이 일정한 문양의 배열을 통해 그지없는 율동미를 주면서도 일점.일획의 여유도 허용치 않는단청(丹靑)의 포만감에 끌려 배우게 됐습니다.』 단청하면 흔

    중앙일보

    1995.05.18 00:00

  • 4.경기민요 맥잇는 李春羲씨

    『이별이야 이별이야/임과 날과 이별이야/인제가면 언제 오료/오만하늘 일러주오.』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의 기능보유자후보 이춘희(李春羲.48)씨가 즐겨 부르는 『이별가』의 가

    중앙일보

    1995.05.11 00:00

  • 3.갓만들기 장인 박창영씨

    품이 넉넉한 도포에다 정갈하게 얹어올린 갓-. 그 옛날은 아예 그만두고 양복이 구경거리이던 시절만해도 우리남정네들이 기품을 잡기 위해 갖추곤 했던 바깥차림의 기본이다. 특히 이 중

    중앙일보

    1995.05.04 00:00

  • 2.대금산조 맥잇는 李生剛씨

    「사람이 낼 수 있는 자연음의 극치」. 「영혼을 일깨우는 천상의 선율」. 대금인생 50여년-.이생강(李生剛.53)씨의 대금산조(大금散調)소리를 한번 들어보라. 공연히 멀쩡했던 가슴

    중앙일보

    1995.04.27 00:00

  • 1.양주 별산대놀이 金順姬여사

    세계화바람을 타고 외래문물이 밀려들어와 우리의 전통가치와 문화를 위협하고 있다. 외래문화의 범람속에서 우리의 멋과 전통의맥을 이어가는 일이야말로 참다운 세계화의 한 지표가 될것이다

    중앙일보

    1995.04.20 00:00

  • 13.수벽치기

    극작가 정복근(鄭福根)씨는 지난 82년 한무(韓武)라고 하는젊은 무예연구가를 만났다. 鄭씨는 마루치라는 등장인물을 통해 한국 무사(武士)의 혼과 맥을 찾아보려는 시도를 담은 희곡

    중앙일보

    1995.03.08 00:00

  • 고인돌群등 3곳 기념물 지정

    경기도 문화재심의위원회는 19일 김포군검단면대곡리 고인돌군(群)과 양평군옥천면신복리 강맹경(姜孟卿)묘역,화성군남양면남양리신빈金씨 묘역등 3곳을 경기도기념물로 추가 지정했다. 또 민

    중앙일보

    1994.12.19 00:00

  • 의정부문화원 주부무용교실

    주부들에게 전통무용을 보급하기 위해 의정부문화원 문화예술학교가 지난해 7월 개설한 무용교실에 주부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3개월 과정으로 짜인 이 강좌는 이미 4기를 마쳐 현재

    중앙일보

    1994.10.03 00:00

  • 94슈퍼모델 주정은

    지난 23일 열린 SBS주최 한국슈퍼모델대회에서 슈퍼모델(1위)로 낙점된 주정은(朱貞銀.1m77㎝)양은 76년 태어난 경기여고 3년생.올해 미스코리아 진 한성주양이 고려대에 재학중

    중앙일보

    1994.09.30 00:00

  • 양주 별산대놀이 보존회

    「지역 전통놀이문화를 보존하고 발전.계승시킨다.」 64년12월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된 양주별산대놀이를 전승하는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회장 金相容.69)는 양주군지역 농부.회

    중앙일보

    1994.08.06 00:00

  • 인천 은율탈춤보존회

    전통 탈춤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혼을 불사르는 탈춤 모임이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78년2월 중요 무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된 은율(殷栗)탈춤보존회(회장 莊龍秀). 아흔이 훨씬

    중앙일보

    1994.07.25 00:00

  • 단오절 전통무예 연구발표회

    중앙문화센터는 서울시체육회와 공동으로 잊혀져가는 무형문화재를발굴.재현하고 생활스포츠로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전통무예 연구발표회를 단오절인 13일 국기원에서 엽니다. 고구려시대로부터

    중앙일보

    1994.06.11 00:00

  • 전통무예 연구발표회

    중앙문화센터는 서울시체육회와 공동으로 잊혀져가는 무형문화재를발굴.재현하고 생활스포츠로 계승 발전시키기위한 전통무예 연구발표회를 단오절인 오는 13일 국기원에서 엽니다. 고구려시대부

    중앙일보

    1994.06.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