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녹화시책, 식목「붐」틈타 날뛰는 묘목절도 일제 단속

    묘목도둑이 극성이다. 국도녹학시책과 식목「붐」에 따라 묘목값이 비싸지고 수요가 늘어나자 전국 곳곳에서 묘목을 훔쳐 파는 전문절도단이 부쩍 늘어났다. 묘목전문절도들은 묘포장에서 기르

    중앙일보

    1973.04.27 00:00

  • 산림녹화에의 길(2)-조림실패와 10년 계획

    조림실패의 중요원인=산 주의 의욕에 의한 자발적인 조림이란 기대할 수 없었으므로 해방 후 역대정부는 매년 보조에 의한 조림을 대대적으로 실시하여 왔다. 묘목은 무상으로 주고 노역

    중앙일보

    1973.04.04 00:00

  • 묘목 3억 그루 심기로

    내무부는 올해 3억4천3백50만그루의 묘목을 심어 품귀상태를 보이고 있는 각종나무의 묘목을 공급키로 했다. 이 묘목은 각새마을 단지로 1억4천90만 그루, 임업시험장·영림서동 임업

    중앙일보

    1973.03.21 00:00

  • 각계의 의견 국토녹화|그 10년 계획의 청사진

    획일적인 인산통제보다 지도계몽을 기념식수 운동전개 등은 바람직한 일이다. 정부시책으로 모든 산에의 입산통제·기업의 조림의무·농가연료 대체 계획 둥 경제·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중앙일보

    1973.03.16 00:00

  • (상)국토녹화 그 10년의 계획의 청사진

    국토녹화를 위한 10년계획의 청사진이 펼쳐졌다. 내무부가 발표한 제 1차「치산 녹화 10년계획」은 전제조림대상 임야 2백63만7천ha 가운데 약 40%에 이르는 1백8만4천ha에

    중앙일보

    1973.03.14 00:00

  • 108만ha에 21억 그루 식목|내무부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발표

    내무부는 10일 국토녹화를 위한 기간계획으로 「제1차 치산·녹화 10년 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정부는 올해부터 오는82년까지 10년 동안 총9백3억원을 들여 2

    중앙일보

    1973.03.10 00:00

  • 중앙일보사 20만원고료 「새마을 수기」당선작

    우리 마을은 이름이 밤나뭇골 입니다. 밤나무가 많다는 연유로 해서 그렇게 예로부터 불러오는가 봅니다. 이러한 우리 밤나뭇골을 외처 사람들은 「동화의 마을」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정

    중앙일보

    1972.11.20 00:00

  • 명산·특산의 고장(2)|광양 밤

    마을 뒷산이 온통 밤나무 숲이다. 다섯 키를 훨씬 넘는 밤나무가 5m쯤 간격으로 총총히 숲을 이루었다. 밤송이에서는 갓난 어린애의 주먹 크기 만한 왕밤이 튀어나왔다. 전북 광양군

    중앙일보

    1972.11.07 00:00

  • (13)사방·조림

    주민들 스스로의 노력으로 나무를 심고 지키기 13년. 경북 월성군 천북면 청령부락은 이제 울창한 숲에 둘러싸여 산사태를 모르는 마을이 됐다. 올해부터 주민들은 유실수를 심기로 조림

    중앙일보

    1972.05.03 00:00

  • (10)|「푸른 마을」 가꾸기 충북 음성군 생극면 거평리

    『푸른 마을 입구』-. 한길 가에 나붙은 표지판을 지나 곧게 뚫린 마을 안 길에 들어서자 길 양옆으로 개나리·진달래며 사철나무 등 각종 관상 목이 탐스럽게 늘어섰다. 이곳이 사과와

    중앙일보

    1972.04.21 00:00

  • 벽촌에 희사한 여름방학

    학생들은 클럽활동을 통해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는 좋은 체험을 얻는다. 성인이 된 후에도 학생시절의 클럽활동은 그 사람의 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인상깊은 추억이 되기도 한다. 외국

    중앙일보

    1970.04.14 00:00

  • (2)대만의 고사족-김찬삼 여행기

    우리의 화물선 「워성턴·베어」호는 「오끼나와」에 3일간 머무른다음 대만으로 향했다. 바다빛은 검푸르고 밤부터는 바람이 몹시 일고 배는 전후좌우로 흔들리니 방안의 짐은 풍비박산이 되

    중앙일보

    1970.01.15 00:00

  • (201)천년수

    높이35m, 밑동의 둘레가 11m, 나이 1천년을 해아리는 은행나무 고목이다. 그 나무의 아름드리 가지가 땅에 내려앉아 물구나무선채 뿌리를 내리고 또 새줄기를 돋아내 키우고있다.

    중앙일보

    1969.05.13 00:00

  • 맨주먹대결 60년|충북 괴산면 자갈면 모래리|식목일에 빛을 받는 마을|벌거숭이 모래산을 피와 땀으로 정복한「푸른역사」

    충북괴산군사리면소담리-글자그대로 「자갈면 모래리」란 별명이 붙었던 이마을에는 식목일이 따로없다. 1년3백65일이 내내 식목일이라는 것이다. 60여년전 풀 한포기 찾아볼수 없었던 불

    중앙일보

    1969.04.05 00:00

  • (1)알알이 원정의 손길

    나주군 배밭골에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면 아낙네의 손길은 배따기로 바빠진다. 『익기도 잘도 익었구나!』신이 난 송금자양(14). 극심했던 가뭄도 말끔히 잊은 듯 바구니 가득히 배를

    중앙일보

    1968.10.08 00:00

  • (3) 선견에 웃는 뽕밭전환

    【장성=김석성기자】가뭄은 어쩌면 영농혁명을재촉하는것인지도 모른다. 어지간한가뭄엔 끄떡없는 수리답의 경우엔 몰라도 봉천 지기(천수답)의 경우엔 벼농사를 계속할것이냐 다른 농사를 지을

    중앙일보

    1968.08.01 00:00

  • 〈미각풍류〉(14) 임실수시

    마을 앞 감나무는 몇 백년이 되었을까? 두 어 아름이나 되는 나무등걸, 해가 바뀔수록 속은 비어 가지마다 앙상하다. 그래도 그 끝에 매달린 신록의 무리에는 감꽃이 새롭다. 임실군

    중앙일보

    1966.06.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