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아담, 바이러스의 자서전

    아담, 바이러스의 자서전

    21세기는 바이러스의 세기가 되거나, 아니면 아예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과학과 의학의 허점을 짚고 스릴러의 수준을 높인 작품! 프랑스의 유명한 종합병원인 코생Cochin병원에서

    중앙일보

    2006.03.02 17:55

  • 유명 작가 된 카터 전 대통령

    유명 작가 된 카터 전 대통령

    지미 카터(82.사진) 전 미국 대통령이 베스트셀러 작가로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27일 보도했다. 퇴임 뒤 지금까지 18권의 책을 냈으며 특히 최근에 발표한

    중앙일보

    2006.02.28 05:31

  • [week&문화cafe] 헌 티셔츠 가져가면 그림 그려준대

    [week&문화cafe] 헌 티셔츠 가져가면 그림 그려준대

    윤호섭(63.국민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가 사는 집과 학교 연구실에 가 본 사람은 두 번 놀란다. 고물상 저리 가라 할 정도로 잡다한 물건이 쌓여 있어 우선 놀랐다가 그 허섭스레

    중앙일보

    2006.02.16 18:05

  • [World온라인] "정자만으로 물고기 번식"

    어류의 정자만으로도 종을 번식시킬 수 있음이 확인됐다. 일본 언론은 7일 도쿄해양대 연구팀이 정자로 변하는 무지개 송어의 세포를 암컷 치어에 주입하는 실험 결과 이 세포가 난자로

    중앙일보

    2006.02.08 05:13

  • [깊이읽기] 지금은 빙하기 … 얼어붙을 인류의 미래

    [깊이읽기] 지금은 빙하기 … 얼어붙을 인류의 미래

    빙하기 존 그리빈·메리 그리빈 지음, 김웅서 옮김 사이언스북스, 150쪽, 9800원 우리는 현재 빙하기에 살고 있다. 이렇게 말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고개를 갸우뚱하며 "도대체 무

    중앙일보

    2006.02.03 21:35

  • [사진] 호주 '쥐라기 소나무' 병 걸렸다

    [사진] 호주 '쥐라기 소나무' 병 걸렸다

    '쥐라기 소나무'로 불리는 호주의 울레미 소나무(Wollemi Pine) 군락에 수목 전염병인 뿌리썩음병이 발생해 비상이 걸렸다고 호주의 일간지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31일 보도

    중앙일보

    2006.02.01 05:37

  • [옴부즈맨칼럼] 안목 넓혀준 '디지로그…' 발로 뛰는 환경기사 아쉬워

    토종 된장국을 먹어서인지 쓰러지진 않지만 우리는 살면서 참 힘들고 쓸쓸할 때가 많다. 그러나 그 쓸쓸함이나 슬픔에 갇히게 되면 삶이 좁아진다. 기쁨도 마찬가지다. 그 안에 갇히면

    중앙일보

    2006.01.26 20:51

  • 멸종위기 동식물 '깃대종' 지정

    멸종위기 동식물 '깃대종' 지정

    지리산 반달가슴곰과 북한산 호랑이.표범, 설악산 대륙사슴 등 64종의 멸종위기 동식물이 '깃대종'으로 지정돼 올해부터 10년간 각 국립공원에서 집중적으로 복원된다. 또 비무장지대(

    중앙일보

    2006.01.23 04:38

  •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가부키(가와타케 도시오 지음, 최경국 옮김, 창해, 364쪽, 1만8000원)=춤.연기.배우가 일체화된 일본의 종합예술인 가부키의 미학. 일본 서민예술의 세계화 가능

    중앙일보

    2006.01.20 21:12

  • 황새 한쌍이 33마리로 … 박시룡 교수, 복원 사업 10년

    황새 한쌍이 33마리로 … 박시룡 교수, 복원 사업 10년

    한국교원대 한국황새복원연구센터 박시룡(54.사진) 소장이 1996년에 시작한 황새 복원 사업이 10년이 됐다. 국내에서 멸종된 황새를 복원하기 위해 러시아에서 1996년 황새 한

    중앙일보

    2006.01.19 21:31

  • 새로 밝힌 연구 성과… 복제한 특수동물은 늑대

    황우석 교수는 12일 서울대 조사위 최종 조사 결과에 대한 대국민 사과 성명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연구성과 두 가지를 소개했다. 인간 면역 유전자를 주입한 무균 복제 돼지 줄기세포

    중앙일보

    2006.01.13 08:00

  • [깊이읽기] 이 황홀한 생명의 바다

    [깊이읽기] 이 황홀한 생명의 바다

    생명의 미래 에드워드 윌슨 지음 전방욱 옮김 사이언스북스 350쪽, 1만5000원 "헨리! 이름을 불러도 결례가 되지는 않겠지요? 당신의 글은 항상 친근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중앙일보

    2006.01.06 21:06

  • 토종견 9견 엇갈린 '개팔자'

    토종견 9견 엇갈린 '개팔자'

    문헌상 존재했던 것까지 포함하면 국내에는 모두 9종의 토종개가 있었다. 이 가운데 진돗개.삽살개.제주개.불개.풍산개.댕견 등 6종은 혈통이 남아있지만, 해남개.거제개.오수개 등은

    중앙일보

    2005.12.31 05:50

  • '소백산 늑대 + 누렁이' 불개 아세요

    '소백산 늑대 + 누렁이' 불개 아세요

    멸종 위기에 처한 불개를 되살리고 있는 동양대 고승태 교수가 이 학교 사육장에서 불개를 돌보고 있다. 불개는 현재 65마리가 있다. 조문규 기자 12월 29일 오후 경북 영주시 풍

    중앙일보

    2005.12.31 05:49

  • [문희수교수의보석상자] 호박

    [문희수교수의보석상자] 호박

    모스크바를 방문했던 10여 년 전 그해 겨울은 영하 20도를 밑도는 맹추위로 무척 추웠다. 나는 모스크바 대학에서 일하는 동료와 함께 아르바트가를 지나다 길가 좌판에 놓여 있는

    중앙일보

    2005.12.29 15:40

  • [브리핑] 진주 진양호 야생보호구 지정

    환경부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며 천연기념물 330호인 수달이 집단 서식하는 경남 진주시의 진양호 26.20㎢를 국내 첫 야생동물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10명의 관리요원을 배치

    중앙일보

    2005.12.29 05:22

  • 두루미, 민통선 마을서 집단 월동

    두루미, 민통선 마을서 집단 월동

    경기도 연천군 중면 횡산리 민통선 내 임진강변에서 두루미들이 무리지어 있다. [사진제공:연천닷컴]흰뺨검둥오리청둥오리 임진강변 민통선 마을인 경기도 연천군 중면 횡산리 산악지대가 천

    중앙일보

    2005.12.28 05:44

  • BBC "800여 종 멸종 위기"

    BBC "800여 종 멸종 위기"

    멸종동물 살리기 단체인 '멸종제로연합(Alliance for Zero Extinction)'이 각국 전문가들과 함께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의 서식지 595곳을 표시한 지도를 최근

    중앙일보

    2005.12.14 05:19

  • "완산칠봉 우리 손으로 지켜요"

    "완산칠봉 우리 손으로 지켜요"

    ‘완산칠봉을 사랑하는 우리들의 모임’의 김정철회장이 최근 전주 시민들이 낸 성금을 모아 매입한 토지 470여평을 가르키고 있다.[N-POOL 전북일보 이강민 기자] 자연환경이나 문

    중앙일보

    2005.12.12 23:19

  • [환경경영아이디어들] 내셔널트러스트 동참 … 전통 가옥 보존 앞장

    [환경경영아이디어들] 내셔널트러스트 동참 … 전통 가옥 보존 앞장

    KT 직원들이 강원도 동강 제장마을의 전통 가옥을 보전하기 위해 허물어진 흙벽을 보수하고 있다. 국내 최대 통신회사인 KT는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환경 보전 운동을 벌이고 있다

    중앙일보

    2005.12.07 15:14

  • [과학칼럼] 더 이상 갈 곳 없는 야생동물들

    이웃 나라 일본 규슈 남단 이즈미시에는 매년 11월 중순부터 이듬해 3월까지 월동하기 위해 아시아 동북부에서 한반도를 경유해 날아오는 1만2000여 마리의 국제적 보호 조류 흑두

    중앙일보

    2005.11.24 21:02

  • [권혁재사진전문기자의네모세상] 천수만

    [권혁재사진전문기자의네모세상] 천수만

    수십만마리의 새가 수면을 박차고 한순간에 튀어 오른다. 회오리바람 일듯 치솟아 하늘을 휘도는 가창오리의 군무(群舞).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 중 이만큼 가슴을 뛰게 하는 것도

    중앙일보

    2005.11.24 16:00

  • [깊이읽기] 2000년 호령해 온 남성권력 마침내 해가 저무는가

    [깊이읽기] 2000년 호령해 온 남성권력 마침내 해가 저무는가

    “후기 자본주의 시대 남성들은 숲 속에서 길을 잃었다. 문제는 앞으로 내뻗은 한쪽 발은 바나나 껍질을 밟고 서있다는 점이다.” 한 남성 심리학자의 말은 ‘고개 숙인 남자’들에 대

    중앙일보

    2005.11.18 19:53

  • "백두산호랑이 구경 오세요"

    "백두산호랑이 구경 오세요"

    중국에서 들여올 백두산호랑이 암컷. [산림청 제공] 멸종 위기에 있는 백두산호랑이가 국내에 추가로 들어온다. 산림청은 "중국 헤이룽장성(黑龍江省) 하얼빈시(哈爾濱市) 동북호림원(東

    중앙일보

    2005.11.01 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