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 지역 이 사람!] 곤충박물관장 이대암씨

    [이 지역 이 사람!] 곤충박물관장 이대암씨

    ▶ 이대암 곤충박물관장이 관람객들에게 전시된 곤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6일 강원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 영월곤충박물관 전시실. 폐교인 옛 문포분교장을 국내 유일의 곤충전문 박물

    중앙일보

    2005.08.18 04:42

  • 우린 괴산 심복굴에만 살아요… 장님좀먼지벌레·잔나비거미 40년째 서식 확인

    우린 괴산 심복굴에만 살아요… 장님좀먼지벌레·잔나비거미 40년째 서식 확인

    ▶ 세계적으로 충북 괴산의 심복굴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심복장님좀먼지벌레(上)와 제천서 발견된 붉은박쥐. [국립환경연구원 제공] 충북 괴산의 심복굴에 세계 유일의 심복장님좀

    중앙일보

    2005.07.18 04:34

  • [독도 그 섬엔…] 2. 새들의 고향

    [독도 그 섬엔…] 2. 새들의 고향

    ▶ 43년 만에 독도에서 발견된 한국뜸부기. 먼거리 이동으로 탈진한 이 새는 안타깝게도 사체로 발견됐다. 독도는 결코 외롭지 않다. 육지에서 200여km 떨어진 섬이지만 매년 반가

    중앙일보

    2005.06.09 05:23

  • 붉은머리멧새 등 조류 37종 독도서 첫 발견

    붉은머리멧새 등 조류 37종 독도서 첫 발견

    ▶ 독도 환경탐사대 해양탐사대원이 서도 앞바다에서 바닷속 생태계를 살피고 있다. 왼쪽 섬이 서도이고 오른쪽은 삼형제바위다. 독도특별취재팀 붉은머리멧새.북방쇠찌르레기 등 독도에서 3

    중앙일보

    2005.06.07 05:08

  • 울산 어민들 "고래사냥 하게 해주오"

    울산 어민들 "고래사냥 하게 해주오"

    "고래가 급증해 연안 어장을 망치고 있다.""늘어나기는커녕 이대로 놔두면 고래가 50년 안에 멸종될 위기다." 6월 국제포경위원회(IWC) 울산 총회를 앞두고 고래잡이 중심지였던

    중앙일보

    2005.04.04 07:26

  • 울산, 멸종위기 나비 되살리기 나서

    울산, 멸종위기 나비 되살리기 나서

    태화강에 연어가 돌아오게 한 울산시가 이번에는 현대자동차와 손잡고 꼬리명주나비(사진) 되살리기 사업에 나섰다. 이 나비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지만 울산에서는 최근 2~3년 사이

    중앙일보

    2005.03.20 20:37

  • 한국계 '귀신고래' 멸종위기

    한국계 '귀신고래' 멸종위기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그려질 정도로 우리 민족에게 친숙한 귀신고래(사진)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세계적으로

    중앙일보

    2005.02.22 06:34

  • 야생동물 먹는 사람도 처벌

    앞으로는 불법 포획된 야생동물을 함부로 먹은 사람도 처벌된다.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환경 당국이 내놓은 고단위 처방이다. 환경부는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야

    중앙일보

    2005.02.06 17:39

  • [사진] 철원에 나타난 황새

    [사진] 철원에 나타난 황새

    세계적으로 2500여마리밖에 없는 멸종위기종인 황새(천연기념물 제199호(右))가 강원도 철원 민통선 지역에 나타났다. 김수일 교수(교원대.황새복원연구센터 연구부장)는 "황새가

    중앙일보

    2004.12.01 21:30

  • 서산 간월호 철새들 '으뜸 도래지'

    서산 간월호 철새들 '으뜸 도래지'

    충남 서산시의 간월호가 국내 겨울철새 도래지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지역으로 평가됐다. 또 매년 100만마리의 겨울철새가 한국을 찾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립환경연구원은 21일 1999

    중앙일보

    2004.11.21 18:17

  • 희귀 난초류 '개불알꽃' 일본 수출 논란

    희귀 난초류 '개불알꽃' 일본 수출 논란

    인공 번식이 어려운 희귀 난초류인 개불알꽃(사진)이 낙동강유역환경청의 공식 승인을 받고 일본으로 대량 수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가 최근 국회에 낸 '우리나라 고유 생물종 국

    중앙일보

    2004.10.09 07:29

  • '죽음의 호수'가 생명의 바다로

    '죽음의 호수'가 생명의 바다로

    '조개무덤'이었던 시화호에 숭어가 뛴다. 시화공단 앞 모래톱에는 수백마리의 백로떼가 깃털을 단장하며 평화롭게 휴식을 취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저어새가 부지런히 먹이를 찾는다. 갓

    중앙일보

    2004.10.05 18:02

  • 꼬리치레도롱뇽 멸종위기종 청원

    꼬리치레도롱뇽 멸종위기종 청원

    녹색연합은 생태전문가 50명과 교사 108명, 14개 환경단체 등이 함께 꼬리치레도롱뇽(사진)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 달라는 청원을 환경부에 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청원에는

    중앙일보

    2004.09.23 17:26

  • [환경 미스터리] 5. 광릉서도 볼 수 없는 광릉요강꽃

    [환경 미스터리] 5. 광릉서도 볼 수 없는 광릉요강꽃

    살짝 드리워진 나무 그늘 아래 연분홍빛 항아리를 안고 주름치마를 펼친 듯한 광릉요강꽃. 5월께 피는 이 꽃은 경기도 광릉의 국립수목원을 대표하는 난초과(科) 식물이다. 하지만 정작

    중앙일보

    2004.09.10 18:39

  • 한라산에 황금박쥐… 환경연구원, 서식 확인

    한라산에 황금박쥐… 환경연구원, 서식 확인

    붉은박쥐(일명 황금박쥐)와 돌매화나무 등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있는 동식물이 제주도 한라산 일대 등에서 잇따라 발견됐다. 국립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제주도 한라산과 경남 밀양 신불산

    중앙일보

    2004.07.12 18:32

  • 美, 철갑상어 '멸종위기'로 지정

    미국 정부는 20일 철갑상어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했다고 미국 어류야생생물국의 스티브 윌리엄스 국장이 밝혔다. [AP]

    중앙일보

    2004.04.21 18:43

  • 낙동강 하류에 대규모 모래톱

    낙동강 하류에 대규모 모래톱

    부산 낙동강 하구둑 조성 후 둑 하류에 대규모의 새로운 사주(砂洲)가 형성돼 철새들의 서식지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낙동

    중앙일보

    2004.04.20 20:16

  • 홍도는 철새 천국…국내 380여종 중 202종 관찰

    홍도는 철새 천국…국내 380여종 중 202종 관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는 철새의 천국으로 조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02년 1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1년여 동안 홍도에서 철새의 이동상

    중앙일보

    2004.04.14 18:39

  • [방송] 인간의 욕심에 사라진 포유류들

    전래동화에 빈번이 등장할 만큼 우리 인간과 친했던 호랑이. 그러나 지금은 동물원에 가도 한국 호랑이는 없다. 적응력이 뛰어나 결코 사라질 수 없는 동물이라는 여우마저 이 땅에서 자

    중앙일보

    2004.03.02 17:39

  • 낙동강하구 '철새 낙원'이 줄어든다

    낙동강하구의 녹지와 농지는 줄고 주택.공장 등은 가파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시가 부산발전연구원에 맡겨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실시한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결과 20

    중앙일보

    2004.02.24 20:09

  • 야생동물 보호대상에 개구리·뱀도 포함

    환경보호 제도는 무엇이 달라지나.지난해 연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환경 관련 주요 법안의 내용을 요약.정리해본다. ◇수질환경보전법 개정=올 하반기부터 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이라

    중앙일보

    2004.01.08 17:45

  • [방송]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곳

    동경 1백55도, 북위 50도, 러시아 연방 동쪽 끝에 위치한 캄차카 반도. 유네스코가 세계 자연유산으로 지정한 '화산의 땅'이다. 3백여개의 화산 중 29개가 아직도 시뻘건 불을

    중앙일보

    2004.01.04 17:31

  • [사람 풍경] 철원 조류보호協 이시우 회장

    [사람 풍경] 철원 조류보호協 이시우 회장

    가을걷이를 끝낸 들녘은 칙칙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오대쌀'로 유명한 강원도 철원평야는 늘 예외다. '한 추위'하는 곳이라 겨울도 빨리 찾아오건만 겨울 빛이 깔리기가 무섭게 오히려

    중앙일보

    2003.12.11 16:01

  • 멸종 막자…수달 '강제 이주' 작전

    멸종 위기에 빠진 경남 거제도 구천댐 수달(사진) 일가가 5km 정도 떨어진 연초댐으로 이주한다. 국립환경연구원은 이곳의 수달 개체수가 워낙 적어 근친교배가 일어날 경우 멸종 가능

    중앙일보

    2003.12.05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