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춘 중앙문예 당선소설|돌을 던지는 여자|조승기

    『돌을 집었으면 던져야 해요 자꾸 자꾸 깨질 수 있는 모든 벽이 다 무너질 때까지.』 현숙인 마치 돌을 쥐듯 스푼을 쥐고 설탕을 녹여 나갔다. 찻잔 밑바닥과 스푼 사이에서 싸그락거

    중앙일보

    1976.01.01 00:00

  • 마음의 여울|유홍열 박사(성균관대 대학총장)

    요즈음 우리 주변에는 패가망국의 원인인 사치풍조가 만연되고 있어 뜻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사치란 어떤 사람이나 자기신분에 맞지 않을 정도의 화려한 옷차림을 하고

    중앙일보

    1975.09.16 00:00

  • 공수래 공수거…「호국」에 바친 정재|전재산 30억 쾌척한 동국제강 장경호씨

    『국가와 사회 그리고 부처님의 은혜에 보답키위해 모든 사유재산을 불교 중흥사업에 쓰드록 내놓았습니다』-. 전재산 30억6천3백만원을 호국불교 중흥에 쓰도록 헌납한 동국제강 창업자

    중앙일보

    1975.07.11 00:00

  • (44)|제 2장 일본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제 9화 고균 김옥균의 유랑 행적기(6)

    전회(본 연재 43회)에서 언급했지만 수영문고에 소장돼있는 한국 관계자ㅛ와 구 한말 정객들의 서화 컬렉션 등은 그 질로 보나 분량으로 보나 언제든 한번쯤은 다시 한국에 가져와 전시

    중앙일보

    1974.01.11 00:00

  • 건의-작기적인 상혼·횡포 심한「버스」 우리 정신생활 개조 급하다

    채소시장에서 있은 일입니다. 시금치를 2단 사서 봉투에 담아 받았습니다. 집에와 펼쳐보니 1단밖에 들어있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속에는 먹지 못하는 우거지가 끼워 있었습니다. 시금치

    중앙일보

    1974.01.07 00:00

  • 이율곡의 묵화축을 보고 정양모 |이조 전기문인화 대표하는 경지

    고려이래로 선비들이 대나 매화등 그림을 그렸고 조선왕조에 들어오면서 사군자 외에 산수도를 그리기에 이르렀다. 대학자요, 사대부요, 더우기 경학의 거장이면서도 그림을 그리고 현대인이

    중앙일보

    1973.08.03 00:00

  • 독자의 문학 행위가 필요하다|박태순

    소설 월평에 대해 회의를 느껴온 것은, 그것이 문학 인구나 일반인을 상대로 쓰여지고 있다기보다도 흔히 일부 작가·평론가를 겨냥하여 쓰여지고 있는 듯한 인상 때문이었다. 일반인은 소

    중앙일보

    1973.07.11 00:00

  • 시의 양산과 「포에지」의 빈곤

    예전에는 운문이면 시라고 생각했다. 지금도 그런 생각을 고집하는 사람이 더러 있지만 이는 순전히 시를 외면적인 의미에서 대하는 견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대시에

    중앙일보

    1973.04.09 00:00

  • 「비즈니스」의 야수

    『「비즈니스」의 야수』-. 이런 소책자가 있다. 편집자는 「하비·매튜소」(Harvey Matusow)라는 낯선 영국인. 저자는 따로 없다. 원제는 『The Beast of Busi

    중앙일보

    1972.11.25 00:00

  • 내가 만난 천단강성|그의 자살소식을 듣고 한무숙

    천단강성씨는 그의「무서운」소품『말기의 눈』(임종의 눈) 에서 대 정년간에 자살한 개천룡지개의 죽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생명을 스스로 끊는다는 것은 아무래도 좋은

    중앙일보

    1972.04.17 00:00

  • 차량의 물결·유해장난감·위험한 놀이터… 공해·불안의 환경에서 어린이를 보호하자|윤석중

    『밖에 나가 놀지 못하겠니?』 아이들이 집안에서 떠들 때 어머니가 버럭 지르는 소리다. 『아이구, 무슨 놈의 방학이 이렇게 길담….』 아이들 등쌀에 방학을 저주하는 어른들의 짜증

    중앙일보

    1972.03.27 00:00

  • 여름의 끝에서(2)|

    때때로 지웅은 그런 형태의 일로 나를 묶어가고 있었다. 박쥐를 따라간 나의 행적을 눈여겨보았으면서도 지웅은 계략처럼 나를 수현과의 자리에 끌어들이고 있었다. 그러면 그를 나는 결코

    중앙일보

    1972.01.08 00:00

  • 아마추어이긴 하지만 국전에 입선한 적도 있다는 그 여인이 장난삼아 만들지는 않았을 터이고, 내 생각을 솔직이 얘기한다면 그것은 하나의 돌덩어리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조각은

    중앙일보

    1972.01.01 00:00

  • 「어린이에의 사랑」 2백점|윤석중 회갑 기념 동요 서화전

    동요 작가 윤석중씨의 회갑 기념 동요 서화전이 국립 공보관에서 열리고 있다 (8일∼12일) . 윤씨 자신이 세운 새싹회 (작년 창설)의 기금 마련을 위한 이 서화전에는 그의 유명한

    중앙일보

    1971.11.09 00:00

  • 「레인코트」

    해마다 장마철이 오고 연중 비오는 날이 상당히 많은데도 「레인코트」의 맵시에 대해서는 대부분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 「레인코트」 없이 우산으로만 장마철을 나는 사람도 많다. 「레

    중앙일보

    1971.07.08 00:00

  • 새얼굴…예비토론|도의 재건 급하다|이윤학-박종률

    모두 당 사무국에서 간부직을 지내고 20일 후면 대망의 금「배지」를 달 이윤학씨(공화) 와 박종률씨(신민)는 교우는 없었지만 이웃 사촌. 연희동에서 앞뒷집에 산다. 『지척이 천리라

    중앙일보

    1971.06.11 00:00

  • 「중앙동산에」비친 동신의 세계

    중앙일보5면의 「중앙동산」은 매일매일 어린이들 작품을 소개. 어린이들의 내면세계를 비춰주는 창의 역할을 해오고 있다. 다음은 본지 독자 이원국씨 (태안중고 교사)가 70년8월∼12

    중앙일보

    1971.05.04 00:00

  • 비가 내린다

    비가 내린다. 가물었던 땅이 축축이 젖고 있다. 봄나들이에 들떴던 마음을 조용히 달래며 이제 호미 메고 들에 나갈 때다. 빗속에 녹아드는 산과 시내는 여전히 아름다운 게 그저 신기

    중앙일보

    1971.04.28 00:00

  • 춘설

    춘설이 분분하다. 봄눈은 어딘지 을씨년스럽다. 행인들도 우산을 들고 다닌다. 춘설을 두고 『뱀의 눈물 같다』고 읊은 시인도 있었다. 차가운 느낌 때문이리라. 하긴 봄의 눈은 겨울의

    중앙일보

    1971.03.16 00:00

  • 우중의 신경과민

    얼마 전 일이었다. 시내에 나갔다가 오는 길에 봄을 재촉하듯 내리는 봄비를 만났다. 겨우내 움츠렸던 마음이 한결 산뜻해 지는 것 같아 내리는 비를 맞으며 오랜만에 봄에 대한 기다림

    중앙일보

    1971.03.03 00:00

  • 불구 동생 업고 등교 3년|갸륵한 졸업장

    소아마비로 불구가 된 동생을 등에 업고 책가방 2개를 손에 든 채 3년간 학교에 다닌 김준옥 양 (16)이 9일 상오 10시 서울 안산 국민학교에서 빛나는 졸업장을 받았다. 『이

    중앙일보

    1971.02.10 00:00

  • (651)사라져 가는 천연기념물

    충북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입구에 오래된 소나무 한 그루가 서있다. 밑기둥 둘레가 5m, 높이가 20m나 되는 이 고목은 흡사 우산을 펴놓은 듯한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조

    중앙일보

    1970.06.27 00:00

  • "「누드·신」은 괴롭다"

    68년이 세계적인 「히트」를 친 예술영화 『좋은날』 (벨·드·주르)의 해였다면 69년은 25살의 여배우 「카트린· 드뇌브」의 해가 될것같다. 43년 10월22일 「파리」에서 태어나

    중앙일보

    1969.06.28 00:00

  • 비닐 우산

    ○…며칠 전에는 심한 비와 바람이 불었다. 새싹에는 단비가 되겠지만 평소에 준비성이 없는 나에게는 걱정을 주었다. 준비성이래야 돈만 있으면 당장이라도 구할 수 있는 물건이지만 한푼

    중앙일보

    1969.05.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