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슈 인터뷰] '독도연구' 한 평생 최서면 명지대 석좌교수

    [이슈 인터뷰] '독도연구' 한 평생 최서면 명지대 석좌교수

    한·일 수교 40년, 연륜으로는 흔들림 없이(不惑) 반석에 올라야 할 한·일 관계가 위기를 맞고 있다.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 제정으로 촉발된 일본의 독도

    중앙일보

    2005.04.20 20:41

  • 홍콩의 한류 "일본 풍은 물렀거라"

    홍콩의 한류 "일본 풍은 물렀거라"

    홍콩에서 '대장금 열풍'에 힘입어 한류(韓流)가 일본 바람(日本風)에 완승을 거두었다. TV방송국이 최근 예고편까지 방영했던 일본 드라마를 취소하고 한국에서 5년 전 히트한 MBC

    중앙일보

    2005.04.14 18:10

  • [중앙 시평] 국경과 변경

    동아시아의 국경은 여전히 지뢰밭이다. 지금 동아시아의 평화는 바닷길에까지 뻗쳐 있는 이 지뢰밭에 발목 잡혀 있다. 며칠 새 대한해협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독도/다케시마, 중국과 일

    중앙일보

    2005.03.20 18:34

  • [대한민국 독도] 시마네현 뒤엔 '강경 우파' 있다

    [대한민국 독도] 시마네현 뒤엔 '강경 우파' 있다

    시마네 현의회는 왜 독도 사태를 일으켰을까. 시마네현은 여러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 하나는 역사적으로 한반도에서 건너온 도래인들의 정착지다. 도래인은 규슈에도 크게 자리를 잡았다

    중앙일보

    2005.03.17 07:56

  • [분수대] 독도와 과거사

    [분수대] 독도와 과거사

    #과거1: 1904년 9월 29일, 일본 원양업자 나카이 요자브로(中井養三郞)는 일본 내무.외무.농상무성에 '강치잡이를 위해 리앙쿠르 섬을 일본 영토로 편입시켜 달라'고 청원했다

    중앙일보

    2005.02.28 18:41

  • [분수대] 안용복

    [분수대] 안용복

    "주인 없는 섬을 먼저 차지한 쪽이 주인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현재 돗토리현인 일본 호키령 영주) "그렇다면 내가 돌아가는 길에 일본의 해역에 흩어져 있는 무인도 하나를 취한

    중앙일보

    2005.02.25 18:06

  • [week& 레저] 속도 내는 '요코소 재팬'

    [week& 레저] 속도 내는 '요코소 재팬'

    "당선되면 이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한국의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모든 힘을 기울이겠습니다." 지난해 당선된 일본 규슈의 가고시마현 지사의 선거공약이다. 고이즈미 총리는 지난해 관

    중앙일보

    2005.02.17 15:47

  • [신간] 사쿠라가 지다 젊음도 지다

    가미카제 특공대는 왜 죽음을 무릅쓰고 돌진했을까. “천황을 위해 사쿠라처럼 진다.” 그들은 자신들의 애국심에 미적 가치를 부여했지만 국가가 이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는 못했

    중앙일보

    2004.08.28 10:14

  • [삶과 추억] 일본 12대 사카 사망

    [삶과 추억] 일본 12대 사카 사망

    일본에서 조선의 도자기 기술을 고수해온 12대 사카 고라이자에몽(坂高麗左衛門.54)이 지난 26일 숨졌다. 그가 후계자 없이 유명을 달리함에 따라 일본에 남아있는 한국 도자기 기

    중앙일보

    2004.07.30 18:02

  • [개봉작 & 상영작] 아는 여자 外

    [개봉작 & 상영작] 아는 여자 外

    ***아는 여자 감독 : 장진 주연 : 이나영.정재영 장르 : 코미디 등급 : 15세 홈페이지 : (www.iknowgirl.co.kr) 내용 : 별로 잘난 데 없는 프로야구 2

    중앙일보

    2004.06.24 15:59

  • "사명당은 한.일 평화외교의 선구자"

    "사명당은 한.일 평화외교의 선구자"

    ▶ 조선통신사들이 전수한 춤인 ‘가라고 오도리’를 일본 우시마도의 두 어린이가 재현하고 있다. "사명당(四溟堂.1544~1610)은 400년 전 조선-일본 간의 풀리지 않던 갈등을

    중앙일보

    2004.06.17 18:58

  • [문화] "일본의 조선도예 脈 이을 사람 없나요"

    [문화] "일본의 조선도예 脈 이을 사람 없나요"

    ▶ 12대 사카 고라이자에몽씨가 지난달 22일 하기시의 자택에 있는 130년 된 조선식 가마 안에서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오대영 특파원 "일본에서 400년간 간직해 온 조선

    중앙일보

    2004.06.09 18:06

  • [분수대] 그랑 투르

    [분수대] 그랑 투르

    일본의 최고액권인 1만엔권 지폐의 얼굴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는 '일본 국민의 교사'로 불린다. 일본 근대화의 정신적 기둥인 그가 1860년 처음 미국을 방문했을 때 "워싱턴

    중앙일보

    2004.04.22 18:32

  • [Cafe Now] 사회서 차별받는 日 '부라쿠' 출신들

    부라쿠(部落)해방동맹 도쿄(東京)도연합회 상임서기인 우라모토 요시후미(浦本譽至史)는 지난해 12월 살고 있던 월세집에서 쫓겨날 뻔했다. "우라모토는 부라쿠 출신"이라고 적은 익명의

    중앙일보

    2004.03.10 17:46

  • 日 '바둑 최강 커플' 탄생

    日 '바둑 최강 커플' 탄생

    일본 바둑계에 '최강의 커플'이 탄생한다. 장쉬(張.23.(左)) 9단과 고바야시 이즈미(小林泉美.26.여.(右)) 5단이 그 주인공. 장쉬 9단은 현재 일본의 본인방이자 장차

    중앙일보

    2003.10.30 18:15

  • [기차 여행] 전국시대·막부시대 유물 구경도

    일본 도호쿠 지방은 16세기 전국(戰國)시대와 도쿠가와(德川)막부 시대의 유적.유물이 다양해 관심있는 이들에게는 '역사기행'도 권할 만하다. 덴도는 16세기에 전국 통일의 초석을

    중앙일보

    2003.10.02 20:01

  • [사람 사람] '이치노유 여관' 15代 사장 오가와 하루야

    [사람 사람] '이치노유 여관' 15代 사장 오가와 하루야

    일본 온천의 대명사로 불리는 도쿄(東京) 인근 가나가와(神奈川)현 하코네(箱根). 이 근처 온천여관들은 요즘 비상이다. 하코네에서 여섯개의 소형 온천여관을 운영하며 '최강자'로

    중앙일보

    2003.09.22 18:48

  • [분수대] 할복

    할복은 일본에서 유래된 자결 방법이다.'셋푸쿠(切腹)' 또는 '하라키리(腹切り)'라고 한다. 일본에선 '극도의 냉정과 침착을 요하는 무사의 세련된 자결방법'으로 통한다. 하필 배를

    중앙일보

    2003.09.18 17:55

  • [분수대] 家臣

    가신(家臣)이란 봉건적 개념이다. 봉건 영주가 스스로의 재산을 지키기 위한 전투력으로 가신을 부양하고, 반대급부로 가신은 주군을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절대적 주종관계에서나 가능한

    중앙일보

    2003.08.12 18:01

  • [분수대] 외국 바로보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된통 당한 뒤에도 조선의 지식인들은 여전히 일본을 깔보았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푹 젖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도쿠가와(德川) 막부 시절 조선 통신사들이 일

    중앙일보

    2003.05.15 17:59

  • '조선통신사' 행렬 6곳서 재현

    지난해 6월 5일 부산에서는 사물놀이패와 취주악대의 연주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조선시대 선비와 관헌 복장을 한 1천여명의 행렬이 광복로 거리를 메웠다. 한·일 월드컵 공동개최를 기

    중앙일보

    2003.03.24 19:26

  • 忍冬酒

    "인생은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길을 걸어가는 것과 같으니 결코 서두르지 말라".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가 숨을 거두기 전에 남긴 유언 가운데 하나다. 상황이 무르익

    중앙일보

    2002.12.28 00:00

  • 시대극서 '평안' 찾는 日대중들

    일본에서는 요즘 시대극이 남녀노소 관계없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TV를 보면 매일 어느 채널에서든 전국시대·도쿠가와(德川)막부시대 등을 주제로 한 역사극이나 정의파 사무라이가

    중앙일보

    2002.12.06 00:00

  • 盧후보의 聖像밟기

    대통령 전두환은 1987년 민정당 대통령후보 노태우에게 당선에 필요하면 자신을 밟고 지나가라고 말했다. 그것은 자기를 공격하고 자기의 행적 일부를 부정(否定)해도 좋다는 말이었다

    중앙일보

    2002.07.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