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南北,DMZ 지뢰제거 착수

    경의선·동해선의 남북 연결공사를 위한 비무장지대(DMZ) 지뢰 제거 작업이 19일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한에서 동시에 시작됐다. 육군은 이날 오전 제1공병여단을 투입, 경기도

    중앙일보

    2002.09.20 00:00

  • [남북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이모저모

    18일 경의선·동해선의 남북 연결 착공식이 열린 두 현장은 50년 만에 생기를 띠었다. 참석한 실향민들에게는 만감이 교차하는 하루였다. ◇경의선=남측 구간의 최북단인 도라산역에서

    중앙일보

    2002.09.19 00:00

  • 경의선 공사 5일 재개

    육군은 지난해 12월 중단됐던 경의선 철도.도로 노반공사를 오는 5일재개한다고 2일 밝혔다. 육군 관계자는 "재개되는 노반공사는 비무장지대(DMZ) 철책(남방한계선) 이남의 ▶철도

    중앙일보

    2001.03.03 00:00

  • [다시 가본 고엽제 현장] 6~7년간 죽음의 땅 지금은 숲으로 복원

    휴전선 일대 비무장지대 중 지난 68~69년 고엽제가 살포된 지역은 그후 6~7년 동안 동식물이 살지못하는 죽음의 지역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기도 연천군의 한 주민은 "당

    중앙일보

    1999.11.19 00:00

  • 미군, 고엽제 국내에도 살포

    베트남 전쟁때 사용 돼 엄청난 후유증을 남긴 고엽제가 60년대 후반 한국에서도 대량 살포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주한미군사령부가 지난 68년 미국 화생방사령부에 보낸

    중앙일보

    1999.11.16 08:34

  • 북한 전정협정 파기행위 관련 전방 표정

    6일 오후2시 경기도파주시 육군 모부대내 도라전망대. 지난 5일 북한군 1개 중대 1백30여명이 박격포등을 이끌고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 들어와 임시진지를 구축하면서 더욱 고조된남북간

    중앙일보

    1996.04.07 00:00

  • 7.끝 아!금강산

    휴전선 주변에서 가장 높고 험한 산들이 이어지면서도 오른쪽으로 동해가 시원스레 펼쳐지는 곳이 군사분계선 육지의 동쪽 끝지점인 고성이다. 고성군 거진면에 이르러 뇌종(雷鍾)부대에 협

    중앙일보

    1994.08.22 00:00

  • 6.麟蹄 삼재령

    한반도는 그 등뼈와 핏줄이 견고하기 때문에 반만년동안 문명의요람으로 활발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보는 전문가의 견해가 있다. 백두산에서 출발해 이북의 함경도 두류산-평안도

    중앙일보

    1994.08.20 00:00

  • 5.華川 民統線구역

    철원서 김화를 거쳐 화천길로 들어서자 산악이 갑자기 높고 험해지면서 방문자를 내려다보는 듯한 위압감에 몸과 마음이 움츠러드는 느낌을 어쩌지 못한다. 전문 산악인들은 道界나 郡界등

    중앙일보

    1994.08.19 00:00

  • 4.鐵原 옛 노동당사

    한탄강이 북북동에서 남남서로 중앙을 관통하는 철원지역은 휴전선 지역중「화려했던 과거」와「우울한 현대사」의 흔적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곳이다. 강을 끼고 북한의 평강고원까지 용암대지

    중앙일보

    1994.08.18 00:00

  • 各界 115명 휴전선 155마일 통일기행-李지누씨 기획

    샐러리맨과 이산가족.공무원.대학생.문인등 1백15명이 비무장지대 너머 북녘이 저만치 보이는 민통선지역을 따라 휴가길을 떠난다. 155마일 휴전선 서쪽끝 문산의 통일전망대에서 동쪽끝

    중앙일보

    1994.07.29 00:00

  • 분단의 상흔 눈으로 확인

    ○…13일 오후 4대의 관광버스에 탑승한 1백60명의 세계스카우트대원들이 유적답사의 일환으로 동해안 남방한계선에 위치한 통일전망대를 둘러보았다. 쪽빛 동해바다를 끼고 북으로 나있는

    중앙일보

    1991.08.14 00:00

  • 살아있는 역사현장「철의 3각지」

    지난 54년이래 민간인들에게는 금단의 땅이었던 철원민통선(민간인통제선) 내「철의 3각지」가 순환관광코스로 개발되어 오는 11월 4일부터 일반공개에 들어간다. 전쟁의 상흔이 아프게

    중앙일보

    1989.10.20 00:00

  • 6·25 37주…다시 찾아보는「철의삼각지」|격전지 철원일대 관광개발

    【철원=김현일기자】포연과 총성이 치솟고, 시신이 산야를 뒤덮었던 6·25의 혈전장 철원. 「철의 삼각지」에는 37년이 지난 지금도 분단을 상징하는 가시철조망과 북괴의 대남선전·선동

    중앙일보

    1987.06.25 00:00

  • 철벽휴전선 물샐틈도 없다

    국토를 지키는 최전초는 한치의 빈틈이 없다. 13일로 계엄18일째. 휴전선 최전방의 병사들은 그 어느때보다 사기가 높다. 바다를 지키는 수병은 경계의 눈초리를 더욱 날카롭게 하고있

    중앙일보

    1979.11.13 00:00

  • 몸던져 지역발전 힘쓴 일꾼들

    중앙일보·동양방송이 제정한 청백봉사상수상자들은 모두가 대민행정의 일선에서 근면과 성실로 준청빈을 벗하며 꾸준히 일해온 지역발전의 숨은 기수들이다. 올해 (제3회)수상자중 본상수상자

    중앙일보

    1979.11.10 00:00

  • 유엔 군사, 정전위 즉각 소집 요구|공산 측선 두 차례 거부, 9일 소집 제의

    「유엔」군사령부는 3일 상오 6시30분쯤 철원 북서쪽 9km 중부전선 비무장지대 남쪽 철책부근에서 북괴측이 사격을 가해 한국군 1명이 죽고 다른 l명이 부상했다고 4일 하오 발표했

    중앙일보

    1977.05.06 00:00

  • 민통선 넘어 성묘

    【문산=장호근 기자】휴전선 남방한계선 아래에 살던 실향민들이 조상의 묘를 찾아 20일 「자유의 다리」를 건너 옛길을 더듬었다. 20일 낮12시 서부전선 육군 제7282부대의 허가를

    중앙일보

    1972.09.21 00:00

  • 휴전협정 19주년|조인에서 민통선북방 영농까지

    휴전 19년-. 53년7월27일 정전협정이 조인 된지 19년만에 맞는 휴전기념일은 남북화해 「무드」속에 묻혔다. 남북적십자회담이 시작된 후 처음 맞이하는 휴전19들은 동서해빙에 발

    중앙일보

    1972.07.27 00:00

  • 민간인 통제선 북방 유휴지를 목축지로

    야전군은 민간인 출입이 금지되어있는 민간인 통제선 북방의 유휴지를 올해부터 3개년 계획으로 목축단지로 개발, 소를 비롯한 가축들을 방목, 장병들의 급식을 향상하는 등 유휴지활용 방

    중앙일보

    1971.07.09 00:00

  • 북괴병 셋사살

    30일하오6시부터 31일상오2시40분사이에 서부전선군사분계선을 침범한 북괴군3명이 아군 매복조에의해사살됐다. 31일 육군당국은 30일하오6시쯤 군사분계선 남쪽에서 무장공비1명을발견

    중앙일보

    1968.07.31 00:00

  • (153)휴전선

    휴전선1백55마일에 철의 방책이 굳건히 섰다. 다시는 붉은 무리의 발밑에 이땅을 짓밟혀6·25의 비극을 거듭하지않기위해 굳은 진지는 더욱 굳어지고있다. 첩첩이 뻗어나간 멧부리와 산

    중앙일보

    1968.07.27 00:00

  • 『요새화』에 쫓겨나는『동물천국』|철책가설에바쁜 중동부전선200킬로

    【중동부전선=박찬주기자】야전군이 맡고있는 1백82킬로미터의 휴전선남방 한계선에는 대간첩작전의 일환으로 착공된 철책가설과「벙커」의 요새화작업이 한창이다. 철책은 늦어도 내년봄 해동전

    중앙일보

    1967.10.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