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牟仁淳 도예전

    19일부터 25일까지 갤러리사각 (741)6078.문화의 상징.권력.휴식등 다양한 뉘앙스를 담은 의자를 여러가지 흙작업으로 재현해 보인 전시. 牟仁淳씨(36)는 의자의 외형적 기능

    중앙일보

    1994.08.19 00:00

  • 생활과 결부 건강美 추구-김홍자 귀국 금속작품展

    일본의 민예운동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는 아름다움과 생활이 결부될때 비로소 아름다움이 건강해진다고 했다. 갤러리현대에서 22일까지 열리는 金弘子씨(55)의 귀국전에 소개된 작품

    중앙일보

    1994.07.19 00:00

  • 종이미술 신기한 입체조형 감상

    거대한「종이 공룡」이 어린이들의 발길을 잡는다.닥종이로 만든迷路를 엄마.아빠 손잡고 벗어나면 큰「종이 한복」이 눈길을 끈다.한켠에선 프랑스 꼬마 가수 조르디의 신나는 노래에 맞춰

    중앙일보

    1994.05.09 00:00

  • 한국전통문양집 9권째 낸 홍익대 안상수교수

    『일반인이 전통문양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외국에도 우리 문화를 널리 알리자고 시작한 작업이 뜻밖에 일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85년이래 10년째 우리 전통문양을 수집,정

    중앙일보

    1994.02.12 00:00

  • 공예가 강인순씨 전통가구 전시회

    한국 전통가구 공예가 姜仁淳씨(75)의 열번째 목공예 전시회가 13~19일 서울 仁寺洞 덕원미술관에서 열린다.이번 전시회에는 나무의 자연문양.빛깔을 이용해 서로 다른 나무끼리의 조

    중앙일보

    1993.10.11 00:00

  • 세트화된 제기용품 눈길

    백화점.전문상가에서는 추석 차례상을 위한 제기용품 판매전이 한창이다.어틀.편틀.향로등 祭器 일체를 세트화해 판매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전통 공예품으로 분류되고 있어 가격은 비싼 편이

    중앙일보

    1993.09.24 00:00

  • 日 국제옻칠디자인 공모전 한국공예 우수성 과시

    최근 漆의 나라 일본에서 열린 93이시카와 國際옻칠디자인공모전에서 한국의 朴東敎씨(36)가 乾漆 『꽃병』을 출품해 大賞을수상했다. 이번 행사의 한국측 후원단체인 한국나전칠기보호협회

    중앙일보

    1993.09.22 00:00

  • 외국관|개발도상국(하)|역사유물·관광자원 "자랑"

    대전엑스포에서 선진국들이 첨단기술 위주로 환상의 미래세계를 보여준다면 개발도상국들은 과학기술 품과 함께 전통적인 역사유물·관광자원들도 많이 소개할 예정이어서 명실상부한 세계박람회가

    중앙일보

    1993.07.06 00:00

  • 『한국도자기의 변천』 펴낸 부산 이수영씨|도예가가 쓴 첫 「도자기사」

    30대 후반의 도예가가 도예가로서는 처음으로 우리나라 도자기의 발전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을 펴내 화제다. 최근『한국도자기의 변천』이란 책을 펴낸 이수영씨(39). 『우리나

    중앙일보

    1993.04.27 00:00

  • 신혼부부 겨냥 보용생과 개성 강조

    최근 가구에도 본격적인 패션바람이 일고있다. 컬러가 산뜻하게 바뀌고 도료를 칠하거나 발라서 가구를 치장하는 도장기법에도 새로운 테크닉이 도입되는 추세다. 또 소재도 종래의 합판등

    중앙일보

    1993.03.30 00:00

  • 폐품활용 공예품공모

    한국자원 재생공사가 「폐품을 이용한 공예품 공모전」을 개최한다. 종이·나무·금속·판지·플라스틱·섬유류 등 각종 폐기물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이면 응모자격·작품 수·주제·규격·재료에

    중앙일보

    1993.02.25 00:00

  • 전통과 실용 미 결합「김용문 생활옹기전」

    김용문 생활옹기 초대전이 12일부터 3월1일까지 경복궁 안 전통공예 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현대생활과 조화할 수 있는, 전통과 실용 미를 겸비한 손잡이 달린 오지뚝배기·

    중앙일보

    1993.02.12 00:00

  • 「한국의 색」재현에 바친 10년|한광석씨「전통 염색전시회」

    전통 염색기법의 복원과 고유색의 재현에 힘써 온 한광석씨(35)가 그 동안의 성과를 선보이는「전통염색전시회」를 다음달 4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인사동 학고재(739-4937)에서

    중앙일보

    1993.01.29 00:00

  • 독일 현대 장신구전

    장신구란 종래에는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기 위한 단순한 액세서리의 요소만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와서는 발달한 첨단의 금속공학과 예술가들의 놀라운 창의성에 힘입어 장신

    중앙일보

    1992.12.18 00:00

  • 중요 무형문화재 지정 받은 소반장 이인세씨

    최근 문화부가 중요 무형문화재 제99호로 새로 지정한 이인세씨(64)는 작은 밥상 만들기에 50년의 세월을 바쳐온 소 반장이다. 칼·대패 등의 공구로 나무를 깎고 다듬어온 그의 손

    중앙일보

    1992.12.10 00:00

  • 첨단 정보단지 건립추진-서울정도600주년 기념계획 마련

    「서울정도 6백년(94년)」을 맞아 대규모 첨단정보업무단지가 조성되고 서울시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는 등 각종 기념사업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27일 「서울의 새로운 탄생」을 주제로

    중앙일보

    1992.10.27 00:00

  • 사임당가구(성장지속 중견기업 경영비결/불황을 이긴다:4)

    ◎전통가구구조 입식생활 맞게 바꿔/수출시장서 불티… 10년째 재고없어 「사임당가구」라는 전통공예가구를 생산하는 (주)원신은 다른 모든 가구업체가 갖고 있는 세가지가 없다. 이달말로

    중앙일보

    1992.10.14 00:00

  • 경기도 안성

    경기도 안성은 영호남에서 서울로 통하는 관문에위치하고 있어 예부터 유기·가죽신등 각종 수공예품과 과일의 집산지로 유명하다. 현대화 물결에 밀려 예전의 명성은 많이 퇴색했지만 아직도

    중앙일보

    1992.07.04 00:00

  • 미 「메트」미술관|한국 작품 첫 소장

    국내작가의 금속공예작품이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미술관인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게됐다. 화제의 주인공은 중견 여류금속공예가 홍경희씨(36·홍익대교수). 국내작가의

    중앙일보

    1992.06.27 00:00

  • 사회·교양

    교육방송 『직업의 세계』(10일 밤6시50분)=인장은 나무를 비롯해 플라스틱 상아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는데 재질에 따라 제조공정도 달라진다. 인장공예 기능사의 작업현장을 찾아

    중앙일보

    1992.06.10 00:00

  • (26·끝)목공예 손덕균씨|나무깍기 입신경지 올라

    목공예가 손덕균씨(39·경인목공예대표)의 솜씨는 반도체기술자만큼이나 정교하다. 하찮은 나무 한 토막이 그의 손에서 0.3㎜의 두께로 깎여 나올 때 그것은 이미 나무라기보다 하나의

    중앙일보

    1992.06.03 00:00

  • (46)꿈길 같은 야경… 정취 깊은 고풍-일 히로시마·에히메

    지방자치가 오래전부터 뿌리내려 지역의 균형발전이 이루어진 일본은 어느 지역을 방문하더라도 전통문화와 유적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오히려 관광지로서는 우리에게 덜

    중앙일보

    1992.05.31 00:00

  • 동양 최대 「불교 박물관」 건립|목공예가 박찬수씨

    20년 세월을 불상 등 불교 관련 공예품 만들기에 진력해온 한 목공예가의 집념과 노력으로 우리 나라에 동양 최대의 사설 불교 박물관이 문을 연다. 불교 목공예가 목아 박찬수씨 (4

    중앙일보

    1992.05.03 00:00

  • 미술관-"어린이 「예술 놀이 공간」 만들자"|「과천」서 세미나·현장 실습

    지난달 28일 오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소강당. 네살박이 코흘리개 꼬마에서 제법 학생티가 밴 국교 3학년 어린이에 이르는 35명의 어린이들이 끼리끼리 옹기종기 모여 앉아 만들기 작

    중앙일보

    1992.05.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