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시평] 노 대통령의 등산복 … 원자바오의 점퍼

    대통령이 4년차 임기를 시작하는 26일 청와대 출입기자들과 함께 북악산 산행에 나섰다. 이날도 대통령은 세련되고 멋진 등산복을 입었다. 물론 이전과는 또 다른 등산복이었다. 그동안

    중앙일보

    2006.02.27 20:3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위생검역법]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위생검역법은 국경위생검역질서를 세워 전염병의 전파를 막고 인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데 이바지한다. 제2조 이 법은 다른 나라에서 우리 나라로

    중앙일보

    2006.02.23 17:5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동식물검역법]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동식물검역법은 국경에서 동식물 검역질서를 엄격히 세워 동물검역전염병과 식물검역병해충의 전파를 막고 인민들의 건강과 동식물자원을 보호하는데 이바지한다

    중앙일보

    2006.02.23 17:5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법]

    제1장 교육법의 기본 제1조 교육은 나라의 흥망과 민족의 장래운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사업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법은 교육사업에서 제도와 질서를 엄격히 세워 사회주의교육을

    중앙일보

    2006.02.23 17:56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업도안법]

    제1장 공업도안법의 기본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업도안법은 공업도안등록의 신청과 심의, 공업도안권의 보호에서 제도와 질서를 엄격히 세워 제품의 질을 높이고 사회주의경제를 발

    중앙일보

    2006.02.22 17:4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증법]

    제1장 공증법의 기본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증법은 법률적의의를 가지는 사실과 문서를 정확히 확인하여 기관, 기업소, 단체와 공민의 민사상 권리와 리익을 보호하고 민사거래의

    중앙일보

    2006.02.22 17:4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민등록법]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민등록법은 공민을 장악등록하는데서 제도와 질서를 엄격히 세워 공민의 권리와 리익을 보호하는데 이바지한다. 제2조 공민등록법은 공민의 출생, 거주, 퇴

    중앙일보

    2006.02.22 17:38

  • 후진타오, 한국 새마을운동 배우기 왜

    20일 끝난 중국 최고지도부의 '사회주의 신농촌 건설(新農村建設) 운동' 토론회의 화두는 '농촌 살리기'였다.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일주일간의 토론회를 마치면서 1시간40분

    중앙일보

    2006.02.22 04:5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각급 인민회의 대의원선거법]

    제1장 선거법의 기본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각급 인민회의 대의원선거법은 최고인민회의와 도(직할시), 시(구역), 군 인민회의 대의원선거에서 사회주의적민주주의를 높이 발양시키

    중앙일보

    2006.02.21 15:01

  • [행복한책읽기] 15권 완간 앞둔 ‘로마인 이야기’

    고정 팬 10만 명을 끌고 다니는 인문서, 1995년에 첫 선을 보인 뒤 통권 200만 권 이상이 팔린 책, 무엇보다 국내 오피니언 리더가 즐겨 읽는 책…. 출판계의 빅 타이틀인

    중앙일보

    2006.02.17 21:03

  • [디지털국회] 노타이와 정장차림의 '거꾸로 보이는 유시민'

    1. 드레퓌스 사건 딸아이가 전교조였던 담임의 권유로, 유시민의 '꺼꾸로 읽는 세계사'를 읽고 있었다. 1991년 중3겨울방학 때였다. 글 자체는 인간적인 글이었으나, 기본적인 지

    중앙일보

    2006.02.17 17:40

  • [중앙시평] 민족 공조의 바른 길

    얼마 전 어느 모임에서 한 젊은이가 "목사님 민족 공조가 더 중요합니까, 한.미 공조가 더 중요합니까"하고 물었다. 내가 답하기를 "물론 한.미 공조보다 민족 공조가 더 중요하지.

    중앙일보

    2006.02.15 20:52

  • 동아시아 미래 이것이 키워드

    동아시아 미래 이것이 키워드

    ◆ 김재철 한국무역협회 회장 이젠 어느 한 기업이나 국가에 초점을 맞춘 구조조정은 한계가 있다. 철강.조선 등에서는 3국 기업들이 대화를 통해 생산설비를 효과적으로 재배치하고 생산

    중앙일보

    2006.02.15 06:07

  • [분수대] 상황주의

    [분수대] 상황주의

    칠레는 자유선거로 사회주의 정권을 탄생시킨 최초의 나라다. 1970년 살바도르 아옌데 상원의원이 '(다국적기업이 독점한) 구리 광산을 국유화해 이익을 사회 환원하겠다'는 공약으로

    중앙일보

    2006.02.05 21:10

  • [디지털국회] 박근혜 대표,북송장기수 무고로 맞고소해야

    박근혜 대표는 북,장기수를 무고죄로 맞고소 해야 한다. 우리 속담에 ‘물에 빠진 사람 건져 살려 주니 내 보따리 내 놓아라’ 한다는 상황을 이 번 북측의 장기수들의 행동에서도 여실

    중앙일보

    2006.01.25 14:14

  • 석유 수입 2위국 - 수출 1위국 손잡아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23일 에너지 협력에 관한 포괄협정을 체결했다고 AFP통신 등 외신이 이날 보도했다. 이로써 세계 2위의 석유 수입국인 중국과 세계 1위의 석유 수출국인

    중앙일보

    2006.01.24 05:36

  •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과 관련한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문]

    조선로동당 총비서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이신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시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이신 호금도동지의 초청에 의하여

    중앙일보

    2006.01.19 10:34

  •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연회 연설 전문]

    다음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환영만찬 연설에 대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화답 연설 전문.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 존경하는 호금도총서기동지, 친근한 중국동지들, 우리는 존경하는

    중앙일보

    2006.01.19 10:33

  •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연설 전문]

    다음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일행을 위한 환영만찬 연설 전문.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 존경하는 김정일총비서동지, 친애하는 조선동지들, 동지들과 벗들, 중조

    중앙일보

    2006.01.19 10:28

  • 김 위원장 - 후진타오 정상회담

    김 위원장 - 후진타오 정상회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7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마련한 환영연회에서 "중국의 발전상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중국

    중앙일보

    2006.01.19 05:56

  • 사학 입장은… 경남지역 "학교 폐쇄도 불사"

    제주도에 이어 전북 지역 사학도 12일로 예정된 고교 신입생 배정을 거부키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 사학들은 사태를 지켜본 뒤 방침을 정하겠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중앙일보

    2006.01.07 05:18

  • 중국에 '총각 폭탄' … 남성 6명 중 1명 장가 못가

    중국에 '총각 폭탄' … 남성 6명 중 1명 장가 못가

    '총각 폭탄(Bachelor Bomb)'이 중국을 위협하고 있다고 영국 BBC 방송 등이 보도했다. 장가 못 간 노총각이 넘쳐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배후에는

    중앙일보

    2005.12.28 22:00

  • [디지털국회] 시위도 글로벌 스탠더드를 지켜야 한다

    군부독재시대에 막바지 극한 상황에서 몰린 민중들을, 일제에 항거하던 전통을 이어 받은 운동가, 선동가들이 '민주화', '노동자 농민 '생존권' 등을 구호로 내걸고 선동하며, 파격적

    중앙일보

    2005.12.22 13:01

  • 2005 지구촌 말 말 말 "고이즈미는 부시의 아시아 푸들"

    2005 지구촌 말 말 말 "고이즈미는 부시의 아시아 푸들"

    2005년에도 지구촌에는 '말'들이 많았다. 들어서 반가운 말도 있었고, 충격적이고 악의에 찬 말도 많았다. 촌철살인(寸鐵殺人) 같은 말도 있었지만 공허한 말도 많았다. 냉엄한 정

    중앙일보

    2005.12.22 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