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 입장은… 경남지역 "학교 폐쇄도 불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 전북.경남 등은 강경=전북 지역 사립중고법인협의회 (회장 박문희)는 6일 긴급회의를 열고 "(12일로 예정된) 신입생 배정을 거부한다"는 내용의 서약서에 서명했다. 전주와 익산, 군산 등 평준화 지역 24개 고교에서 입학 등의 차질이 우려된다. 박문희 회장은 "전북이 열린우리당 지역이라고 만만하게 보는데, 정부가 사학법 재개정을 논의하지 않는 한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며 "모든 조치를 감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협의회의 이이두 회장도 "개정 사학법은 이 나라 교육을 인민공화국으로 몰고 가려는 것"이라며 "20일로 예정된 고교 신입생 배정을 거부하고, 이어 학교 폐쇄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충북협의회 박광순 회장은 "원칙은 신입생 배정을 거부하는 게 맞지만, 다음주에 이사장 회의를 열어 거기서 의견을 듣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도의 경우 사학법인들이 아직 신입생 거부를 결의하지 않고 있고 교육청과도 계속 논의하고 있어, 신입생 배정 거부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평준화 지역인 강원도 사학들은 12일부터 시작되는 고교별 신입생 원서접수를 예정대로 하기로 했다.

◆ "중학교는 배정 거부 힘들다"=중학교 상황은 좀 다르다. 신입생 배정을 받는 사립 중학교가 전국에 모두 641곳으로 사립고(380곳)보다 많아 파급 효과가 더 큰 데다, 중학교는 의무교육 과정이기 때문이다. 한국사립중고법인협의회 황낙현 사무총장은 "중학교도 배정을 거부하는 게 원칙이지만 지역에 따라 다른 결정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북 지역 박 회장은 "중학교는 시간이 있으니(2월 3일) 다시 회의를 열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충남 협의회 관계자도 "중학교는 의무교육이어서 별다른 논의가 이뤄진 지역이 없다"고 말했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