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최재훈의 心身 이야기] 사주 모르면 웰빙도 건강도 없다

    웰빙 시대. 오래도록 건강하게 사는 게 꿈이다. 그러나 크고 작은 병에 시달리는 게 인생이기도 하다. 어떻게 자신의 몸을 관리하느냐에 따라 병을 줄일 수 있다. 이번 호부터 이코

    중앙일보

    2007.04.28 10:00

  • 이연자의 종가음식 기행 ③ 강원도 강릉 연일 정씨 종가

    이연자의 종가음식 기행 ③ 강원도 강릉 연일 정씨 종가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마을에 자리한 연일 정씨 정응경(鄭鷹慶) 종가. 이곳에서는 지금은 잊혀져 가는 우리 고유의 민속신앙을 지켜가고 있다. 강릉 대도호부사를 지냈던 정응경이 집

    중앙일보

    2007.04.03 18:04

  • [이훈범시시각각] 점 보는 젊은이들에게

    딱 한 번 점집에 가본 적이 있습니다. 노총각 선배 하나가 언제 장가가게 될지 궁금하다 해서 함께 미아리를 찾았지요. 골목 양쪽으로 늘어선 점집 중에 그럴싸해 보이는 한 곳을 골라

    중앙일보

    2007.01.01 20:33

  • 점치는 법도 가지가지 … 조상들 삶 보이네

    점치는 법도 가지가지 … 조상들 삶 보이네

    아낙네 수십 명이 바위에 밧줄을 걸어 끌어내리는 시늉을 하며 비 오기를 빌던 ‘농바우 끄시기’. 개구리울음점, 영등날바람점, 좀생이점, 볶음점, 장닭꼬리점, 콩점, 뇌성점….점(占

    중앙일보

    2006.01.25 21:44

  • [week& cover story] 풍수지리설로 보는 '좋은 전망'

    [week& cover story] 풍수지리설로 보는 '좋은 전망'

    ▶ 풍수가가 집터를 고를 때 사용하던 나침반 ‘패철’. '전망=돈'이란 등식은 사실 예로부터 우리와 친숙하다. 어느 곳에 터를 잡느냐에 따라 사람의 길흉화복이 갈린다고 믿는 풍수지

    중앙일보

    2005.06.16 16:33

  • [영화 한편 보고 가세나] 57. 2차 세무사찰 (상)

    [영화 한편 보고 가세나] 57. 2차 세무사찰 (상)

    ▶ "서편제" 제작.출연진. 왼쪽부터 정일성 촬영감독, 배우 김명곤씨, 임권택 감독, 필자, 배우 오정해씨. 사주(四柱)를 보는 이들은 사람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10년 단위로

    중앙일보

    2005.03.06 18:07

  • [김형경의 책 vs 책] 사주는 첨단과학이다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조용헌 지음, 푸른 역사, 390쪽, 1만5000원 사주 명리학 이야기 조용헌 지음, 생각의 나무, 358쪽, 1만5000원 토정비결의 계절이 돌아왔다

    중앙일보

    2004.12.18 09:41

  • [분수대] 청참

    설의 어원을 따지면 여러가지 의미가 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새해의 첫날'이란 것이다. 새해의 첫날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누구나 마음이 설렌다. 새로운 각오를 다지

    중앙일보

    2004.01.20 16:21

  • [주선희의 SUCCESS 인상학] 얼굴은 삶의 요약

    [주선희의 SUCCESS 인상학] 얼굴은 삶의 요약

    매력적인 사람은 평범한 동료들보다 월급을 12~14% 더 받는다는 사실을 미국과 캐나다의 경제학자들이 밝혀냈다고 한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로버트 치알디니의 베스트 셀러 '설득의

    중앙일보

    2004.01.16 10:56

  • [주선희의 SUCCESS 인상학] 얼굴은 삶의 요약

    [주선희의 SUCCESS 인상학] 얼굴은 삶의 요약

    ▶ 윤선도의 증손인 조선시대의 문인화가 공재(恭齋) 윤두서가 그린 자화상. (국보 240호) 턱까지 그득한 수염은 문무를 겸비한 재목임을 드러내고 있다. 눈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약

    중앙일보

    2004.01.15 15:36

  • [week& cover story] 여기자가 직접 돗자리 앉아보니 "아하"

    ***이경희 기자 일일 도사 되다 대체 사주.운세 풀이에는 어떤 원리가 숨어있길래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에게 이럴 것이다, 저럴 것이다 말해줄 수 있을까. 도사 심정을 알려면 도사가

    중앙일보

    2004.01.15 14:46

  • [생활 속의 수학] 토정비결은 年·月·日 144개의 조합

    "믿거나 말거나" 하면서도 '토정비결'로 한 해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조선시대 토정 이지함이 만든 토정비결에는 일년의 길흉화복을 미리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한 해를 준비하는 지

    중앙일보

    2004.01.07 15:23

  • [week& cover story] 어릴때 배운 한학 … 동네선 훈장님으로 통해

    [week& cover story] 어릴때 배운 한학 … 동네선 훈장님으로 통해

    변영훈(47)씨는 전국 4천9백여명에 달하는 별정우체국 소속 집배원 가운데 한 사람이다. 돈이나 권력 무엇 하나 내세울 것 없는, 평범한 기능직 8급 공무원. 그러나 이곳 단월면에

    중앙일보

    2003.12.25 16:20

  •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19. 巫俗으로 본 전통문화의 明暗-박노자 교수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19. 巫俗으로 본 전통문화의 明暗-박노자 교수

    서양식 근대화 이후 압박을 가장 많이 받아 온 전통 가운데 하나가 무속(巫俗)입니다. 근대성을 비판하며 각종 전통문화를 재조명하는 분위기 속에서 무속은 재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요

    중앙일보

    2003.06.19 17:38

  • [이연홍의 정치 IN] 집터와 정치

    이성계가 조선의 도읍지로 맨 먼저 생각한 곳은 계룡산이다. 아마도 지금 육해공 3군 본부가 있는 곳인 듯하다. 그러나 계룡산은 도읍지로선 적합지 못했다. 협소하고 교통이 불편했기

    중앙일보

    2003.06.12 15:02

  • 온 가족이 함께 푸는 '프리미엄 낱말 퀴즈'

    온 가족이 함께 푸는 '프리미엄 낱말 퀴즈'

    중앙일보 독자만을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에서 회원을 위한 낱말퍼즐 행사를 매월 실시 합니다. 중앙일보 프리미엄 사이트(http://premium.joins.com)를 통해 응모하시면

    중앙일보

    2003.03.20 14:37

  • 한·중·일 3국의 문화코드를 푼다

    한국과 중국.일본 등 3개국의 문화 상징과 이미지를 비교.분석하는 '한중일 비교문화상징사전'이 출간된다. 개별 국가의 상징사전이 나온 적은 있지만 여러 국가의 상징 및 이미지를 동

    중앙일보

    2003.03.12 17:59

  • [자 떠나자] 어화 둥둥~ 달맞이 가자

    두둥실 달 떠올라 휘영청 밤 밝으면/귀밝이 술 한잔에 부럼도 한입 물고/남녀노소 한데 모여 달집에 불사르며/마음 합쳐 비나니 올해도 좋을씨고. 오는 15일은 정월 대보름. 설과 추

    중앙일보

    2003.02.11 17:26

  • 六壬연구가 이춘형의 2002 대선 전망

    역술의 한 분야인 六壬 연구가 이춘형 씨가 2002년 대선을 앞두고 후보들의 대선운을 공개했다. 그는 태상운을 얻은 후보의 대권 가능성을점지했다. 대세력가의 운세인 태상운에 가장

    중앙일보

    2002.11.01 14:53

  • 정치와 風水

    4세기 초 중국인 곽박(郭璞)이 남긴 한 줄의 문장이 21세기 한국인의 정신세계를 지배하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기(氣)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을 만나면 멈춘다(乘風則散

    중앙일보

    2002.05.01 00:00

  • "진실은 삶을 지탱하는 밑변"

    오는 28일 대각개교절을 앞두고 원불교의 정신적 지도자인 좌산 이광정(廣淨·66)종법사를 전남 영광군 백수면 길룡리 '영산성지'에서 지난 15일 만났다. 올해로 87번째인 대각개

    중앙일보

    2002.04.18 00:00

  • "천지 자연의 섭리 카메라에 담았어요" 주역 사진전 여는 박진우씨

    "주역(周易)의 오묘한 진리를 나름대로 카메라에 담아 보았습니다." 박진우(朴晉佑·43)씨는 '주역의 눈으로 본 작은 풍경'이라는 사진전시회를 27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대구시

    중앙일보

    2002.02.26 00:00

  • 주역해의(周易解義) 남동원 지음,나남출판,전3권 1·2권 2만5천원,3권 2만원

    변화(易)의 이치를 담고 있는 주역은 인간과 국가의 길흉화복(吉凶禍福) 그리고 우주만물의 생성과 소멸을 포괄하는 동아시아적 사유의 기초가 되는 책이다. 리더십·정치·윤리뿐 아니라

    중앙일보

    2002.02.02 00:00

  • [NIE로 준비하는 대입 논술·면접] 점(占)문화

    사람이 미래의 길흉화복을 궁금해 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5만년 전 현생 인류의 조상인 크로마뇽인은 별자리를 보고 계절의 변화를 점쳤다고 한다. 심각한 청년실업에 대입 수능점수 폭락

    중앙일보

    2001.12.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