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무허가건물 38만채 모두 양성화

    정부와 민정당은 전국에 있는 45만여호의 무허가건물중 이주대상을 제외한 38만3천여호를 모두 양성화하고 이에 따라 건축법개정안과「준공미필 기존건물정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개정안」을 늦

    중앙일보

    1981.06.02 00:00

  • 접도 구역-허가 없이 주택 수리·개답 가능

    건설부는 7일 접도 구역 관리 규정을 고쳐 접도 구역 중 제한 구역 안에서 허가를 받아 할 수 있은 행위를 종전의 10가지에서 30가지로 20가지를 추가하는 한편 허가를 받지 않고

    중앙일보

    1981.03.07 00:00

  • 「그린벨트」규제 일부 완화|기존건물용 용도변경 허용|2월부터, 생필품점·목욕탕·병원등 대상|공장부대시설도 지어|농수산물 관리시설도 신축가능|9평이하 주택증개축 자영으로

    정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 사는 주민들의 생활의 뷸편을 덜기위해 「개발제한구역관리규정」중 일부를 개정, 기존건축물의 용도변경을 허용하고 농수산시설의설치를 허용하는등「그린벨트」

    중앙일보

    1981.01.29 00:00

  • 「그린밸트」(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민의 쾌적한 생활환경유지와 국가안보시설의 보호등을 위해 자연상태를 그대로 보존하는 지역을 말한다. 정부는 71년 수도권을 비롯한

    중앙일보

    1981.01.29 00:00

  • 고층빌딩 주차장이 모자란다

    서울시내 10층이상 고층건물의 대부분이 시주차장조례가 규정한 옥외주차장을 갖추지 않고 있으며 주차장 대지도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때문에 일부 「빌딩」주인들이 좁은땅

    중앙일보

    1980.08.09 00:00

  • 강남구 4개 간선도로 주변을 미관지구로 고시

    서울시는 5일자로 강남구도곡동744∼잠실선수촌후보지사이 2.6km 도로주변 등 강남구관내 4개지역을 각각 3, 4종 미관지구로 지적 고시했다. 미관지구로 지정된 이들지역은 이미 7

    중앙일보

    1980.08.05 00:00

  • 5∼50만원 과태료 물면 구제

    건축법을 어겨 준공검사를 받지 못한 50평 이하의 소규모주택(「아파트」는 전용면적)들이 5만∼30만원의 과태료를 내고 준공검사를 받아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이 같은 조치

    중앙일보

    1980.07.29 00:00

  • 준공 미필건물 구제기준 확정

    국무회의는 15일 준공미필 기존 건축물 정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시행령을 의결, 대장건축물의 구체적인 기준과 이 법의 적용을 받을 국가시책사업을 정했다. 시행령에 따르면 대상건축물

    중앙일보

    1980.07.16 00:00

  • 준공검사미필 건물들 어떻게 구제해 주나

    준공미필 위축물특조법 일문일답 정부로부터 건축허가를 받고 주택을 지었으나 건물을 짓는 과정에서 건축법을 위배했거나 무단으로 구조나 용도를 변경하여 준공검사를 받지 못하던 50평미만

    중앙일보

    1980.05.20 00:00

  • 10층 이상 기존 고층건물 주변에 기계식 주차「빌딩」설치

    서울시는 15일 연건평 5천평 이상의 기존건물(약10층 정도)로서 건물주변에 일정한 공지를 확보한 「빌딩」에 대해서는 기계식주차「빌딩」(MECHANICALTOWER PARK)을 설

    중앙일보

    1980.05.17 00:00

  • 「그린벨트」 규제의 정당성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의 설치목적은 산업개발, 도시팽창 등으로 인한 생활환경의 파괴, 국토훼손을 막자는 데 있다. 그러므로 지난 71년 「그린벨트」가 처음 설정됐을 때 우리는

    중앙일보

    1979.12.10 00:00

  • 50평미만 주거용건물만 구제

    국회법사위는 29일 하오 정내혁의원등 36명의 의원이 제안해 건설위를 통과한 준공미필기존건축물 정리에 관한 특별 조치법안을 고쳐 모든 준공미필건물을 구제대상으로 했던 것을 건평 5

    중앙일보

    1979.11.30 00:00

  • 도시개발 그늘서 중병을 앓는 문화재 소생 시킬길 없나

    근대화를 향한 새로운 도시개발로 귀중한 고도문화재들의 역사환경과 품위가 크게 훼손되고 있어 이들 문화재를 적극 보호하기위한 강력한 대책이 요망되고 있다. 서울의 「남대문」 (국보1

    중앙일보

    1979.11.30 00:00

  • 대도시 주변지역포함 황성 개발 정비

    정부는 지금까지 서울·부산·대구등 대도시는 도시단위별 개발에 치중함으로써 도시간을 연결하는 기간시설이 균형있게 배치되지 않아 대도시단정비법을 새로 제정, 대도시를 광역적인 차원에서

    중앙일보

    1979.09.27 00:00

  • 78년 5월 이전에 지은 집은 40평 이상도 증축 허용

    건설부는 40평 이상의 단독주택억제조치가 취해진 78년5월20일 현재로 이미 준공검사를 받은 기존 건축물에 대해선 평수에 관계없이 연건평의 10분의1 범위 안에서 증·개축을 허용하

    중앙일보

    1979.09.25 00:00

  • 주택증개축 9평까진 신고만으로

    앞으로▲주택 등 건축물의 증·개축은 9평까지 신고만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자연녹지지역에서 대지면적대비 연건평 총면적 비율(용적률)을 현행 20%에서 60%까지 각각 완화하기로

    중앙일보

    1979.09.24 00:00

  • 민간인에 도시공원 조성 허가

    건설부는 도시에서 녹지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막고 도시 공원을 많이 만들기 위해 민간인도 도시공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공원 안에서 음주 추태행위의 벌칙을 강화하는 것 등을 주요

    중앙일보

    1979.09.22 00:00

  • 준공미필 건물 구제

    공화당은 양성화된 각종 불량건축물도 등기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준공미필 기존건축물에 대한 특별조치법」을 마련했다. 공화당의 서울출신의원들이 공동명의로 정기국회에 제출할 이 법안

    중앙일보

    1979.07.07 00:00

  • 세계각국 에너지위기에 비상작전

    OPEC(석유수출국기구)의 원유 값 인상과 동경 7개 선진공업국 정상회담 후 세계각국은 석유소비절약 및 대체「에너지」개발 등 또 한차례 석유비상작전을 펴고있다.「에너지」위기에 대처

    중앙일보

    1979.07.06 00:00

  • 수도행정 자문위 안에 색채 분 위 둬|검물·간판 등 색깔을 지정

    서울시는 4일 기능위주로만 건설 된 서울을 멋과 낭만이 깃 들고 우리의 얼이 담긴 아름다운 도시로 꾸미기 위해 수도행정자문 위원회 안에 색채분과위원회를 신설 ▲건물 ▲가로수 ▲간판

    중앙일보

    1979.06.04 00:00

  • 상업지구 극장·백화점 45평당 1대꼴 주차장 설치 의무화|6월부터 실시

    극장·백화점 등 상업지역건물은 앞으로 연면적 45평당, 아파트·전시장·운동장 등은 연면적 60평당 1대꼴의 주차장을 확보해야 한다. 건설부는 11일 지난 4월17일 공포된 주차장법

    중앙일보

    1979.05.12 00:00

  • 신축건물 높이 지역별로 규제

    서울시는 26일 신축건물의 높이를 지역별로 규제, 이날부터 ▲4대문 안 간선도로변은 15층 ▲4대문 안 간선도로변 이외지역 12층 ▲기타강북지역 15층 ▲강남지역의 경우 일반지역

    중앙일보

    1979.04.26 00:00

  • 소형주택정리…고층화유도|

    도시는 하나의 예술품이다. 그러나 인구및 산업의 도시집중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오늘날 세계각국은 이도시가 생동감을 상실·쇠퇴해가고 있어 모두 고민하고있다. 도시의 평면 외형적 확장

    중앙일보

    1979.03.15 00:00

  • 안테나 통 반 단위로 집단화

    서울시는 봄철을 맞아 옥상무허가 건물과 퇴색한 건물을 5월말까지 모두 정비하기로 하고 무허가 옥상건물을 자진 철거하지 않을 때는 해당건물에 대해 단전·단수하는 한편 각종인·허가를

    중앙일보

    1979.03.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