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단기성과에 집착하지 말고 먼저 시진핑과 펑유 되라"

    "단기성과에 집착하지 말고 먼저 시진핑과 펑유 되라"

    왼쪽부터 황병태, 김하중, 이규형.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27일)을 앞두고 중앙일보는 전직 주중대사 3명을 연쇄 인터뷰했다. 이규형(62) 전

    중앙일보

    2013.06.26 03:00

  • [분수대] 6·25 경험자 760만 명 미경험자 4040만 명 그래서 역사교육이 필요하다

    [분수대] 6·25 경험자 760만 명 미경험자 4040만 명 그래서 역사교육이 필요하다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이 전격적으로 남침할 때 남·북한의 전투력은 비교조차 되지 않았다. 서울이 사흘 만에 함락당한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그

    중앙일보

    2013.06.25 00:51

  • 6·25 날 부산 바다 침투한 적 600명 우리가 무찔렀지

    6·25 날 부산 바다 침투한 적 600명 우리가 무찔렀지

    독일 잠수함 부대의 모자를 쓴 노병 최영섭. “천안함이 북한의 잠수함에 당했다. 잠수함 전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선 기자] 노병 최영섭(85)에게 6·25전쟁의 기억

    중앙일보

    2013.06.25 00:36

  • 전쟁고아 키워 준 국가에 보답하겠다

    전쟁고아 키워 준 국가에 보답하겠다

    김진호정전 60년. 전쟁 고아였던 보훈청록회 김진호(62) 회장은 매년 이맘때만 되면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게 된다고 한다. 전생의 상처를 보듬어 주고 자신을 키워 준 이웃의 손길

    중앙일보

    2013.06.25 00:35

  • [남윤호의 시시각각] 군부대가 의원 기념촬영장인가

    [남윤호의 시시각각] 군부대가 의원 기념촬영장인가

    남윤호논설위원 호국보훈의 달이라 그런가. 6월엔 정치인들의 군 부대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지난 20일 강원도 동해의 해군 제1함대를 방문한 데 이어 28일엔 서

    중앙일보

    2013.06.25 00:10

  • [이홍구 칼럼] 되돌아보는 역사의 고비 6·25

    [이홍구 칼럼] 되돌아보는 역사의 고비 6·25

    이홍구전 총리·본사 고문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전쟁이었던 6·25는 이제 역사에 기록되고 그 안에서 인식되는 전쟁으로 성격이 바뀌어 가고 있다. 3년1개월의 포화 속에

    중앙일보

    2013.06.24 00:40

  • 미 참전노병들 잊지 않는 한국 고맙다

    미 참전노병들 잊지 않는 한국 고맙다

    웨버 회장은 “그 어떤 나라도 한국만큼 참전노병들을 대접하진 않는다”며 고마워했다. “1950년으로 다시 되돌아 가더라도 기꺼이 한국전에 참전하겠다. 그 전쟁에서 팔과 다리를 잃었

    중앙일보

    2013.06.24 00:03

  •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 죽음으로 정성운 하차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 죽음으로 정성운 하차

    [사진 드라마하우스] “‘꽃들의 전쟁’은 제 기억 속에 영원히 남을 작품.” 의문의 독살을 당하며 비극적 죽음을 맞이하게 된 ‘꽃들의 전쟁’의 소현세자 정성운(32)이 하차소감을

    온라인 중앙일보

    2013.06.23 14:27

  • 중공군 공세 때 사투…“전쟁 경험이 내 인생 바꿔”

    중공군 공세 때 사투…“전쟁 경험이 내 인생 바꿔”

    지난 5월 말 DMZ를 방문한 홀맨. ‘또 저 지겨운 나팔소리’. 1951년 4월, 중부전선인 강원도 화천. 17세 소년병 제임스 홀맨 이병은 다시 떨기 시작했다. 중공군이 부는

    온라인 중앙일보

    2013.06.23 04:40

  • 인민군 탱크 맨몸으로 제압 … 나침반 덕에 구사일생

    인민군 탱크 맨몸으로 제압 … 나침반 덕에 구사일생

    해마다 조명되는 6·25지만 전쟁의 처절함은 늘 새롭다. ‘천의 얼굴, DMZ’기획시리즈의 두 번째로 강원도 중·동부전선에서 각각 북한군·중공군과 맞닥뜨린 한국군과 미군 병사의 얘

    온라인 중앙일보

    2013.06.23 04:38

  • 아군·적군 함께 미역 감던 금성천이 지척인데…

    아군·적군 함께 미역 감던 금성천이 지척인데…

    강원도 철원군의 DMZ를 흐르는 금성천. 양측 고지에서 총을 쏘던 국군, 미군, 인민군, 중공군 병사들은 1953년 7월 27일 휴전이 발효되자 환호를 지르며 함께 천으로 뛰어들었

    온라인 중앙일보

    2013.06.23 04:34

  • 중공군 공세 때 사투 … “전쟁 경험이 내 인생 바꿔”

    중공군 공세 때 사투 … “전쟁 경험이 내 인생 바꿔”

    지난 5월 말 DMZ를 방문한 홀맨. 관련기사 아군·적군 함께 미역 감던 금성천이 지척인데 … 인민군 탱크 맨몸으로 제압 … 나침반 덕에 구사일생 ‘또 저 지겨운 나팔소리’. 1

    중앙선데이

    2013.06.23 00:51

  • 인민군 탱크 맨몸으로 제압 … 나침반 덕에 구사일생

    인민군 탱크 맨몸으로 제압 … 나침반 덕에 구사일생

    관련기사 아군·적군 함께 미역 감던 금성천이 지척인데 … 중공군 공세 때 사투 … “전쟁 경험이 내 인생 바꿔” 눈을 뜨니 경주 야전병원행 기차. 허리부터 왼쪽 다리까지 감각이

    중앙선데이

    2013.06.23 00:47

  • 아군·적군 함께 미역 감던 금성천이 지척인데 …

    아군·적군 함께 미역 감던 금성천이 지척인데 …

    강원도 철원군의 DMZ를 흐르는 금성천. 양측 고지에서 총을 쏘던 국군, 미군, 인민군, 중공군 병사들은 1953년 7월 27일 휴전이 발효되자 환호를 지르며 함께 천으로 뛰어들

    중앙선데이

    2013.06.23 00:44

  • [책꽂이] 발칸의 음모 外

    인문·사회 ● 발칸의 음모 (신두병 지음, 용오름, 474쪽, 2만2000원)=유고슬라비아 주재 한국 대사를 지낸 저자가 유고 내전의 진상을 들려준다. 20여 만 명의 희생자를 낸

    중앙일보

    2013.06.22 00:14

  • 한국전 '잊혀진 전쟁'서 '잊혀진 승리'로

    한국전 '잊혀진 전쟁'서 '잊혀진 승리'로

    안호영 주미대사, 척 헤이글 미 국방장관, 루이스 유잉 한국전참전용사협회 대표(왼쪽부터)가 18일(현지시간) 미국 알링턴 펜타곤의 ‘한국전 전시관’ 개관식에서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중앙일보

    2013.06.20 01:11

  • 파주에 '통일 기원 성당' 문 연다

    파주에 '통일 기원 성당' 문 연다

    2013년은 한국전쟁 정전(停戰) 60주년이 되는 해다. 그에 맞춰 북한 땅이 지척인 경기도 파주 통일동산에 천주교 ‘참회와 속죄의 성당’(사진)이 문을 연다.  마침 한국전쟁이

    중앙일보

    2013.06.20 00:40

  • [사랑방] '2013 서울시립대-서울의료원 공동 주관 하계 해외봉사단 발대식' 外

    ◆서울시립대(총장 이건)는 19일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서울의료원(원장 김민기)과 함께 ‘2013 서울시립대-서울의료원 공동 주관 하계 해외봉사단 발대식’을 했다. 봉사활동은 서울

    중앙일보

    2013.06.20 00:29

  • [커버 스토리] 북촌, 강남의 고향을 찾아서

    [커버 스토리] 북촌, 강남의 고향을 찾아서

    헌법재판소에서 감사원으로 이어지는 가회동 길에서 창덕궁 서편 길로 넘어가는 돌계단. 고지도에도 나오는 옛 골목으로, 커피숍 고이 옆 길이다. 왼쪽 아래 지도는 18세기 말 한양도성

    중앙일보

    2013.06.19 03:30

  • 냉전, 한국·베트남에선 아직 끝난 것이 아니죠

    냉전, 한국·베트남에선 아직 끝난 것이 아니죠

    권헌익 교수“유럽, 북미 지역의 냉전은 끝났어도 우리의 냉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트리니티칼리지 권헌익(51·인류학) 석좌교수의 진단이다. 2010년 미 컬

    중앙일보

    2013.06.19 00:52

  •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수해와의 전쟁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수해와의 전쟁

    1990년 9월 12일 폭우로 서울 풍납동 서울중앙병원(지금의 서울아산병원)이 침수됐다. 입원 중인 환자들을 군인들이 고무보트로 실어 나르고 있다. [중앙포토] 1990년 서울에

    중앙일보

    2013.06.17 00:10

  • 미 세도나에 한국전 참전용사비

    미 세도나에 한국전 참전용사비

    댄 윌리츠 미 세도나 해병대 전우회장이 국전 참전용사비 뒤에 서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세도나 한인회]미국 애리조나주 세도나의 ‘용사공원(Veteran Military Pa

    중앙일보

    2013.06.17 00:07

  • 노병들 60년 전 지킨 그곳엔 풋풋한 젊은 병사들

    노병들 60년 전 지킨 그곳엔 풋풋한 젊은 병사들

    6·25 참전유공자회 통영시지회 회원들이 지난 13일 강원도 철원 제2땅굴을 관람한 뒤 기념촬영을 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국가유공자 모임인 이들은 매년 자신들이 참가한 전투

    온라인 중앙일보

    2013.06.16 03:15

  • 4만 년 전 식인종 혹은 찬란한 별들의 후손?

    4만 년 전 식인종 혹은 찬란한 별들의 후손?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1908년 작품 ‘아폴론과 다프네’. [위키피디아] “악몽을 꾸다 깨어난 그레고르 잠사는 침대 위에 괴물같이 커다란 벌레로 변해버린 자신을 발견한다.” 프

    중앙선데이

    2013.06.16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