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겸로翁,고서점 '通文館' 대물림 새출발

    우리 고서계(古書界)의 대부,고서점 「통문관(通文館)」주인 산기(山氣)이겸로(李謙魯.87)옹이 60여년 몸과 마음에 밴 서향(書香)을 간직하고 은퇴했다. 서울안국동 네거리에서 화랑

    중앙일보

    1996.04.14 00:00

  • 훈민정음 우수성 찬양 세종대왕 언급은 없어

    …북한 평양방송은 15일 훈민정음 창제 552주년(1월15일)을 맞아 『훈민정음은 우리 인민의 창조적 지혜와 슬기가 반영된 자랑높은 민족글자』라고 강조. 이 방송은 이어 훈민정음은

    중앙일보

    1996.01.19 00:00

  • 장순하씨 시조집 길손.백두산가는길 동시출간

    ○…시조시인 張諄河씨(65.사진)가 시조집 『길손』『백두산 가는길』2권을 東學社에서 동시에 펴냈다.57년『현대문학』을 통해 문단에 나온 張씨는『백색부』『묵계』등의 시조집을 펴내며

    중앙일보

    1993.12.28 00:00

  • 547돌 한글날 기념행사 풍성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를 이달의 문화인물로 선정한 문화체육부는훈민정음 반포 5백47돌 기념일인 한글날(10월9일)을 맞아 한글그림전.국제학술회의.무용공연등 다채로운 행사를 마련했다.

    중앙일보

    1993.10.08 00:00

  • (58·끝)-시인 이근배|「훈민정음」의 성지 영릉

    우리 민족은 왜 위대한가, 우리 역사는 무엇 때문에 자랑스러운가, 이런 물음 앞에서 우리는 한 임금의 이름을 떠올리게 된다. 오늘 세계 50억의 인류 속에서 반만년 역사를 안고 살

    중앙일보

    1993.02.28 00:00

  • 한글창제 546돌

    오는 9일 546회 한글날을 맞아 기념식을 비롯한 각종 행사가 다양하게 펼쳐진다. 이번 행사에는 한글을 주제로 한 무용공연·조각전등이 열려 한글의 독창성 및 우수성을 예술적으로 표

    중앙일보

    1992.10.05 00:00

  • 5백46돌 한글날 맞는 이기문교수(일요인터뷰)

    ◎“나랏말ㅆ·ㅁ 갈고 닦아야죠”/독창·과학성은 세계서 이미 공인/사장된 말살리고 자체 개발해야 이기문교수(63·서울대)에겐 우리글·우리말을 빼면 그 어느것도 안중에 없다. 창제자

    중앙일보

    1992.10.04 00:00

  • (48)시인 이 근 배

    마음을 가다듬고 한 글자씩 다시 읽어야할 역사가 있다. 옷깃을 여미고 다시 우러러보아야할 하늘이 있다. 매죽헌 성삼문이 있기에 조선조의 역사는 한결 그 빛이 푸르고, 그가 고통과

    중앙일보

    1992.08.02 00:00

  • 오늘의 일물소사

    ◇이인직=1916년 사망. 경기도 이천출신 구한말 소설가로 신소설을 개척한 선구자. 1906년 『혈의 루』를 발표하고 신극에 참여, 『설중매』등을 자작 상연. 대표작 『귀의성』 『

    중앙일보

    1991.10.09 00:00

  • 북한 한글날은 1월15일 「훈민정음 창제일」

    북한은 10월9열 한글날대신 1월15일을「훈민정음 창제일」로 기념하고 있다. 즉 한국에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완성(세종 25년 계해)한 후 정인지 등 여러 학자들로 하여금 해례

    중앙일보

    1990.10.15 00:00

  • 한글날 기념 학술강연

    ◇이관구 세종대왕기념사업 회장은 5백43돌 한글날기념 학술강연회를 5일 오후 6시 서울 신문로 한글회관에서 갖는다. 소련과학원 동방연구소 콘재비치 상급 연구사와 체코 찰스대 푸제

    중앙일보

    1989.10.03 00:00

  • 사회 교양

    □…KBS 제2TV『11시에 만납시다』(18일 밤11천10분)-「깎고 새기는 집념의 각인-서각가 오옥진」.독립기념관 현판글씨를 새긴 서각가 오옥진씨를 만나본다. 그는 외곬으로 서각

    중앙일보

    1987.11.18 00:00

  • 국어가 국민을 만든다

    5백40돌 한글날을 맞았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을 기념하는 이날 우리는 새삼 우리 글과 우리 말의 중요성을 다시 되새긴다. 한글은 우리 글로서 음운문자 중에서도 세계적

    중앙일보

    1986.10.09 00:00

  • 전통 문화·민속특성 살렸다.

    순환 지하철(2호선)의 개통으로 본격적인 「지하철시대」를 맞았다. 이와 함께 지하철에 아름다운 정서를 느낄 수 있는 벽화가 등장했다. 하루에 1, 2호선 지하철을 이용하는 인구는

    중앙일보

    1984.07.26 00:00

  • 정박아작품 상설전시판매|「예쁘랑」개관기념전

    정신박약아들의 작품을 상설 전시·판매하는 곳이 마련돼 정박아들에게 꿈과 용기를 주고있다. 서울인사동 4거리 근처에 자리한「예쁘랑」이 바로 그곳. 10평규모의 아담한 실내엔 서툰듯

    중앙일보

    1983.11.10 00:00

  • ㅌ을 ㄹ으로 잘못표기…돈·담배 등에도 버젓이 사용

    한 나라의 문자생활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요즘 시중에는「ㅌ」자를 「ㄹ」자로 잘못 쓰는 예가 너무나 많다. 작게는 음식점의 차림표(메뉴)나옥호, 각 상점 등의 간판·선전판이 그렇

    중앙일보

    1982.02.01 00:00

  • 국교생에 한자 가르치던 어려운 말 쉽게배워|국민학교 한자교육 실태 학술발표회

    한자교육은 조기교육일수록 효과적이며 국민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실시할경우 특히 저학년 학생들의 언어능력신장에 큰 효과를 거둘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조문구육연구회 (회장이희승

    중앙일보

    1980.10.06 00:00

  • 한글날 학술연구발표대회

    9일은 훈민정음 반포 5백33돌 되는 한글날이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회장 이관구)와 한글학회에서는 이날을 맞아 세종대왕의 위업을 추모하며 한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새롭게 하기 위

    중앙일보

    1979.10.08 00:00

  • "한글사용의 기계화 연구를"

    훈민정음 반포를 기리는 5백32돌 한글날기념식이 9일 상오10시 세종문화회관에서 베풀어졌다. 최규하 국무총리·박찬현 문교장관·김성진 문공부장관 및 허웅 한글학회이사장·이관구 세종대

    중앙일보

    1978.10.09 00:00

  • 세종대왕 숭모제전 참석

    박정희 대통령은 한글날인 9일 하오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영릉에서 봉화된 제1회 세종대왕 숭모제전에 참석했다. 국립국악원 악대의 국악이 은은히 울려 퍼지는 가운데 묘역 앞

    중앙일보

    1977.10.10 00:00

  • 한글 반포기념 학술대 강연회

    국어 국문학회(대표 김기동)등 11개 단체가 주최하는 훈민정음 반포 5백31주년을 기념하는 제4차 학술대 강연회가 8일 하오2시 서울덕성여대 강당에서 열린다. 상용 한자·외래어 표

    중앙일보

    1977.10.08 00:00

  • 세종대왕릉 성역화 작업 11억 들여 10월초 완공

    5천년 민족문화의 긍지를 되새기며 새로운 문화창조의 저력을 다지기 위한 여주 세종대왕릉(영능)성역화 사업이 마무리돼 오는10월초 준공된다. 단일 유적지 정화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인

    중앙일보

    1977.09.21 00:00

  • 주시경 탄신 백돌 기념잔치 한글학회 등서 강연회 열어

    7일은 현대 국어학의 과학적 개척자인 한힌샘 주시경 선생의 탄신 1백 돌이 되는 날이다. 이날을 맞아 한글학회·세종대왕기념사업회 등은 기념식과 생애(이은상·민족문화협회 회장)와 사

    중앙일보

    1976.11.08 00:00

  • 훈민정음 연구에 억측 이론 많다|진단학회 「세미나」서 이기문씨 발표

    한글을 창제토록 한 세종대왕의 579돌째 탄신일(15일)을 기념하기 위해 진단학회(회장 이병훈)는 최근 연구의 혼란 상태를 빚고 있는 훈민정음에 대해 종합적인 검토를 시도했다. 성

    중앙일보

    1976.05.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