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검·경·국, 6개월간 통신 가입자 정보 285만건 들여다봤다

    검·경·국, 6개월간 통신 가입자 정보 285만건 들여다봤다

    지난해 하반기 수사기관이 범죄 수사를 위해 통신사업자에게 285만명의 가입자 개인정보를 취득해 열람했다. [픽사베이]   검찰·경찰·국정원 등 수사기관이 지난해 하반기에 285만

    중앙일보

    2020.05.15 17:22

  • 文 "권력기관이 국민 실망시킨 일, 지금까지 단 한 건도 없었다"

    文 "권력기관이 국민 실망시킨 일, 지금까지 단 한 건도 없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혁신과 경제 활력 제고를 전면에 내세웠다. “혁신은 기존 산업을 부흥시키고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신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말하면서다.

    중앙일보

    2019.01.10 10:29

  • 평양서 '카톡 왔숑' IT 신기술에 허물어지는 국경선

    평양서 '카톡 왔숑' IT 신기술에 허물어지는 국경선

    SNS 앱 깔린 중고폰 들여와 외부와의 소통 증가… 북한 당국도 SNS 통해 대외 선전·정보 수집 주력 스마트 기기로 국경을 뛰어넘어 세상과 소통하는 변화의 바람은 북한이라고 예

    중앙일보

    2018.03.31 00:02

  • 홍준표가 주장한 '정부의 통신 사찰' 알고보니…

    홍준표가 주장한 '정부의 통신 사찰' 알고보니…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운데)가 9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사정 당국으로부터 통신조회를

    중앙일보

    2017.10.11 22:01

  • [키워드로 보는 사설] 개인정보와 정보인권

    미래창조과학부의 자료에 의하면 2014년 정부의 통신자료 청구 건수가 2000년에 비해 무려 80배나 증가했다고 한다. 요청기관별로는 경찰(64%), 검찰(33%), 기타(2%),

    중앙일보

    2016.04.12 01:17

  • [시사 NIE] 테러방지법 둘러싼 논란

    [시사 NIE] 테러방지법 둘러싼 논란

    “테러 위협 대비해야” vs “민간인 사찰 우려”숱한 논란 끝에 지난 2일 테러방지법이 제정됐다. 2001년 김대중 정부 시절 미국 9·11 테러 직후 처음으로 발의된 후 15년

    중앙일보

    2016.03.23 00:03

  • [사설인사이트]통신정보, 수사보다 인권이 우선이다

    [사설인사이트]통신정보, 수사보다 인권이 우선이다

    포털업체가 법원 영장 없이 수사기관에 이용자 통신자료를 내주는 것은 옳은 일일까. 최근 이 문제를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인권 보장과 수사 필요성이란 두 개의 가치가 충돌한다는

    중앙일보

    2016.03.17 17:52

  • [권석천의 시시각각] 막 내주면 안 되지 말입니다

    [권석천의 시시각각] 막 내주면 안 되지 말입니다

    권석천논설위원“까똑.” 이박님이 권OO 님, 김변 님을 초대하였습니다.이박 어떻게들 지내시나 궁금해서^^권OO 난 어제 극장 가서 ‘동주’ 봤어. 뭉클하더군. 특히 끝 부분에 나오

    중앙일보

    2016.03.15 00:53

  • 테러방지법 통과에 '텔레그램' 창업자 화제…러시아의 저커버그

     텔레그램 창업자 파벨 두로프지난 2일 오후 테러방지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가운데 러시아의 메신저텔레그램의 창업자인 파벨 두로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텔레그램은 2

    온라인 중앙일보

    2016.03.04 14:59

  • [시사TONG역기] 테러방지법, 필리버스터 그리고 아이폰

    [시사TONG역기] 테러방지법, 필리버스터 그리고 아이폰

    합법적 의사진행 방해를 뜻하는 ‘필리버스터(filibuster)’가 포털의 실시간 검색 1위에 올랐습니다. 필리버스터의 일종인 무제한 토론 방식으로 현재 저지하고 있는 ‘테러방지법

    TONG

    2016.02.24 18:06

  • [궁금한 화요일] 국정원 감청 논란 … 내 휴대폰 안전할까

    [궁금한 화요일] 국정원 감청 논란 … 내 휴대폰 안전할까

    국가정보원의 휴대전화 감청 의혹과 관련한 논란이 한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내 전화는 혹시?’ 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일반 휴대전화 통화의 경우 기술적 감청·도청

    중앙일보

    2015.08.04 00:42

  • [중앙시평] 초연결사회 위협하는 사이버 테러

    [중앙시평] 초연결사회 위협하는 사이버 테러

    김명자전 환경부장관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초빙교수 우리는 모바일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촘촘히 연결된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에 살고 있

    중앙일보

    2015.01.24 00:05

  • 수사기관 감청 늘었다

      검찰과 경찰ㆍ국가정보원 등 수사기관이 통신사에 요청해 받은 가입자 정보(통신자료) 건수가 1년 새 2만여 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간통신사업자 71개, 별

    중앙일보

    2014.10.31 14:59

  • 달라면 준 개인 진료정보 연 69만 건

    건강보험공단이 검찰·경찰에 수사 자료 협조라는 명목으로 연 97만 건의 국민 개인 진료 정보를 제공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용익 의원이 16일 건보공단에서 받은 자

    중앙일보

    2014.10.17 01:35

  • 카톡 "감청 영장 응하지 않겠다" 검찰 "공무집행 방해"

    카톡 "감청 영장 응하지 않겠다" 검찰 "공무집행 방해"

    황교안 장관 “나는 지금도 카톡 쓴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13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근 카카오톡 압수수색 논란과 관련해 준비된 답변 내용을

    중앙일보

    2014.10.14 01:39

  • 단통법, 당론 투쟁에 묻혀 졸속 처리 … 국민만 피해

    단통법, 당론 투쟁에 묻혀 졸속 처리 … 국민만 피해

    한국의 당론정치가 무서운 건 블랙홀이라서다. 한 번 매몰되면 민생과 국익까지도 내팽개친다. 네티즌들로부터 ‘단순히 통신사들만을 위한 법’으로 불리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도

    중앙일보

    2014.10.13 01:15

  • 현재 국내 보안솔루션으론 전체 해킹 20%는 못 막아

    현재 국내 보안솔루션으론 전체 해킹 20%는 못 막아

    어나니머스가 지난 4월 4일 유튜브를 통해 북한과 사이버전쟁을 선포하고 있다. [중앙포토] 국제 해커 어나니머스(Anonymous)가 최근 ‘사이버 6·25전쟁’을 선포했다. 오는

    중앙일보

    2013.06.10 03:00

  • 종북 사이트 회원 1800명 수사 … 200명은 신원 파악

    국제 해커집단 어나니머스(Anonymous)가 북한의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 등을 해킹해 공개한 가입자 중 1800여 명이 공안당국의 수사 대상에 오른 것으로 8일 확

    중앙일보

    2013.05.09 03:00

  • 국정원, 우리민족끼리 리스트 수사

    국정원, 우리민족끼리 리스트 수사

    국가정보원은 5일 국제 해커그룹 ‘어나니머스(Anonymous)’가 북한의 대남 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의 회원 명단 9001개를 공개한 것과 관련, 이 명단을 토대로 수사

    중앙일보

    2013.04.06 01:41

  • 방통위 “오히려 옥상옥 … 5년 뒤에 또 바뀔 것”

    천신만고 끝에 나온 절충안이지만 박수는 나오지 않았다. 방송정책의 상당 부분을 내 주게 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물론 청와대 표정도 밝지 않았다.  방통위 관계자는 “비전문가들이 정치

    중앙일보

    2013.03.18 00:39

  • “북, 내년엔 서해 5도 직접 침공 가능성”

    국가정보원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소(소장 남성욱)는 26일 “북한이 내년 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해 5개 도서를 직접 침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연례

    중앙일보

    2010.12.27 03:02

  • [시론] 국정원법 개정은 시대적 요구

    국가정보원(국정원)의 직무와 관련된 법을 제정·개정하는 문제를 두고 논란이 한창이다. 국정원 관련 법 개정은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경제·산업·기술·환경 관련 정보수집

    중앙일보

    2008.12.24 00:04

  • 수사기관 ‘전화 엿듣기’ 줄어들고 e-메일 등 ‘인터넷 감청’ 대폭 늘어

    수사기관 ‘전화 엿듣기’ 줄어들고 e-메일 등 ‘인터넷 감청’ 대폭 늘어

    매체 환경의 변화로 수사기관의 감청이 ‘전화 엿듣기’에서 ‘인터넷 엿보기’로 발 빠르게 무게중심을 옮겨 가고 있다. e-메일과 블로그, 개인 홈피나 비공개 게시판을 들여다보는 ‘인

    중앙일보

    2008.05.02 03:01

  • [사설] 휴대전화 감청, 오·남용 차단이 먼저

    휴대전화와 인터넷이 합법 감청의 대상이 될 모양이다. 22일 국회 법사위에서 의결된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이 다음달 2일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기술개발에 필요한 유예기간인 2년 뒤에

    중앙일보

    2007.06.25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