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모란봉

    평양성은 옛날에는 기자가 도읍 했던 곳이라 해서 기성이라고도 했고 혹은 패성이라고도 했다. 서울의 미가 남성적인 미라 한다면 평양의 미는 우아한 여성적인 미라 하겠다. 문자그대로

    중앙일보

    1972.08.22 00:00

  • 여름 사고는 방심을 노린다|

    여름의 사신이 방심을 노린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심신이 나른해지면서 여름철 생활 주변에 각종 사고가 잇따른다. 개구장이들의 목숨을 앗아가는 강변 웅덩이, 식중독, 장마철에 빈

    중앙일보

    1972.07.19 00:00

  • 항생제|그 남용에서 오는 무서운 부작용

    선진국에선 의사의 처방 없이는 절대로 항생제를 약국에서 사지 못한다. 반면 우리 나라는 약국에서 항생제를 사먹을 수 있는 나라 중에서도 대표가 될 정도로 약국을 통해 많이 나가고

    중앙일보

    1972.07.18 00:00

  • 개미 뇌수술에 성공 소의 곤충학자 주장

    【런던=로이터동화】소련곤충학자들은 부상한 개미의 뇌수술에 성공했다고 주장, 그러나 영국전문가들은 아무리 개미가 영리한 곤충이라 하지만 개미머리를 갖고 수술하기엔 너무 작다고 회의를

    중앙일보

    1972.05.31 00:00

  • 남산 식물원에서 「사라세니아」와 「디오니아」등 식충 식물 재배에 성공

    서울 남산식물원은 벌레를 잡아먹고 사는 북미원산의 「사라세니아」 와「디오니아」등 2종의 식충 식물 재배에 성공했다. 23일부터 일반에게 공개된 이「사라세니아」는 원통모양의 녹색잎이

    중앙일보

    1972.05.23 00:00

  • 사설

    『하나밖에 없는 한국』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에서는 오는 6월 5일부터 16일까지 전세계의 환경 학자 7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하나밖에 없는 지구』(Only One Earth)

    중앙일보

    1972.05.22 00:00

  • 자연을 모르는 도시의 초·중·고생들|매미 못 본 국민교생이 30%

    서울·부산 등 대도시의 초·중·고교 학생들이 주위를 둘러싼 「콘크리트·정글」로 자연과 격리되어 관찰과 채집·실험·실습본위로 해야 하는 생물 등 자연 과학 과목이 도상 학습에 의존,

    중앙일보

    1972.05.19 00:00

  • 유엔 마약 추방운동 서서에 연구소 설치

    유엔은 아편의 재료인 양귀비를 재배하는 국가들에 대해 언젠가는 미생물 전쟁을 하게될지도 모른다고 워싱턴·스타 지가 내다보았다. 유엔은 우선 7만5천달러의 자금을 할당해서 스위스에

    중앙일보

    1972.05.04 00:00

  • (51)새우

    새우는 「마크루라」속에 속하는 갑각류의 총칭으로 종류가 여러 가지나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왕새우·참새우·보리새우 등 세 가지이다. 전신이 두흉부 복부 꼬리부분의 세 부분으로 이루

    중앙일보

    1972.05.03 00:00

  • 국교·중학 한문교육 39개 단체 반대성명

    한글학회를 비롯한 사회문학계 등 39개 단체는 25일하오 문교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민학교 및 중학교에서의 한문학습을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를 낸 39개 단체는 다음과

    중앙일보

    1972.02.28 00:00

  • 새 학기 대학에 이색학과 등장

    새 학기의「캠퍼스」에 8개 분야의 새 학과가 등장했다. 이번에 새로 생긴 전국 대학의 유일 학과는 산업심리학과(성대 경상대), 안전관리학과(성대 경제개발대학원), 승가학과(동국대

    중앙일보

    1972.02.15 00:00

  • (6)거미박사|경북대 사대 생물학과 백갑용 교수

    거미 연구에 바친 인생 40년. 하고많은 생물 가운데 하필이면 거미 연구냐는 질문도 자주 받는다지만 거미의 성미를 닮아서일까, 「거미박사」 백갑용 교수(57·경북대 사대 생물과)의

    중앙일보

    1972.01.11 00:00

  • 「중앙동산」에 비친 동심

    이따금 어른들이 깜짝 놀라게 되는 어린이들의 세계가 있다. 어른들의 사고방식이나 느낌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면도 어린이들은 갖고 있다. 보통 어른들은 자신의 사고방식에 맞춰

    중앙일보

    1971.12.30 00:00

  • 공해 없는 농약…곤충「호르몬」제|미국서 생산 단계에

    새로운 농약으로 등장한 곤충의「호르몬」제가 공장생산단계에 들어섰다. 공해 없는 농약으로 각광받는 곤충「호르몬」제의 생산은 미국「조위컨」사가 금년에 착수, 74년에는 연산 1천만「달

    중앙일보

    1971.10.16 00:00

  • 자연의 실체-울릉도

    이번 한국자연보존연구회가 실시한 울릉도 학술조사는 문화공보부의 위촉에 의한 것이므로 천연기념물의 보존실태를 파악하여 과학적인 보존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천연자원의 개발방도를 강구하려

    중앙일보

    1971.08.23 00:00

  • 영양·질병으로 본 도시와 농촌의 차이|이장규

    1일 생활권이란 흐뭇한 말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러 면에서 도시와 농촌사이에 아직도 거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보건 면에서 몇 가지 적어보면 우선 영양문제가

    중앙일보

    1971.08.19 00:00

  • 사라지는 「울릉도의 자연」

    동해 복판에 자리한 울릉도의 천연기념물들을 포함한 자연자원의 보존은 국토·자연의 보존에서 뿐 아니라 관광개발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의 「울릉도종합학술조사단」(

    중앙일보

    1971.08.17 00:00

  • 울릉도 학술조사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10일∼16일 『울릉도 종합예술조사』를 실시한다. 박만규 교수(고대)를 단장으로 한 울릉도 종합학술조사단은 문공부 지원으로 울릉도 일대의 6가지 천연기념물의 실

    중앙일보

    1971.08.05 00:00

  • (4)-독서·채집

    학교 공부에 매여있던 어린이들의 방학동안의 취미생활은 학습과 정서, 그리고 건강을 증진시키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어린이는 물론 중학교1, 2학년 학생이라도 부모가 중심이 된 어른

    중앙일보

    1971.07.29 00:00

  • 곤충들 살충제면역

    【제네바DPA합동】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살충제로서는 죽일 수 없는 곤충의 수가 자꾸만 늘어나고 있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보고했다. 지금까지 WHO에서 실시한 실험

    중앙일보

    1971.07.12 00:00

  • 청소년 우량 도서 51권을 선정 발표-문화공보부

    문화공보부는 청소년을 위한 71년도 우량 도서 51권을 선정했다. 청소년들의 정서와 교양을 쌓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문공부가 해마다 추천하는 이들 양서는 올 해 국내 출판사에서 발

    중앙일보

    1971.07.07 00:00

  • 나비와 함께 살아온 무명의 과학도|나비·갑충류 3만여 점 기증-국립과학관에

    일생을 나비와 함께 살아온 무명 과학도가 그의 귀중한 재산인 나비 및 갑충 표본 3만여 점 한「트럭」분을 19일 국립과학관에 기증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이승모씨 (49·서울 중구

    중앙일보

    1971.05.20 00:00

  • 방사선농학연구소에|대형 방사선투사장치

    원자력 청 방사선 농학연구소(소장 심상칠 박사) 는 지난17일 우리 나라 최초의 대형방사선투사장치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이 장치는 우리 나라에서 이제까지 사용됐던 최강의「코발트60

    중앙일보

    1971.04.20 00:00

  • 수난속의 천연기념물|황새 죽음을 계기로 본 그 실태

    세계적인 보호조이며 천연기념물 199호로 지정돼 있는 황새 1쌍이 충북 음성의 두메 마을에 홀연 나타났다는 소식은 큰 기쁨으로 전해졌는데 이어 그 한마리가 사냥꾼의 총에 맞아 죽은

    중앙일보

    1971.04.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