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개사 우유에 항균물질

    21일자 사회면(23면)『5개사 우유항균물질 검출-선진국 허용치보다 낮아 인체엔 무해(보건복지부 시판제품 조사)』제하의 기사내용은 복지부 발표자료를 별 생각없이 옮겨쓴 것 같아 안

    중앙일보

    1995.11.23 00:00

  • 우유불신 해소 시급하다

    시판중인 5개사 우유에서 항균물질이 검출되고,그중 1개사 우유에서는 항생물질까지 검출됨으로써 우유에 대한 국민의 불신감이깊어졌다.우유에 대한 불신감 뿐만 아니라 「고름우유」 파문때

    중앙일보

    1995.11.22 00:00

  • 공정위,파스퇴르.유가공協 검찰에 고발

    고름 우유」시비를 벌였던 파스퇴르유업과 한국유가공협회가 공정거래법위반(허위.비방 광고)혐의로 공정거래위로부터 검찰에 고발당하게 됐다.공정거래위는 이번 광고의 양측 당사자인 파스퇴

    중앙일보

    1995.11.17 00:00

  • 고름우유 공방 녹즙업계 호황-우유 대체식품으로 판매급증

    이른바 「고름우유」파문으로 관련업계의 희비(喜悲)가 엇갈리고있다. 우유.요구르트업계가 판매부진.원유(原乳)재고로 골머리를앓고 있는 반면 녹즙.두유업계는 때아닌 호황을 맞고 있다.이

    중앙일보

    1995.11.07 00:00

  • 고름우유 분쟁 일단락-유업계,사과광고 내기로

    이른바 「고름우유」논쟁으로 빚어진 유가공협회와 파스퇴르유업㈜사이의 불화가 진정되게 됐다. 유가공협회 회장단(회장 김영진)과 최명재 파스퇴르유업㈜회장은6일 농림수산부에서 만나 그동안

    중앙일보

    1995.11.07 00:00

  • 우유 마셔도 괜찮다-체세포 식품안전성과는 관계없어

    『아이들에게 우유를 마시게 하는데 찜찜해서 못견디겠다.우유를마셔도 괜찮은 겁니까.』 우유회사들간 「고름우유」공방전이 벌어지자 이처럼 불안해하는 소비자들이 많고 우유소비도 급격히 줄

    중앙일보

    1995.11.03 00:00

  • 우유

    중국인들은 우유를 싫어한다.중국요리엔 우유가 재료인 것이 거의 없다.중국식당에 가서 유제품(乳製品)을 맛보는 것은 디저트로 나오는 아이스크림뿐이다.그것도 외국인들의 입맛에 맞춘 것

    중앙일보

    1995.11.02 00:00

  • 고름우유 논쟁 법정까지 갈듯-파스퇴르측서 고소장 곧 접수

    이른바 「고름우유」를 둘러싼 파스퇴르유업과 다른 유가공업체들간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당국의 시정명령에도 불구하고 더욱 가열돼 법정싸움으로까지 이어질 전망이다.유가공협회는 1일 긴급

    중앙일보

    1995.11.02 00:00

  • 고름우유란 없다-유방염 젖소선 우유 안나와

    『고름우유란 없다.』 「우유 기피 증후군」까지 낳고 있는 유가공업계의 볼썽사나운 「고름 우유」논쟁에 대해 정부가 일침을 놓았다. 농림수산부와 강원도는 31일 유방염에 걸린 젖소는

    중앙일보

    1995.11.01 00:00

  • 당국은 고름우유 판정하라

    「고름우유」를 둘러싼 파스퇴르유업측과 한국유가공협회의 광고전은 소비자들을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파스퇴르유업측은 지난주 주요 일간지의 1면 광고를 통해 「우리 파스퇴르우유는 고름우

    중앙일보

    1995.10.31 00:00

  • 파스퇴르.유가공업체"고름우유" 공방 점입가경

    『우리 파스퇴르 우유는 고름우유를 절대 팔지 않습니다.』『파스퇴르 우유는 고름우유임이 밝혀졌습니다.』 파스퇴르유업과 기존유가공업체간 「고름우유」공방전이 치열하다. 양측 공방전의 발

    중앙일보

    1995.10.31 00:00

  • 파스퇴르.기존업체 또 품질 다툼

    파스퇴르유업과 기존 유가공업체들간 우유품질을 둘러싼 다툼이 7년만에 재연되고 있다. 지난 22일 「일부 유가공업체들이 유방염을 앓고 있는 소에서짜낸 젖으로 우유를 만들고 있다」는

    중앙일보

    1995.10.27 00:00

  • 살파먹는 박테리아 연쇄상구균이란

    ◇연쇄상구균(連鎖狀球菌.Streptococcus) 공모양으로된 지름 1㎛(1천분의 1㎜)내외의 세균이 십수개씩 사슬모양으로 연결됐다 해서 연쇄상구균이라 부른다.자연계서는 토양.물.

    중앙일보

    1994.05.27 00:00

  • 살파먹는 박테리아?/증상­치료­주의점/전문의 진단

    「살을 갉아먹는」 박테리아로 온통 난리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질병을 인체주변에 흔한 용혈성 연쇄상 구균에 의해 드물게 생기는 괴사성 근막염으로 추정,이 병은 신종 질병이 아니고

    중앙일보

    1994.05.27 00:00

  • 오스트리아 태생 쉬퇴거 수녀

    「나병환자들의 어머니」마리안네 쉬퇴거 수녀(58). 나병 환자들의 고단한 몸과 마음을 어루만지는데 일생을 바쳐온 그의 삶은 음지의 섬 소록도에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처럼 피어있다.

    중앙일보

    1992.03.06 00:00

  • (13)수술환자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높은 영양부족증 발생률은 지난 몇 년간 임상전문가들의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중 다수가 수술환자로서 미국과 유럽의 여러 병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

    중앙일보

    1987.10.22 00:00

  • 신선하고 질놓은 우유를 마시려면|목장서 가정까지…유통관리 철저를

    우유는 모든 영양소를 고루 갖춘 완전식폼으로 거의 모든 가정에서 이를 마신다. 대부분은 날로 마셔야하기 때문에 생산과 유통과정의 위생상태에 대한 관심은 더욱 각별하다. 선진외국에

    중앙일보

    1983.08.04 00:00

  • 고름 나오는 젖소 2%뿐‥‥모두 격리치료|불량우유 폐기…시중제품 문제될 것 없다|황영구 (한국낙농 비육협회장)

    유방염유무를 검사하는 CMT검사기를 전국 낙농농가에 완전 보급했다. 고름이 나오는 젖소는 전체의 2%에 불과하다. 이런 소는 격리해서 치료를 하고 항생제를 투약한 젖소에 대해서는

    중앙일보

    1983.07.25 00:00

  • 우유…안심하고 마셔도 좋은가 젖소 유방염의 문제

    「젖소에 유방염이 많아 이물질이 석이고 영양가가 감소되며 쉽게 변질할 우려가 있다」(중앙일보 7월20일자 1면)는 서울대 수의대 한홍율교수의 논문내용이 보도되자 한교수는 자신이 쓴

    중앙일보

    1983.07.25 00:00

  • 젖소53%가 유방염에 걸려 심각|오염된 우유 시중에 나올 수 있다

    한교수는 7월12일 하오 대학학도호국단 연합봉사활동으로 강원도양양군일대를 순회 진료하던 중 현북면 어성전리 마을구판장에서 유방염에 걸린 한우를 치료하면서 이를 취재 중이던 중앙일보

    중앙일보

    1983.07.25 00:00

  • 젖소 유방염은 가장 큰 문제|맹원재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젖소의 수는 20여 만마리이며 이중 13만∼14만마리에서 우유를 짜고있다. 우유생산과정상의 문제점은 영세낙농가가 많아 시설미흡과 비위생적인 관리가

    중앙일보

    1983.07.25 00:00

  • 우유

    「고름섞인 우유」-. 생각만해도 역겹다. 그러나 실제 경기일원 젖소의 절반 가량이 유방염에 걸려있고 이들로 부터 짠 죽은 백혈구(고름)가 섞인 우유가 시중에 공급되고 있다는 충격적

    중앙일보

    1983.07.21 00:00

  • 우유 젖소 유방염 많아 쉽게 변질한 우려

    우리나라 젖소의 상당수가 유방염에 걸려 있으며 시판중인 우유의 35%에서 백혈구 죽은 세포(고름)가 대량으로 검출돼 이 때문에 우유가 빨리 부패되고 영양가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중앙일보

    1983.07.20 00:00

  • 여름 아기피부 관리

    여름철은 아기들이 가장 견디기 힘든 계절이다. 잦은 소변에다 땀까지 범벅이 되면 땀띠나 기저귀발진등이 생겨 고생을 하기 쉽기 때문이다. 여름철 아기들에게 흔한 기저귀발진의 증상 및

    중앙일보

    1982.07.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