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수산협력, 양식·가공유통 분야 효과적"

중앙일보

입력

남북한 수산협력이 연근해 어업보다는 양식, 가공유통분야에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홍성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경제연구실장과 안국전 해양수산부 국장은 24일 수협중앙회에서 해양수산개발원과 통일농수산포럼 주최로 열린 `화해의 시대 남북수산협력에 관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홍실장은 "남북 수산협력사업은 한.일, 한.중 어업협정으로 인한 국내 어장 축소에 대한 대안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며 "그러나 기대와 달리 협력사업의 내용은 많은 문제점과 장애요인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우선 북한의 자원남획이 심각한데 80년대 초반 170만t을 웃돌던 북한의 수산물 생산량이 90년대 후반에는 60만t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의 대표 회유성 어종인 명태는 오호츠크해부터 자원이 고갈되면서 남측 동해안의 어획량이 크게 감소했고 이같은 처지는 북측 동해안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안국장은 "북한의 근해에 대해서는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한다"며 "연안지역은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겠지만 이것도 자원관리가 전제되지 않으면 고갈을 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양식부문에 대한 투자협력사업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고 홍실장은 제시했다. 북한 어업관리체제에 대한 사전검토와 사업타당성 평가를 통해 남한이 기술협력과 시설투자에 나설 경우 투자위험도를 줄이면서 상당한 수익을 거둘 수 있을것으로 홍실장은 내다봤다.

특히 가공유통 분야의 남북협력사업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실장은 "북한은 수산물양육시설, 가공.포장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그나마 잡고있는 어획물들이 국제시장에서 제값을 받지 못하는 딱한 사정에 처해 있는만큼 이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주제발표에 나선 남성욱 국가정보원 연구위원은 "바다는 육지와 달리 이념 등 정치적 부담이 적어 수산 협력 분위기를 육지로 전파할 수 있다"며 "국제 어업정세가 남북 양측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만큼 공동대응과 상호협력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