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3조원대 공공보안시장 열린다! [2]

중앙일보

입력

직원 절반 공인자격증 준비

코스닥 등록을 앞두고 있는 시큐어소프트는 전문업체 지정에 자신만만해 하고 있다. 자본금과 인력면에서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데다 신한은행, SK텔레콤, 대법원 등에 보안 컨설팅을 해준 경험이 있어 남부럽지 않을 실적을 갖고 있다고 자부한다.

특히 2억원 이상 규모의 대법원 컨설팅 경력은 전문업체 선정에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큐아이닷컴은 인력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고 자평한다.

이 회사는 현재 CISSP(국제공인정보시스템전문가)와 CISA(국제공인정보시스템감사사) 등 국제공인 보안자격증을 갖고 있는 직원 20여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3월 31일 실시된 CISSP 시험에도 총 9명의 직원이 응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 회사는 또 삼성전자, 신영증권 등 국내 유명업체들의 보안 컨설팅을 담당, 실적 부문에서 그간의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으리라 자신한다.

시큐아이닷컴 관계자는 “아직 인력조건의 경우 세부적으로 결정되지 않은 상태지만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술인력만으로도 충분히 전문업체 지정신청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격조건이 변경될 경우 그때 그때의 상황에 맞춰 각종 요건을 충족시켜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설립이후 직원 교육에 남다른 투자를 해 총 1백20여명의 직원 중 64명이 국제공인 자격증을 준비중이다. 인젠은 최근 컨설팅본부를 대폭 보강했다. 기존에 있던 컨설팅팀과 해커팀 이외에 기반기술보호팀을 새롭게 결성, 전문업체 지정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17명의 인원이 컨설팅본부에 배치돼 있다. 인젠측은 한미은행, 신한은행, SK텔레콤 등에 대한 컨설팅 경력도 집중 부각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들 업체처럼 자본금과 기술인력, 실적 면에서 요건을 갖춘 업체는 소수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보안 업체들은 자본금이 20억원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인력도 부족한 상태다.

특히 인터넷붐이 일던 지난 99년 말부터 2000년 초에 설립된 회사가 대부분이어서 경력이 일천한데다 컨설팅 시장도 지난 해가 되어서야 열려 이렇다할 실적이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같은 경우에 처한 업체들은 우선 자격요건 충족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현재 보안 컨설팅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A3시큐리티컨설팅은 자본금이 3억5천만원에 불과하다. 이 업체는 자본금을 늘리는 게 무엇보다 큰 현안. 앞으로 신규 투자 유치 및 무상증자 등을 통해 기본 요건을 갖춰 나간다는 계획이다.

사이버패트롤은 자본금 면에서는 별 문제가 없으나 인력과 실적 면에서 다소 불리한 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자체평가하고 있다.

인력 확보에 있어서는 자체 인력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입장. 15명은 충분히 채울 수 있다고 보고 있으나 만일을 대비하기 위해 직원들로 하여금 CISSP, CISA 등 국제공인 자격증을 따도록 독려하고 있다. 이를 위해 회사측에서는 자격증 취득을 위한 수강료와 1회 시험 응시료를 전액 지원하고 있으며 16명의 직원이 시험에 대비해 준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설립된 지 1년이 조금 지났으므로 실적 면에서는 불안한 입장이다. 따라서 남은 기간 동안 최대한 사업을 수주한다는 계획 아래 영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형 SI업체 독무대 될 가능성도

지난 해 펜타시큐리티시스템에서 분사한 보안 컨설팅 전문업체 마크로테크놀로지도 입장은 마찬가지. 자본금과 인력 면에서 모두 부족한 상태다. 마크로의 자본금은 현재 11억6천만원. 전문인력도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마크로테크놀로지 김승현 과장은 “자본금의 경우 증자나 외자유치를 통해 요건을 충족시킨다 하더라도 문제는 인력”이라고 털어놨다.

가뜩이나 부족한 보안 관련 전문인력이 업체들의 스카우트 전쟁 등으로 더욱 더 ‘귀하신 몸’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과장은 “현재 임원과 부장급 등의 인력을 구하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마크로테크놀로지측은 “모회사인 펜타시큐리티의 컨설팅 인력 7명이 분사와 동시에 마크로로 넘어왔으므로 펜타에서 그 동안 했던 컨설팅 경력을 고스란히 인정받을 수 있어 실적 면에서는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업체들 이외에 이글루시큐리티, 코코넛, 해커스랩 등도 전문업체로 지정 받기 위해 나름대로 착실히 준비를 해 오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같은 조건에 따라 전문업체가 지정될 경우 발생할 문제점에 대해서도 강하게 지적한다.

가장 큰 문제는 국가의 주요 시설 보호와 국내 보안업체 육성이라는 전문업체 지정의 본래 취지와는 달리 대형 시스템 통합(SI)업체가 전문업체로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SI업체들은 자체적으로 보안 컨설팅 팀을 운영하며 계열사, 금융권 등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해 왔다. 실적 면에서는 1∼2년전부터 생겨나기 시작한 보안 전문업체들보다 훨씬 유리한 고지를 안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자체적으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인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만일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막대한 자금력을 동원, 보안 전문인력 스카우트에 나설 수도 있어 인력 수급 문제를 심하게 왜곡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미 보안업계에서는 스카우트 전쟁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보안업체 관계자는 “벌써 여러 업체로부터 전화를 받은 직원들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자칫 잘못하면 보안업체를 위한 제도가 아니라 대형 SI업체를 위한 것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또 다른 문제는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출혈경쟁.

정통부에서 내놓은 안이 그대로 확정될 경우 실적 면에서 자격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업체가 속출, 법 시행 전에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업체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이 과정에서 덤핑 입찰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도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결국 부실 서비스로 이어져 보안업계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 하락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사이버패트롤 고창국 부장은 “업체들의 이 같은 사정을 감안, 계약한 것도 실적으로 인정해 주는 방안도 채택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무튼 주사위는 던져졌다. 이제 어떤 숫자가 나올 것인가가 문제인 것이다.

지금까지의 안이 확정이 되든, 아니면 새로운 수정안이 나오든 간에 오는 7월부터는 정보통신기반보호법이 시행되고 이에 따라 전문업체도 지정된다.

지정되는 업체는 공공부문의 보안시장을 장악할 수 있으며 마케팅·홍보 측면에서도 엄청난 메리트를 얻는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업체는 급속한 쇠락의 길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보안업계는 자연스럽게 정리 국면에 돌입하게 된다.

보안업계의 핫 이슈 ‘정보통신기반보호법’을 보는 시각에 흥미를 더하는 것은 그 같은 이유에서다.

베이징=이경수 기자(korstan@joongang.co.kr)
자료제공 : i-Weekly(http://www.iweekly.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