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혁신위 "보안법도 4월 국회서 적극 처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 천막당사 1주년인 24일 한나라당이 서울 염창동 당사에 놓아둔 당시의 컨테이너에서 상임운영위를 열고 있다. 박근혜 대표는 ˝천막당사의 정신을 잊지 않는다면 어떤 어려움도 이길 수 있다˝고 말했다.김형수 기자

한나라당 혁신위원회가 24일 전체회의에서 확정한 3개 어젠다는 모두 메가톤급 위력을 지녔다. 혁신위가 제시한 대북.통일정책은 지난해 4대 쟁점법안 저지투쟁 때만 해도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전향적 내용이다. 2000년 6.15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일반 국민의 인식 변화를 받아들이려는 노력이다.

특히 홍준표 혁신위원장은 이날 "지난해 논란을 빚었던 국가보안법.과거사법.사립학교법 등 3대 쟁점 법안은 4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것을 당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안법은 '국가안전보장법'으로 명칭을 변경해 기존 당론대로 개정하자는 의견이다. 과거사법은 지난해 말 국회 행자위 소위에서 합의한 대로 처리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고, 사학법은 사학의 투명성 확보와 교육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 같은 내용은 소장개혁파의 의견을 대폭 수용한 것이어서 향후 당내 갈등이 불거질 수도 있다.

혁신위는 당 정체성 논의 과정에서 태어났다. 박근혜 대표는 전권을 주는 형태로 홍 의원을 위원장에 임명했다. 홍 위원장은 당내 대표적 반박(反朴) 진영인 '수도권 3선 3인방' 중 한 명이다. 홍 위원장은 혁신위를 구성하면서 당내 각 모임을 참여시켰다. 영남권 보수모임인 '자유포럼'부터 소장개혁세력이 주축인 '수요모임'까지 모두 끌어들였다.

21명으로 이뤄진 혁신위는 3개의 분과로 나눠 14개 어젠다를 채워 나가고 있다. 분과에서 어젠다 내용을 만들면 전체회의에서 확정한다. 전체회의는 치열한 토론을 거쳐 과반수 참석에 과반수 찬성으로 결정한다.

혁신위 내부에서도 완전 합의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혁신위의 어젠다에 대한 당내 반발은 거셀 수밖에 없다. 당장 보수파 의원들은 혁신위의 대북.통일정책을 비난한다.

또 당 지도체제와 관련해선 박 대표가 쉽게 수용하기 어려운 혁신안을 만들고 있다. 박 대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당헌.당규 개정과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해 7월 전당대회를 개최하자고 요구할 계획이다.

14개의 혁신 어젠다가 최종 확정될 5월까진 한나라당에는 개혁의 태풍이 불어닥칠 전망이다. 그러나 혁신위의 개혁안들이 절반 이상 의원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면 '찻잔 속의 태풍'으로 전락한다.

박형준 혁신위 간사는 "혁신 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최악엔 당이 쪼개질 수도 있다"면서 "하지만 국민의 사랑을 바탕으로 집권 가능한 정당으로 거듭 태어나기 위해선 처절한 진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철희 기자 <chlee@joongang.co.kr>
사진=김형수 기자 <kimh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