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현재 北과 고위층 교류 사실상 중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중국이 북한에 중국식 개혁·개방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4일 전했다. 김정은 체제의 북한을 개방으로 이끌면서 대북정책에 변화를 주겠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베이징(北京)의 한 외교 소식통은 4일 “중국은 북한이 개혁·개방을 하지 않을 경우 향후 한반도 평화와 안정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다양한 경로로 북한에 개혁과 개방을 주문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현재 중국은 북한과 고위층 교류를 사실상 중단했으며 이는 개혁·개방을 받아들이라는 대북 압박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북한과 중국은 지난 4월 말 김영일 북한 노동당 국제비서 겸 국제부장의 방중 이후 고위급 교류를 하지 않고 있다. 리자오싱(李肇星) 중국 전 외교부장(장관)이 5월 초 북한을 방문했지만 그는 민간 대표 자격이었다.

 북한과 중국은 매년 분기 단위로 당과 행정부, 군의 고위급 교류를 해왔다. 지난해 하반기만 해도 리위안차오(李源潮) 중국 공산당 조직부장의 방북(6월)을 시작으로 리지나이(李繼耐)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 방북(11월) 등 모두 열 차례의 고위급 교류가 있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중국이 북한의 개혁·개방을 위해 이미 구체적인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북한 금융 관련 인사 10여 명이 광둥(廣東)성 선전에서 은행 설립과 업무 관련 교육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또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과 단둥(丹東)에서 북한 공무원 수십 명이 경제정책 관련 교육을 받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그는 “최근 중국 당국이 북한에 2만여 개의 취업비자를 내준 것도 일방적인 무상 지원보다는 인력교류를 통해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이끌려는 포석”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중국, 대북 무상지원은 줄이고 취업비자 2만 건 내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