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원유 상호융통제도 창설 추진"

중앙일보

입력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가 원유가 폭등에 대비, 원유 상호융통제도 창설 추진등 본격적인 대책에 나선다.

원유가격이 국제적으로 폭등함에 따라 APEC의 에너지담당 실무부서는 오는 10월중순 회의를 열고 긴급시에 대비, 가입국간 원유의 상호 융통제도를 창설하는 방안 등을 본격 협의할 전망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통산성 소식통을 인용, 26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APEC는 이미 고위실무자 회의를 열고 ▲원유의 상호 융통제도와 ▲에너지 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 협력 ▲석유 대체 에너지의 보급.개발을 위한 협력등에 대해 기본 합의했다.

APEC는 특히 그 가운데 당면 원유가 폭등에 대처하기 위해 원유의 상호 융통제도 창설 및 비축 기술의 지원문제는 긴급성이 높다고 보고 다음달 19-20일 페루의 쿠스코에서 열리는 에너지실무회의에서 서둘러 협의를 갖기로 했다.

원유의 융통제도는 APEC 가입국가가 원유 부족난을 겪고 있을 경우 비축하고 있는 다른 나라가 공급하는 제도로, 가입국 가운데 필리핀, 싱가포르, 중국 등이 원유를 비축하고 있지않기 때문에 이들 국가에 대해서는 비축 기술의 지원 등도 검토될 예정이다.

한편 요미우리는 별도의 기사를 통해 가솔린, 등유 등의 소매가격이 오는 10월이후 1ℓ당 3엔 이상 오를 전망이라고 전했다.

신문은 "국제적인 원유가 앙등으로 석유회사들이 25일 가솔린 등 석유제품의 도매 가격을 10월부터 1ℓ당 2.50엔 정도 인상한다는 방침을 굳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도쿄=연합뉴스) 문영식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