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손절매에도 `타이밍` 있다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2007년 경기도 고양시에서 신규 분양한 A아파트를 분양 받은 김모씨는 요즘 고민에 빠졌다. 시세가 분양가보다 1억원이나 싸게 형성된 때문이다.

잔금 마련할 방법이 없고 입주할 수도 없어 일단 전세를 줬지만 전셋값이 저렴해 예상보다 대출도 많이 받았다. 이 때문에 이자 부담은 날로 커지고 있다.

김씨는 지난해 손절매를 하고라도 팔까를 생각했지만 여러 연구소·정보업체 등에서 집값이 상승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해 이후에도 집값은 약세만 보이고 있다. 손절매 타이밍을 놓쳐버린 셈이다. 요즘 이런 고민을 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지난해 초부터 집값이 상승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부분이었던 때문이다. 하지만 전망이 빗나간 데다 여전히 집값 전망이 불투명한 때문이다.

그러나 손절매에도 방법이 있다. 대출로 집을 장만한 뒤 손절매를 고민하고 있다면 빚 부담이 가계경제에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원금과 이자 상환에 가처분소득(세금 뺀 소득)의 40% 이상을 쓴다면 고위험군이다.

금리가 오르거나 직장을 잃게 되면 이들에겐 가계부채 상환액이 생계를 위협하는 뇌관이 된다. 집값 역시 대세상승은 기대하기 어려워 빨리 빚을 털어내는 것이 좋다.

대선 특수 기대는 금물

손절매를 결심했다면 매도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타이밍에 따라 손실이 커지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정책 이슈를 꼼꼼히 살펴야 하는 이유다.

집값은 재료에 따라 국지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올해 최대 재료는 총선과 대선 두 가지다.

연말 대선시기를 타이밍으로 잡는 것은 금물이다. 전문가들은 “집값 하락이 구매력 감소와 주택시장 하향 안정세에 근본 원인이 있고 주택공급도 넘쳐나 대선 특수를 기대하긴 어렵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총선은 다르다. 표심을 잡기 위한 정책들이 쏟아질 공산이 크다. 총선을 앞두고 금융규제 한시적 완화나 분양가상한제 폐지 등이 정책 공약으로 나오면 국지적으로 집값이 견인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총선이 지나면 늦을 것 같다. 손절매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향후 공급예정 물량을 살펴보고 개발사업의 진행 정도로 가격상승 여부를 살펴보는 것이 좋다.

실거래가 정보를 분석해 고점과 저점을 살펴본 뒤 현재 가격상황을 체크해 볼 필요도 있다. 급매물로 내놓을 경우 집이 팔리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한다.

주택을 수리해 집의 가치를 올리는 일이 필요하다. 수요자의 눈길을 끌어 빠른 거래를 유도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양도세 등 세금을 줄이는 노력도 해야 한다. 발코니 확장 등 집 수리비로 인한 지출은 양도세 공제 대상이다. 어차피 손절매할 거라면 받을 수 있는 세제혜택은 다 챙겨야 한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